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10/09 11:54:39
Name 이블린
Subject 어려운 노래 부르는 질문입니다
제목이 어째 좀 이상하게 되버렸는데
말그대로 제가 노래를 즐겨부르는편인데
어려운 노래가 있습니다
그냥 체계적인 강습같은거 없이 친구들하고 노래방만 다니면서 부르는정도인데
그래서 그런지 어려운 노래가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음 제 학창시절 더크로스 야다 얀 같은 락이라하나요 고음 노래가 유행했었습니다
무작정 높은노래를 부른다고 잘부르는건 아니지만
그때 당시엔 이런노래가 히트치고 또래애들이 올라가든 안올라가든 부르는 추세라서..
여튼 그런노래를 주로 부르다보니 지금와서는 꽤 고음도 자신있어하는 편인데
제가 좋아하는 노래중에
정재욱씨의 가만히눈을감고와
엠씨더맥스의 굿바이투더로맨스 란노래가있습니다
이 두노래는 뭐라해야하지 너무 목소리가 안나온다해야하나
분명 음역대는 제가 못부를정도의 고음이 아닌거같은데
부르기가 너무힘들게됩니다 부르다보면
저 스스로 아 이건 쌩목이다라고 느낄정도로 힘들어집니다
쉬즈곤같은 엄청난 고음노래면 아 이노래는 아직 내가 힘들구나 할텐데
오히려 쉬즈곤같은건 되겠는데 싶은데
저 두노래는 부르다보면 호흡이 안되는건지 첫음부터 높게잡히는건지
쥐어짜다가 생목작렬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창법이 다른걸까요
가성? 같은걸로 부르는노래인걸까요
제가 용어같은걸 잘몰라서 쉽게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너에게힐링을
12/10/09 11:58
수정 아이콘
중음이 비어서 그런거 아닌가요?
저도 한때 고음병 걸렸을 때를 생각하면 천년의 사랑 같은건 반키만 내려도 올렸는데
정작 이승철의 인연이나 박효신의 눈의 꽃은 잘 안되던게 생각나네요.
그때 주변의 평가가 중음이 많이 빈다였거든요.
12/10/09 12:00
수정 아이콘
고음에서 전환이 좀더 쉽습니다. 만약에 글쓴이분이 고음노래를 하는데 부담없이 그리고 한곡 처음부터 끝까지 완창이 가능하시다면
흉성부분과 두성부분의 연결이 매끄럽지 않은 겁니다. 특히 2옥미~파 근처에서 전환이 되는데 이 근처에서 전환이 안되는 겁니다.

고음을 지를때 그 가성느낌을 좀더 낮은 음에서 부드럽게 연결되게 연습해보세요. 엄청어려워요.
부스터온
12/10/09 12:07
수정 아이콘
음..제 친구중에 비슷한 타입이 있는데
그 친구와 대입시켜보면 대략 이렇습니다
그 친구는 목소리가 크고 성량이 좋은 편입니다
그래서 이른바 '지른다고'하는 곡들, 즉 글쓴분께서 말씀하신 야다나 얀같은 노래를 자신있게 선곡하는데
매번 말해주지만 그 친구는 고음부에서 '더 큰 소리'를 내지 '더 높은 소리'를 내는게 아니거든요
저음부에서는 목소리가 작고, 고음부에서는 목소리를 크게 내는게 그 친구가 노래하는 방식이에요 ;
때문에 정재욱씨나 조성모같은 일반 발라드는 아예 음을 못 잡습니다
글쓴분도 이와 비슷한 경우가 아닐런지...
12/10/09 12:20
수정 아이콘
이거 딱 제 친구같은 경우같네요.

고음노래는 소리가 쫙쫙 나오는데 딱 그 직전음 같은거에선 힘들어하고 삑사리 내고 그럽니다.

