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5/25 17:03:36
Name 이재열
File #1 12.JPG (16.0 KB), Download : 7
Subject 간단한 유체역학에 대해서 질문 드릴게요.


수력발전시스템을 제작해야 되는데 유체역학공부를 제대로 안했더니 감이 안잡혀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질문이 두개 입니다.

일단 첫번째는 그림에서 위에 두가지의 물통이 있습니다. 두개가 높이와 구멍의 크기는 같구요. 위에는 뚫려있습니다.

하나는 그냥 육면체통에 구멍을 뚫은것이고, 다른 하나는 노즐모양으로 만들어서 구멍을 뚫은 것입니다.

두개의 물이 나오는 세기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냥 딱 봤을때는 노즐모양으로 만든게 더 세게 나올 것 같긴 한데...



그리고 두번째 질문은, 그림에서 아래의 두가지 경우인데,

육면체 통에 구멍을 하나 뚫었을 경우와 여러개의 구멍이 뚫려있는 경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두개의 물이 나오는 세기는 같고 , 그렇게 되면 오른쪽이 구멍이 더 여러개기 때문에 물이 더 빨리 소모될것 같습니다.

맞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25 17:16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수조에서 유출구의 유속을 생각하면 되는건데요(유출구의 단면적이 같다고 가정하셨으니까)
이 때 유속은 유출구부터 수위까지의 높이차로 계산됩니다.
V=c√(2gH) 로 계산하고...
c = 감소계수
g = 중력가속도
H = 유출구 중심에서부터 수위까지의 높이
입니다...^^
이재열
10/05/25 17:18
수정 아이콘
피아님// 그렇다면 수조가 어떻게 생겼든, 구멍의 단면적이 몇개이던 간에 상관없고, 오직 높이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건가요?
10/05/25 17:25
수정 아이콘
첫번째에 차이없습니다. 이론적으로 베르누이의 공식을 보시면 압력, 위치에너지(높이)와 운동에너지(세기? 물의 속도)가 균형을 이뤄야 함을 알수있습니다. 노즐에서는 압력은 기압과 동일하고 물통안에 가스가 차있는게 아니고 보통 기압과 동일하다고 치면 같은 높이에서 나오는 물은 "노즐의 크기가 같을 경우" 같아야 정상입니다.

두번째는 말씀하신대로 물이 충분하게 있다는 가정하에 보면 세기는 같고 구멍이 여러개인쪽에서 두배는 빠르게 물이 소모될것같네요.
10/05/25 17:44
수정 아이콘
이재열님// 네... 유출구에서의 유속은 유출구의 형상이 같다는 조건에서는 오직 높이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
(c = 감소계수 이것이 유출구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계수입니다)
어디선가 사진을 본 것이 기억나는데...
유출구의 높이를 달리했을 때는 나오는 물의 세기가 달랐는데...
유출구의 높이를 같이했을 때는 몇개를 뚫던지간에 물의 세기가 같은 사진이였죠.
이재열
10/05/25 17:5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수조에서 물이 세게 나오게 하는 방법은 높이를 높게하는 방법밖에 없는건가요?
10/05/25 18:14
수정 아이콘
세기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다르게 생각할 수 있을 거 같은데요?
힘 = 질량 × 가속도 또는 힘 =
질량 × (속도)^2
/ 2 이니까요...
즉 질량을 크게 해주는 방법(유출구의 단면적을 넓혀서 나오는 물의 양을 많이 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조건에 유출구의 단면적은 일정하다고 한다면...
물의 높이를 높게 해서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 뿐이네요;;;
10/05/25 18:57
수정 아이콘
탱크안에 압력을 가할수도 있죠. 수력발전용이라 하시면 탱크사이즈가 어마어마할 것같아서 좀 힘들지도 모르겠군요.

그리고 구멍을 어떻게 뚫으시느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생깁니다. 참고하세요.
http://www.jegasho.net/rotron%20pages/orifice%20flow%20calculation.htm
내려올팀은 내
10/05/25 19:27
수정 아이콘
어떻게 수력 발전 시스템을 설계하실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이런 경우에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어차피 에너지는 정해져 있는 것이고, 물을 작동유체로 하는 터빈이라면 노즐이라는 것이 쓸모가 없으니(비압축성이므로) 터빈 앞부분을 제작하는 데 그리 큰 고려를 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그냥 파이프 손실을 최소화하고 터빈의 효율을 가장 높일 수 있는 속도로 만드는게 가장 좋은 설계이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546 [자바?] iframe을 이용해서 .js 불러 오는 방법? [1] NecoAki2152 10/05/25 2152
82545 노트북 두대로 무선렌 스타 1:1 즐기는 방법 설명부탁드립니다. [3] 끝없는사랑2115 10/05/25 2115
82543 컴퓨터 관련 질문입니다.. [10] 엄마사랑1801 10/05/25 1801
82542 이런건 잘못된게 아닌가요? (여자친구네 가족 관련) [16] 켈로그김2646 10/05/25 2646
82541 금일 오전 복정역에서 내리신 여자분을 찾습니다. [19] 억울하면강해3117 10/05/25 3117
82540 간단한 유체역학에 대해서 질문 드릴게요. [10] 이재열2408 10/05/25 2408
82538 10살 연상의 여자와 사귀는 친구놈...ㅜㅜ [16] 껀후이12795 10/05/25 12795
82537 천여지라는 작품과 고군(이역2)라는 작품을 찾고 있습니다. Seany2348 10/05/25 2348
82536 지금 전방에 유서쓴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12] 숲숲후후3749 10/05/25 3749
82535 3가지 질문입니당. 스마트폰, 매킨토시, 정기적금 [9] ski~1747 10/05/25 1747
82534 카라티에서 카라의 기능 [11] 드론찌개2520 10/05/25 2520
82533 플레쉬(?)가 작동을 안합니다.. Schizo1796 10/05/25 1796
82532 [C++] 구조체 질문입니다. [2] Jay-B1889 10/05/25 1889
82531 대전에 분위기 좋은 식당, 카페 추천부탁드려요~ [9] OnlyJustForYou3467 10/05/25 3467
82530 이런경우엔 어떻게 해야 될까요?! [9] StepByStep1877 10/05/25 1877
82529 요즘 사극에서의 현대어 사용, 어떻게 보세요? [9] mangyg2368 10/05/25 2368
82526 장기 전세주택(시프트)관련 질문입니다. 성자1867 10/05/25 1867
82525 소개팅 첫만남 장소 질문(커피전문점 vs 카페) [6] zzZ3760 10/05/25 3760
82524 마우스가 멈춰요~ [1] wAvElarva2134 10/05/25 2134
82523 일본은 왜 축구를 못하죠? [15] greensocks2906 10/05/25 2906
82521 염색을 집에서 해보려고하는데요-_-; [7] 날카로운비수2142 10/05/25 2142
82520 개념글이 그득 그득 한곳은 어디가 있을까요? [3] BRco2145 10/05/25 2145
82519 영작한개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 journey211853 10/05/25 18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