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13 10:52
포항공대 전자과 학생입니다.
시뮬레이션 공학이 정확하게 어떤걸 의미하시는지 모르겠지만 또한 구체적인 어떤 시뮬레이션인지도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영상,음성 시뮬레이션은 컴공과와 관련이 더 클듯 싶네요. 그리고 전자컴퓨터공학부로 같이 모집하지 않나요????
10/08/13 10:57
무엇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관심이 많은지가 중요할 듯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computational science만 하는 과를 별로 본적이 없어서;
10/08/13 16:24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작년까지는 전자컴퓨터 공학부였는데 올해부터 전자전기공학/컴퓨터공학으로 나눠서 모집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시뮬레이션으로 막연하게 제가 상상한 물체를 모델링 해보고싶다는 생각을 해왔는데,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지는 않았네요...
10/08/13 17:26
컴퓨터로 모델링을 하는 건 방법론에 해당하는 이야기입니다. 시뮬레이션이란게 원래 실험을 하기 어려울 경우에 실험의 대안으로 수행하는 것이므로, 실험을 할 수 있는 모든 분야 - Astatine님이 언급하신 물리, 화학, 기계, 생명, 추가해서 토목, 천문, 경영 등등 - 에서 시뮬레이션은 활용됩니다. 마치 이과의 대부분 학과에서 수학을 사용하듯이요. 예를 들어 나는 수학을 좋아하니 수학적 모델링을 이용한 공학을 전공하겠어!라고 한다면 고르기 어렵지 않을까요? 참고로 저는 기계과 출신이고 유체역학 시뮬레이션(CFD)을 하고 있습니다. 전공 결정에는 방법론보다는 기본 원리(수학/고전역학/양자역학/전자기학/유기화학/분자생물학...)나 응용 대상(건축물, 반도체, 자동차, 석유, 비행기, 인공장기, 상용프로그램, ...)을 기준으로 선택하는 게 좋을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