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01 18:04
3GS땐 그랬구요. 4G땐 3GS보단 빨리 들여 오겠죠.
마지막 줄 두번째 문장은 KT로 인해 앞으로는 외산 스마트폰 출시가 빨리 빨리 될겁니다.
10/06/01 18:05
통신사 밥그릇 때문에 와이파이 탑재 자체가 불가능했습니다. 덕분에 해외출시된 국내제품의 경우는 국내출시때 아예 와이파이 삭제하고 출시하는 식으로 발매를 했었드랬죠-_-;
애플은 그런식으로 스펙다운하면서 출시할 의사가 없었으니 출시가 불가능할수밖에요. 보조금을 비롯해서 애플에 대한 특별대우다 뭐다 말들이 많은데, 그런 점도 영향을 줬을것 같지만 아무래도 제일 큰 장벽은 무선인터넷이 아니었나 싶네요. 아이폰 이후로는 그런식의 스펙다운이 많이 없어진것 같습니다.
10/06/01 18:05
밥그릇 싸움이죠..
통신사들이 무선인터넷 요금제로 돈 벌어 먹는게 상당해서 무료로 인터넷 쓸수 있고, 어플로 무료 통화도 가능하고, 어플로 무료 문자도 가능한 아이폰이 반가웠을리가요.. 소비자의 요구에 의해서 들여오긴 했습니다만.. 무선 인터넷+ 무료통화+무료문자가 들어있는 비싼 기본 요금제를 내놓을 수 밖에 없게 된겁니다.
10/06/01 18:39
아이폰 이전에 국산 스마트폰들도 WIFI는 거의 다 탑재하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가장 큰 손인 SKT에서 폰 제조에 대한 통제와 어플 마켓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고 싶었던게 가장 큰 장애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10/06/01 21:53
국내 기업 로비나 국내 정책과 제도로 들여오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도 크고요. 애플 요구사항이 지나치게 부담스러워서 협상 과정 자체에도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있다고 합니다. 어찌저찌 들어보니 이석채 회장의 강력한 의지가 아니었으면 국내 통신사들은 사실상 도박이나 마찬가지인 조건을 많이 애플에서 꺼냈더라고요.
10/06/01 22:42
아이폰이 들어온 이후 달라진 점들을 생각해 보면 통신사들에서 결사적으로 반대했던 이유들이 보이죠. WIPI, Wifi, 3G 비용, 밸소리, 멜론도시락 DRM음원 등등...아이폰 출시 이후로 폭리를 취하던 서비스들이 대폭적으로 거품이 빠져서 해외와 비슷한 수준의 서비스를 소비자가 받게 되었죠.
저는 아직도 군대 제대 후에 핸드폰 사러 갔다가 입대 전에 쓰던 핸드폰의 UI가 동일하게 판매되는걸 보고 '어떻게 발전이 없지?' 라는 엄청난 충격에 빠졌던 기억이 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