두성인지 뭔진 모르겠는데 여튼 일반말할때 소리내는 방법하고 고음부를때 방법이 다른건데 그게 변하는 부분이 익숙하지가 않은거겠죠.
만렙소갈딱지
12/10/09 13:24
수정 아이콘
아예 고음의 경우는 가성부에서 소리를 냅니다(성대의 벌어진 소리). 그리고 중음이 빈 고음은 대체로 지른다고 표현하며 가성에 호흡을 몰아쳐 큰 성량으로 지르는, 가성을 가성처럼 느껴지지 않게 하는 기교를 냅니다(샤우팅). 2옥타브 미~솔이 첫번째 영역, 라~시가 두번째영역으로 보통 나뉘는데.. 이 두가지 영역은 '가성도 진성도 아닌 소리'를 내야합니다. 즉, 그냥 육성만으로 내기엔 높고 가성으로 내기엔 낮아요. 그래서 흔히 이 영역의 목소리를 '섞인 목소리'라고 표현하며, 성대의 붙임소리를 낸다고 표현합니다. 이러한 중음의 표현을 원활하게 하기위해선 후비강공명(코 뒤쪽의 비구강개공간)이라 불리는 감이 있어야하며, 호흡을 효율적으로 많이 몰아치지 않으면서 성대가 잘 붙어있는 상태에서 나오는 짱짱한 소리가 필요합니다. 저 두가지 음의 영역을 대체로 브릿지 구간이라 부르며, 저 부분을 부담없이/무리하지 않고 음을 짚어낼 수 있게 하는 것이 현대 대중가창 발성의 특징중 하나입니다.
친절한 메딕씨
12/10/09 20:16
수정 아이콘
어려워 하시는 두 노래를 들어 봤습니다.
명쾌하네요. 본인이 가진 목소리가 다를 뿐입니다.

흉성, 두성, 가성, 반가성 등등..........
솔직히 이런것들 약간 다듬을 뿐입니다.
중요한건 타고난 목소리입니다.

좋고 나쁨의 차이가 아니라.. 톤 이라고 해야하나....???
암튼.. 클래식에서도 괜히 테너, 바리톤, 베이스 나눈게 아닙니다.
테너라고 고음이 더 잘올라 가는가 물어 보신 다면 그것도 아닌 것이 실례로 제가 테너인데 바리톤인 제 지인이 반음 더 올라 갑니다.
저는 2옥타브 B(b) - '시'플랫, 바리톤은 B - '시'온음... 클래식 발성을 기준으로 얘기 했을때 얘기 입니다.
근데 왜 제가 테너를 하느냐... 목소리가 톤이 맞기 때문입니다. 어울림의 차이라고 할까요?
바리톤이 고음을 내면 테너가 할때 보다 듣기가 좋지 않게 되있어요.
이건 타고난 것이니 어떻게 바꿀 수가 없어요.
박완규, 김경호 같이 억지로 바꾸다 보면 나중에 분명히 무리가 오고 나이들어 힘 떨어지면 음이 점점 떨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이승철, 이문세, 조용필 등과 같은 가수들은 타고난 목소리를 활용해서 노래를 하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도 콘서트 많이 하고 그러잖아요.
라이브 할때도 키 안낮추고 원키 그대로 가고..

이제 좀 이해가 되시나요...?
어려워 하시는 두 노래들은 클래식으로 비유하자면 바리톤이 내야 할 노래들입니다.
물론 따라하고 흉내 내보고 하다보면 비슷하게는 갈 겁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건 자칫 확 질러주는 클라이막스 파트가 약한 이런 노래들은 자칫 밋밋해 질 수 있기 때문에 감정처리..
즉, 기교를 최대한 살려 불러야 맛이 나겠죠...?

자.. 그럼 기교를 부릴 수 있는 몇가지를 알아보자면..

첫째....
일단 가사와 노래 분위기를 충분히 숙지 한 후.. 노래의 스토리에 맞게 감정이입 시켜야 합니다.
애절할땐 애절하게, 슬플땐 슬프게, 기쁠땐 기쁘게...
음악적 용어로 풀이하자면.. '여리게', '세게', '점점 세게', '점점 여리게', '갑자기 여리게', '갑자기 세게'
위 두 노래도 들어보니 분명히 그러한 부분들이 존재합니다.

