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9/25 14:21:48
Name 메모박스
Subject 전세계약 질문 드립니다
자꾸 질문 드리게 되네요..집문제로 고생했더니 신중해야 해서..

전세 6000짜리 원룸을 계약하러 합니다
부동산에 물어보니 낮게잡아 건물이 10억정도고 융자는 5억정도 있어서 안전하다 하는데
인터넷으로 등기부떼어보니 아래와같이 적혀있습니다.


등기목적 근저당권설정
권리자및 기타사항
채권최고액 336,000,000,원
채무자 강xx
근저당권자 주식회사 우리은행
공동담보 토지 서울시 xxx 담보물에 추가

등기목적 근저당권설정
권리자및 기타사항
채권최고액 274,800,000원
채무자 강xx
근저당권자 주식회사 우리은행
공동담보 토지 서울시 xxx 담보물에 추가

채권최고액 합치면 약 6억원이네요
근데 이러면 만약 경매로 넘어가게 된다면
8억에 낙찰받는다해도 6억은 은행으로 가고 남은 2억으로 세입자에게 돌아가는건가요?
원룸건물이라 2억으론 택도 안될거 같아서 이럴 경우 임대차 보호법으로 2000만원가량 밖에 보호받지 못한다는데
진짜인가요?

경매 넘어갈일이야 없겠지만...너무 걱정스러워서...답변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메모박스
12/09/25 14:23
수정 아이콘
물론 케바케겠지만 이 건물이 완전 신축건물이고 세입자 들어오면 전세금으로 융자 상환한다고 하거든요..
경매 넘어가는 경우가 많을까요? 그리고 경매 넘어갈 가능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건물주 상황을 봐야하는건데 그걸 쉽게 알수는 없겠죠? 아 원래 오늘 계약인데 너무 머리 아프네요..
12/09/25 14:33
수정 아이콘
작정하고 못된 짓 하면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죠. 사기치려고 작정하면 무슨 짓을 해도 당합니다.
융자 상환한다고 구두로 약속을 한 거라면 계약서에 명시하도록 해보시고요.
본인이 잘 알거나 주변에 따로 도움 받을 방법이 없다면 결국 부동산 믿고 계약하는 게 답입니다.

그나저나 계약 전 계약금은 처음보네요. 어차피 계약은 하면 하는 거고 아니면 아닌거지 그 계약을 구두로 해놓고 또 계약금을 받는다니. 어쨌든, 계약금이라는 게 그런 용도니(계약 불발나는 데 대한 가격) 아마 못받겠죠.
메모박스
12/09/25 14:25
수정 아이콘
그리고 계약전에 일단 20만원 계약전계약금? 명목으로 걸어놓았는데
만약 계약안하게 되면 20만원은 못찾는건가요?
포도씨
12/09/25 14:42
수정 아이콘
채권최고액은 실제 빌린돈이 아닙니다. 보통은 빌린돈의 120%를 담보설정해놓습니다.
이자나 원금상환이 제대로 안이루어지면서 돈받기가 힘들어지면 경매처분되는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거든요.
그동안의 체납이자까지 예상해서 담보를 설정하는겁니다.
물론 경매까지 가는 사람이라면 120% 채우는경우가 대부분이겠지요.
자 그럼 메모박스님께서 걱정하시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보죠.

최근 경매낙찰가율이 70% 선입니다. 10억짜리 물건이 경매에 나오면 7억정도에 낙찰이 된다는 말이지요.
물론 물건마다 차이는 많습니다. 요즘선호하는 원룸건물이라면 금액이 더 높게 낙찰 되겠지만요.
메모박스님께서 예상하신 8억선에서 낙찰된다고 보면 2억정도의 돈이 남는데 이 남은돈은 입주자들이 확정일자 혹은
전세권설정일을 기준으로해서 빠른순서대로 돈을 받습니다.
이때 메모박스님께서 가장 뒤에 오셨고 앞에 돈받아야할 사람의 총 금액이 2억을 넘게되면 우선변제금액을 제외하고는 한 푼도 건질 수 없게될 수 있습니다.
보통 원룸건물은 월세가 대부분이지 전세가 많지 않은데(보통 다세대 다가구 주택의 경우 19세대정도인데 보증금 총액이 2억정도 되거든요) 전세물건이 있는점과 대출이 많이 껴있다는 점을 보아 집주인의 자금사정이 넉넉하신 분은 아닌듯 싶습니다.
한마디로 실제 가진돈 2~3억정도로 전세안고 대출끼고 무리해서 구입한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저라면 다른곳을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중개인은 철저히 집 가진사람 편이기에 정확히 대답은 안해주겠지만 넌지시 한번 물어보세요.
전세가 몇 가구에 금액이 얼마나 되느냐...하구요.

