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09 17:09
homogeneity of variance (p>0.05)라고 표현했는데 이것은 분산분석의 가정 중의 하나인 등분산성을 말한 것이 아니고요
예를 들어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 초등학생의 키가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면지역구분과 키 2개 항목으로 데이터가 구성될 것입니다. 지역구분에는 3가지 범주가 있을 것이고 범주간 키의 평균이 차이가 있는가를 검정할때 쓰는 방법이 바로 분산분석입니다. 분산분석을 돌려서 유의수준(보통 5% 또는 1%)보다 p-value가 크게 나온다면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채택하게 됩니다. SAS나 SPSS 출력물을 보시면 Sum of Squares를 Model과 Error로 나누는데 Model의 Sum of Squares가 커서 F검정의 p-value가 적게 나오면 설명변수내 범주의 차이가 유의적이라는 뜻이 됩니다. 반대로 Model의 SS가 적고 Error가 크게 나와서 p-value가 크게 나오면 총 변동량 중 범주 차이의 변동량이 의미가 없는 수준임을 말하게 됩니다. 즉, 위 문장의 homogeneity of variance는 범주간 차이가 없다는 뜻으로 쓴 것이며 범주별 평균이 같다라는 귀무가설이 0.05 유의수준에서 채택되어서 통계적 유의점이 관측되지 않았다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