둘째....
중간 중간 숨소리를 삽입해 보세요. 특히나 발라드 부를 때 이런 것들이 많이 나오는데요.
대게 도입부에 많이들 섞어서 하는 편입니다.

셋째....
적절히 비음(콧소리) 또한 섞여야 합니다. 위 두 노래 역시 그렇네요. 두 가수의 타고난 목소리와 적절히 섞인 비음이 파워가 약하고 고음부가 없는 클라이막스의 밋밋해 질 수 있는 분위기를 아주 훌륭히 커버해주고 있습니다.
단, 비음은 아무리 길어도 두 단어를 넘어가선 안됩니다. 그렇게 되면 정말 듣기 싫어지고 오히려 심한 역효과가 발생 합니다..

정말 중요한 넷째....
노래를 노래답게 해선 안됩니다. 뭔소리냐구요..??
말 하듯이.. 대화 하듯이.. 즉, 노래에만 너무 집중하다 보면 그저 노래하기에 바빠집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덧 부자연스러운 노래를 부르고 있는 날 발견하고는 자신감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위 네가지를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
네. 그렇습니다. 많이 듣고 곡 분석해보고 흉내 내보고... 다시 말해 연습이죠..

나에게 맞지 않는 노래를 잘 부르고 싶다면 내게 맞는 노래 보다 더 많이 연습해야겠죠..
근데 이것두 자전거 타는 것과 같은 이치로.. 한 번 이런 노래들을 마스터 하면 다른 노래들도 쉽게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아.. 길이 너무 길어 졌네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651 [크로우즈 - 워스트] 싸움실력 순위가 이정도면 맞나여? [4] HesBlUe14874 12/10/09 14874
148649 [급질문] 영화 '히트' 관련 급질문~ [1] Zeegolraid1348 12/10/09 1348
148648 갤럭시탭 10.1과 넥서스7중 어떤 것이 더 나을까요? [6] Jade1360 12/10/09 1360
148647 msl 다시보기 질문입니다.(무료) [3] Go_TheMarine1868 12/10/09 1868
148646 미더덕 좋아하시는 분 계신가요? [20] DEICIDE1852 12/10/09 1852
148645 오픈형 이어폰 추천좀 해주세요 [3] 포프의대모험1581 12/10/09 1581
148643 문사철이란 용어의 기원은 무엇인가요? [2] pain'2021 12/10/09 2021
148642 발표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5] 정화1632 12/10/09 1632
148641 에반게리온과 아청법... [3] 왜저러냐진짜..1852 12/10/09 1852
148640 중고로 야구 글러브 구매와 야구 동호회질문 [2] kogang20011275 12/10/09 1275
148639 [LOL]패치 후 코르키 관련 공략이나 플레이영상 볼만한데 어디 없을까요? [5] Vera1252 12/10/09 1252
148638 겨울에 스노우 타이어 쓰시나요? [3] Contax_Aria1530 12/10/09 1530
148636 [lol]랭겜 800판 했는데 심해입니다. [22] 6767561866 12/10/09 1866
148635 어려운 노래 부르는 질문입니다 [9] 이블린2419 12/10/09 2419
148634 컴퓨터가 오늘 도착 예정입니다. [4] 도시의미학1587 12/10/09 1587
148633 네이트 한글 메인 의미가 뭐죠? [14] ExposuRe1506 12/10/09 1506
148632 왜 수는 '크기' 일까요? [12] 개망이1786 12/10/09 1786
148631 책을 줄일 수 있을까요? [3] 라리1447 12/10/09 1447
148630 여성부... [5] 서늘한바다1266 12/10/09 1266
148629 이거 좀 무식한 질문일수도 있는데 한글 창제 이전에는 의사소통을 뭐로 했나요? [17] SuiteMan5215 12/10/09 5215
148628 혹시 친구분들이랑 자주 싸우시나요? [14] 서른 즈음에2929 12/10/09 2929
148627 연극 작업의 정석 괜찮나요? [1] 화무십일홍1598 12/10/09 1598
148626 경기 중단 요청은 왜 "PPP"일까요? [2] Fim3587 12/10/09 35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