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8/30 13:02:23
Name 몽유도원
Subject 현대, 기아차 제외하고 믿을만한 메이커는 뭐가 있을까요?
현대, 기아차 문제많은거 알지만 많은 분들이 AS와 중고가 문제때문에

많이들 구입하시던데,

돈을 좀더 쓰더라도 믿을만한 메이커의 차량을 구매하려면

어떤 메이커가 괜찮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30 13:05
수정 아이콘
외제차라고, 좀 유명하죠..
12/08/30 13:06
수정 아이콘
수입차중 도요타 폭스바겐이 가장 합리적인 가격에 as도 좋긴하지만 그래도 외제차라서 현대 기아차보단 유비지도 많이 들고 as의 편의성이나 비용은 현대차보다 못 합니다.
현대차 기아차가 독점하는데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것이겠죠.중고차값 생각 안 하면 gm이 가장 좋지 않나 싶네요.
12/08/30 13:06
수정 아이콘
믿을만한의 조건이 어떤걸 말씀하시는건가요?
shadowtaki
12/08/30 13:08
수정 아이콘
폭스바겐, 닛산, 토요타, 포드, 푸조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중 폭스바겐은 AS 쪽에서 잡음이 많은 것으로 보아 AS의 친절도가 높아보이진 않구요.
잔고장에 민감하신 편이고 구지 차량의 성능이 스포츠 성향이 아니어도 상관없다고 판단되시면 일본차가 좋다고 생각됩니다.
토요타 포함 일제차들은 미국내 내구도 평가에서 항상 1등을 차지할 정도로 내구도 좋고 잔고장 없기로 유명하거든요.
Empire State Of Mind
12/08/30 13:09
수정 아이콘
지갑이 뚱뚱하면 도요타, 폭스바겐... 더 나아가 아우디, 벤츠, BMW.. 기타 등등...

현기차수준으로 사려면 쉐보레요
Calvinus
12/08/30 13:15
수정 아이콘
쉐보레가 서비스면에서는 비슷하게 욕을 먹는것 같구요..
연비가 좀더 안좋은대신 차가 단단하고 튼튼하다는 평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올빼미
12/08/30 13:23
수정 아이콘
as생각하면 없지않나요?
12/08/30 13:30
수정 아이콘
국산차 중에는 현기차 외에는 없다고 봅니다. 외제차도 AS나 부품가 등에서 문제가 없는 경우는 별로 없지만.. 그래도 토요타가 AS 면으로 보면 낫겠죠. 독일차들은 잘못뽑으면 AS센터에서 살아야 되는 경우도.
Zeegolraid
12/08/30 13:32
수정 아이콘
중형차(2011년식 뉴SM5)하고 경차(2012년식 모닝)둘다 운행하고 있습니다. 전에는 아반테 몰았었구요.
차종을 무엇으로 하시려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중형차 구매하고자 하신다면 뉴SM5도 차는 상당히 좋습니다.

중고차 가격도 많이 하락하는 편은 아니고, 몰아보면서 느낀거는 확실히 현기차(쏘나타나 K5)와는 일단 내장재, 브레이크, 에어백은 월등히 우수합니다. A/S는 좋은데, 부품값은 비싼편이고요.

외향이 너무 안좋다, 엔진성능이 떨어진다라고 평하시는 분들 많으신데, 솔직히 도심에서 끽해야 100밟는 현실(고속도로 타면 달라지겠지만요)에서 그런거 다 필요 없고, 운전하기 편한게 좋은 것 같아요.
김연우
12/08/30 13:40
수정 아이콘
그래도 현기가 나아요. 외제차는 A/S가 가격도 가격이지만 부품오고 뭐하고 해서 오랫동안 차 못타는 경우도 있고.
그리고 잔고장 면에서 현기차 괜찮은 편이라고 봅니다. 물론 뽑기 운이 크긴 하지만.

현기차가 욕먹는건 진짜 안좋은 것도 있지만, 순수하게 판매량이 압도적으로 많아 표본이 많은 것도 크다고 봅니다.
12/08/30 14:45
수정 아이콘
잔고장이나 A/S 문제.유지 보수비용 감안하시면 현기차가 답입니다. 잔고장은 BMW, 벤츠, 아우디, 폭스바겐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어쩌면 더 심할수도 있죠.. 다만 밖으로 드러나는 불만이 적게 보이는 것이 일반 표본이 적고, 친절하게 응대하기 때문에..(하긴 수리비가 얼만데..) 그런것 같네요.

현기차 A/S 센터도 많고 긴급출동이니 뭐니 시스템은 잘 되어있습니다. 쓸데없이 직원들이 고자세로 나오니 혈압오르는거죠.
Darwin4078
12/08/30 15:49
수정 아이콘
음.. 차량 얘기 나올때마다 제가 친구, 후배들한테 해주는 얘기가 있는데, 게시판에 쓰기는 좀 뭐하네요. -_-;

국산차로는 르삼이 대안이 되어야 하는데 르노본사에서 어째 우리나라에서 장사할 마음이 없는것도 같고,
쉐보레는 그냥 미국차 그대로 우리나라 가져와서 동급 현기차보다 10만원만 싸게 팔면 대박날거 같은데 그러지는 않네요.

일산차로 넘어가면 마케팅의 도요타, 기술의 혼다.. 뭐 이렇게들 많이 말합니다. (요즘은 기술덕후의 닛산인거 같습니다만.)
확실히 일산차가 잔고장도 없고, 키로수가 늘어나도 진동이나 고장이 덜합니다.
어코드 5년 넘게 타는 선배도 엔진오일 교환 말고는 센터 갈일이 없다고 하고,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독일차의 주행감성은 아직 못따라간다고 보입니다.

