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04 14:02
본인 출장시 실점률을 보면 되죵.. =.=;;
팀이 못하고 혼자서 잘하는 케이스 자체가 별로 없긴 하지만 테클 성공률 등을 보기도 합니다. 윙백 같은 경우에는 공격 가담을 보구요. 사실 공격수나 미드필더도 객관적인 지표란건 있을수가 없긴 합니다. 1-2골 승부가 대부분이라..
12/09/04 14:37
축구에서 수비수의 경우에 클래스를 가늠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안정성입니다. 실수는 월드클래스 선수도 합니다. 게다가 자신의 실수가 아니라 골키퍼의 어이없는 실수나 동료 수비수의 실수, 혹은 호흡 문제도 감안해야하기 때문에 사실상 출전시 실점이나 이런건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 있어도 지표가 되긴 힘들지요. 따라서 수비수에게는 객관적인 기록 지표라는 건 사실상 의미가 없고, 경기 전체를 보면서 얼마나 안정적으로 경기를 운영하는지가 가장 중요한 사항이지요. 90분 완벽한 수비를 펼치고 마지막에 단 한번 실수로 골먹을 수 있는게 수비수니까요. 또 태클 성공률 오지게 높아도 공중볼이 약하다거나 발이 느리다거나 차단을 더럽게 못하거나 축구 지능이 떨어져서 라인도 제대로 못지키는 얼간이일 수도 있지요.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 반대로 한두가지 능력은 떨어지는데 나머지 부분에서 대단히 안정적이고 좋은 수비수도 있죠. 그래서 세분화된 역할이 있는거죠. 미들에도 수비형 미들과 공격전개하는 미들이 나눠져 있잖아요? 이건 공격수나 미들도 똑같은 부분인데 (사기꾼이라는 말이 왜 있겠습니까) 객관적인 기록 자체는 있지만 그걸 선수가 잘하느냐 못하느냐를 결정짓는 절대적 객관지표는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축구공은 둥그니까요.
12/09/04 14:42
돌파저지율, 헤딩경합승리율, 태클성공률, 크로스저지율, 패스차단율 등의 수치가 있어요.
야구와 달리 절대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충분히 참고할 만한 데이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