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21 03:24
안드로이드 어플은 잘 모르겠구요..;;
안드로이드 OS 는 무료인데.. 안드로이드를 쓰면 크롬 등을 이용해서 구글을 사용하게 될테죠.. 이것이 구글의 핵심적인 수입분야인 광고수익의 증가를 노리고 있다고 하네요. -_-;
10/06/21 03:31
오픈소스로 대중적으로 가장 유명한 건 안드로이드, 파이어폭스 정도가 있습니다. 그 외 각종 리눅스(우분투, 레드햇 등등) 도 오픈소스고 구글 크롬도 오픈 소스입니다. 그 외에도 물론 많이 있습니다.
수익 모델은 대표적인 두가지만 살펴보면 1. 유료 지원, 2. 유료버전 판매 가 있습니다. 1번의 경우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고객지원을 하는 것이죠. 주로 서버 제품군들이 많이 채택합니다. 서버 프로그램의 경우 단순히 설치해서 사용하는게 전부가 아니라 장애 발생시 대응이라던가, 성능 최적화라던가 하는 부분이 필요한데 이걸 돈받고 해 주겠다는거고요. 2번의 경우 오픈소스 버전에 약간의 고유 기능이 추가된 버전을 유료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고, 다른 회사에서 상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료로 소프트웨어를 구매하도록 강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픈소스에도 굉장히 다양한 라이센스 모델이 있고 어떤 라이센스는 모든 걸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반면 어떤 라이센스는 가져다 고친 소스를 무조건 공개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0/06/21 03:44
영리기업에서 만든 오픈소스 프로그램의 경우는 코카스님이 말한 운영방식으로 돈을 법니다.
그에 반해 비영리단체(대표적으로 firefox를 만든 Mozilla Community) 수익의 대부분은 기부나 라이센스 제품 판매 등으로 운영을 합니다. 내일 일찍 일어나야 되는데 유게에서 무서운 만화 보고 나니까 못자겠네요...
10/06/21 04:17
그리고 요즘에는 회사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고용해서 지원하기도 합니다. 파이썬 핵심 개발자인 귀도(아 네 terrance 님이 맵 설명에 쓴 바로 그거 만드는 아저씨요)도 구글에 고용되어서 전업으로 파이썬을 개발하고 있고 제로보드 개발자분도 NHN에서 XE 엔진 개발을 회사 업무로 계속하고 계시죠.(요즘은 어떤지 잘 모르겠네요)
10/06/21 06:14
다른 기업과 계약을 맺는다든가(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 구글 검색을 기본으로 탑재한다든가요), 혹은 부가 서비스를 만들든가(ubuntu one같이요)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