미국차는 일단 크고 아름다워..는 아니구요. -_-; 과거의 크고 마력세고 연비 저질인 마초 이미지에서 벗어나고는 있지만,
잔고장, 비싼 부품가, 낮은 연비는 아직도 고질적이라 보입니다.

독일 폭스바겐은 요즘 도요타의 원가절감을 부지런히 벤치마킹하는지 어쩐지
옵션은 갈수록 나빠지고 디자인도 예전만 못해지고 있습니다만, 썩어도 준치라고 달리고, 돌고, 서는 기본기는 여전히 좋습니다.

독일 프리미엄 3사. 좋아요. 아주 좋아요. 주행성능 좋아요.
그러나 잔고장 있습니다. 센터에서 못고치는 잔고장 많습니다.
AS는 벤츠>>>BMW>=아우디인거 같습니다. 아우디가 악명이 높지만 많이 개선됐죠.
동호회에서도 BMW, 아우디는 서로 자기 AS가 좋다고 싸우지만, 벤츠 나오면 '아, 벤츠가 AS는 최고죠.'

결론은 돈있으면 독일 3사 가십쇼. 그 중에서도 벤츠. 제일 믿을만 합니다.
저글링아빠
12/08/30 17:45
수정 아이콘
그런차 없어요... 울 나라에선 그냥 현기, 그중에서도 특히 현대 사시는게 속편하십니다.
욕먹어도 많이 팔리는 이유죠.

저도 예전에 혈기왕성(?)하던 시절엔 길게 설명도 해주고 했는데,
요샌 주변에서 차 산다고 물어오면,
먼저 마음에 두고 있는 차가 있냐고 물어보고 없다고 하면,
"시끄러워 예산에 맞는 현대차 사... 기아차 디자인이 현대차보다 꼭 더 맘에들면 기아차로 하고.. 나머진 없는 차로 쳐 그냥.." 이럽니다..
12/08/30 20:11
수정 아이콘
쉐보레 추천합니다. 다들 생각보다 쉐보레를 저평가 하시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쉐보레가 갑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크루즈 같은 경우는 국내/해외 구분없이 제품을 생산해서 판매하고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차량의 거의 모든 부분이 해외차량과
동일합니다. 일부 다른 부분은 법적인 부분과 일부 옵션의 경우인데 거진 비슷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른차량도 동일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대우에서 변신한거다보니 외산 차량에 비해 A/S등이 잘 발달되어 있고(물론 현기에 비하면 딸립니다)
단점은 차들이 대부분 좀 무겁고 둔하다는거...

현기차에 대해서는 별 말 안하겠다만, 제가 첫직장을 현대 1차 벤더에 있었는데 차는 대우차 샀습니다.
이유는 머 그 꼬라지 보아하니 사면 안되겠다 머 이정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764 카페의 특대 사이즈(?) 주문 질문입니다. [8] Abrasax_ :D1610 12/08/30 1610
144763 알파피씨가 사라진후 조립업체는 어디에서..? [8] 정용현2234 12/08/30 2234
144762 휴대폰 유플러스 통신사 쓰시는 분들 [2] 어떤날1894 12/08/30 1894
144761 조심스럽게 질문해봅니다.. 정신건강센터 관련... [4] 스타본지7년1423 12/08/30 1423
144760 [LOL] 아칼리 스킬이 이런식으로 바뀌면 op가 될까요? [9] 쉬군1629 12/08/30 1629
144759 (축구 등번호 관련질문) 옛날에는 주전급 선수들이 1번~11번까지 차고 [3] 함진영1537 12/08/30 1537
144758 [LOL] 그레이브스 처음나왔을때의 능력치가 궁금합니다. [14] 또다른나2224 12/08/30 2224
144757 결혼에 대해서 [17] 우완투수2105 12/08/30 2105
144756 남자가방 브랜드 질문입니다. [10] 명군2156 12/08/30 2156
144755 LoL을 PC방에서 이용시 자꾸 문제가 발생합니다. LEADA1301 12/08/30 1301
144754 모임을 이끌어 가려고 하는데요.. [8] 염나미。1247 12/08/30 1247
144753 임진왜란 해전 질문입니다. [18] Realise1696 12/08/30 1696
144752 바퀴벌레약도 환각증세가 있을수있나요? [2] 글로리1947 12/08/30 1947
144751 제가 사회성이 부족한건가요?? [16] 요우2315 12/08/30 2315
144750 공유기 쓰시는분들께 질문 있습니다. [10] 이것봐라1252 12/08/30 1252
144749 바르셀로나 발데스에 대한 질문입니다. [16] 스치파이1874 12/08/30 1874
144748 다시 태어날수 있다면?? 어떤 유형으로 태어나고 싶으신가요? [39] 임금2141 12/08/30 2141
144747 [LOL] 블라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1] 세느2190 12/08/30 2190
144746 현대, 기아차 제외하고 믿을만한 메이커는 뭐가 있을까요? [18] 몽유도원2121 12/08/30 2121
144745 유재석은 왜 광고를 많이 안찍죠? [20] 유안3022 12/08/30 3022
144744 약대에 대한 질문입니다. [5] 레이1669 12/08/30 1669
144743 htc chacha 휴대폰 질문? [5] sOori1324 12/08/30 1324
144742 왜 이러는 걸까요.. [17] 웃으며안녕2302 12/08/30 23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