계약금은 집주인만 괜찮은 사람이라면 돌려받으실 수 도있지만 못 받을확률이 더 많습니다.
하지만 20만원때문에 6000만원을 위험에 빠뜨릴 수야 없지요.
포도씨
12/09/25 14:47
수정 아이콘
배려님 말씀대로 계약서에 대출금일 일부 상환한 후에 감액등기를 조건으로 계약하는 경우도 있지만
감액등기후에 채권최고액으로 다시 대출받는 답없는 사람도 있답니다.
포도씨
12/09/25 14:52
수정 아이콘
하지만 위에 말씀드린것은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인 것이고 사시는동안 아무 문제 없을 확률이 실제로는 더 크겠지요.
그러한 리스크를 얼마만큼으로 보느냐는 전적으로 메모박스님의 판단에 달려있습니다.
집주인이 나이는 어느정도인지 현재 직장은 어디를 다니고 있고 원룸말고 다른 소득이 있는지 등등을 확인하셔서
종합적으로 위험도를 판단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네요.
저는 작년에 전세집 옮기면서 아예 대출이 없는 집을 시세보다 2천 더주고 얻었는데 만족합니다.
이건 내집이 아닌데도 부동산 떨어진다고 하면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살긴 싫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7376 LOL 시즌 보상과 현재 점수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5] 젊은아빠1517 12/09/25 1517
147375 pgr 점수포인트 얼마 정도나 되시나요??? [33] 아오이소라카1588 12/09/25 1588
147374 [미드질문] 블루스테이트 마운틴같은 미드없나요? [4] Swings2084 12/09/25 2084
147373 연인들 권태기는 언제쯤 오나요? [13] 당일대출6282 12/09/25 6282
147370 가장 화면이 작고 가벼운 스마트폰은 무었일까요? [13] 물덕3078 12/09/25 3078
147367 그 여자의 마음을 전혀 모르겠습니다(멘붕입니다.. 도움좀..주세요!) [23] 별일없다5639 12/09/25 5639
147366 연예계 유망주 누가 있을까요? [26] queens park rangers2133 12/09/25 2133
147364 아침에 샤워 안하시는 분들 [36] 마이프레져4165 12/09/25 4165
147363 스타2에 인기 유즈맵이 없는 이유는? [11] StayAway2097 12/09/25 2097
147362 스마트폰 인터넷 어플 어떤거 쓰시나요 [16] 여자친구2684 12/09/25 2684
147361 저도 연애상담을! [11] nani1694 12/09/25 1694
147360 디스퀘어드 4계절용 청바지 질문입니다 [4] 흥엉이1845 12/09/25 1845
147359 마음있는 여자애 생일선물 뭐가 좋을까요?? [21] 대구2313 12/09/25 2313
147358 익스플로러9 즐겨찾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못 바꾸나요?? [3] Helloween4008 12/09/25 4008
147356 lol 레벨18에 노아이템 맞짱 중 가장 센챔프는 누굴까요? [22] 말룡2474 12/09/25 2474
147355 [LOL]스토리설정상 이블린보다 1:1강한 챔프가 있을까요? [16] Tad4993 12/09/25 4993
147352 [LOL]해탈한걸까요 정신줄을 놓은걸까요? [3] legend1674 12/09/25 1674
147351 전세계약 질문 드립니다 [6] 메모박스1363 12/09/25 1363
147349 서울 2호선라인 (강남 - 신도림) 괜찮은 횟집 추천바랍니다. [1] HesBlUe1535 12/09/25 1535
147348 전체적으로 팔근육 키우는 운동이 뭐가 있을까요 [11] 허저비2768 12/09/25 2768
147347 [LOL] 노멀하는데 사람들이 저보다 레이팅이 많이 높습니다. [20] Tristana1719 12/09/25 1719
147346 [lol]시작을 해보려는데 모르는게 너무 많네요.. [10] 날씨1907 12/09/25 1907
147345 F1 입문 정보 [4] 스타2나왔다1681 12/09/25 16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