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9/03 21:05:45
Name 야수
Subject 전공과 관련없이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나요?
제곧내 입니다.

컴공과 혹은 그 유사과가 아닐 경우에도 C 기초정도만 알고있는 상황에서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는 경로가 있나요?

물론 될 수 있다해도 그쪽에서 가장 낮은 자리부터 시작할테지만 경력을 쌓으면 대기업으로의 이직이나

대학원 진학(해외포함)등은 가능한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onde Grano
12/09/03 21:10
수정 아이콘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주요 업무를 맡았다는 포트폴리오만 제출할 수 있다면 전공과는 무관해도 프로그래머로 취직할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는 사람 구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널려있으니 취향에 맞는 곳에서 활약해놓으시면 되구요, 혹은 탑코더같은 온라인 코딩 시합에서 입상경력도 좋구요.
잘만 하면 애플이나 구글에서도 모셔갑니다 학과가 무슨 상관이에요 실력만 좋으면 성공하는 프로페셔널의 세계인걸요.
허저비
12/09/03 21:30
수정 아이콘
그렇긴 한데
왜 하필 프로그래머를 원하시는지...
말리고 싶네요...
Siriuslee
12/09/03 21:31
수정 아이콘
비전공자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능력만 된다면요.. 단순 코딩과 프로그래밍은 정말 다릅니다.
12/09/03 21:34
수정 아이콘
그런쪽으로 능력을 쌓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책보고 인터넷 찾아보고 독학만이 유일한 방법인가요?

게임프로그램같은 경우 학원지 잘 돼있다고 들었는데 그 외에는 어떤 방법을 통해야 하나요?
고마유
12/09/03 21:38
수정 아이콘
학과가인문대인데
선배중 한명이 컴공 다중전공중입니다
JavaBean
12/09/03 21:56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밍 분야는 정말 대단한 세계입니다.

본인이 열심히 공부한 상태에서 스스로의 가치를 낮추지 않고 구직 활동을 한다면..
보통의 타 분야와 비교해서 적지 않은 급여로 경력을 시작 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신입사원들 보다, 1년 반 정도만 빡쎄게 고3처럼 공부하다 보면,
어느새 어지간한 대학교의 4년제 정규 교육과정을 받은 학생보다 우위에 선 자신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시험때만 공부하므로.. -_-;)

코딩은 생활이 되어야 합니다.
늦게 시작했다면, 적어도 하루에 1개의 간단한 프로그램이라도 만드는 버릇을 들여야 합니다.
또는 일주일에 하나정도의 중간 난이도의 프로그램이라도 만들어야 합니다.

정말로 실력이 중요한 세계입니다.
저 같은 경우, 토익, 자격증 없이 기술면접에서 좋은 인상을 주고 취업에 성공했고, 2년차인 지금

급여가 4천만원은 약간 안되지만... 거의 그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고 있습니다.
물론 연봉 인센 수당 합한 금액이지만.. 2년차 치고는 좋은 급여 입니다.
드리고 싶은 말은, 인정받을 수 있는 실력을 키우더라도, 인정을 해주는 회사로 가시라는 겁니다.
지금은 아직 자신감이 없으셔서 스스로를 낮추시지만, 앞으로 열심히 노력 하시고, 스스로의 가치를 낮추지 마세요.

또한 열심히 한 만큼, 면접때 남들보다 더 많은 여유를 확보하실 수 있고, 면접관들에게도 좋은 인상을 줍니다.

건승하세요 :)
Monde Grano
12/09/03 22:10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밍 공부하는 방법을 잘 모르면 독학보다는 단기과정의 학원에서 기초를 쌓는 게 좋을거에요. (6개월~1년) 찾아보면 많이 있습니다.
12/09/03 23:52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12/09/04 01:37
수정 아이콘
학위가 없어도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학사 이상의 학위 없이 뛰어난 프로그래머는 보지 못 했습니다.
그 이유는 학위 자체가 프로그래밍 실력과 직접 관련이 있다기 보다는
공부를 잘 하기 위한 요소가 상당히 프로그래밍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략적으로 그 요소란 자기관리, 인내력 그리고 뛰어난 수학 실력, 사고력 등입니다.

하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서는 분명히 스펙이란 요소를 비교적 쉽게 뛰어 넘을 수 있는 분야이긴합니다.
물론 다른 것에 비해 '비교적' 그렇다는 말입니다.
이쪽 세계에서도 엄연히 학벌이 있고, 해외파나 천재파들이 존재합니다.

여담으로,
혼히 말하길 뛰어난 아키텍쳐는 양성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다고 하는데,
이 말은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된다는 것은 상당부분 타고나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노력으로 안 되는 것은 없겠으나, 이 세계를 알면 알수록 뛰어난 천재들이 많다는 걸 깨닫게 될 겁니다.
이와 비슷한 말로는 "포인터를 이해하는 능력은 유전자에 새겨져 있다" 라는 말도 있습니다.
앞의 말과 일맥상통하는 말입니다.

프로그래밍이 진입 장벽이 분명히 낮은 분야입니다만, 이 세계는 무한이 넓고 깊은 세계입니다.
물론 성역은 없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포인트는 생각만큼 만만하지는 않을 거라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타분야에 비해서는 실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영역이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128 운동을 한달했는데 오히려 근육량이 줄었습니다. [13] The_piece4484 12/09/03 4484
145127 flv.001 파일 [4] 오크의심장1833 12/09/03 1833
145126 약혐) 만취자가 저에게 토했습니다 [14] 티파남편2350 12/09/03 2350
145124 [LOL] 롤은 왜 이렇게 어려운걸까요? [23] 아브라카타브라2182 12/09/03 2182
145123 한양대 에리카 학교 어떤가요?? [5] 요우2840 12/09/03 2840
145122 기업 자소서 작성시 질문입니다. [2] 칙촉1247 12/09/03 1247
145121 결혼식이 있어서 정장이 필요합니다. [5] QWERTY1714 12/09/03 1714
145119 요즘 비행기 내에서 스마트폰 사용... [10] 밀가리2156 12/09/03 2156
145118 pk티 세탁 어떻게 하시나요?? [16] 싸나이로망7314 12/09/03 7314
145117 한국내 외국계 기업 취업 질문입니다. [7] 세이밥누님1725 12/09/03 1725
145116 혹시 만화책 튀는 사나이(데카슬론)를 아시나요?? [3] 라리사리켈메v3192 12/09/03 3192
145115 전공과 관련없이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나요? [9] 야수1884 12/09/03 1884
145114 미니 오디오를 컴퓨터 스피커 대용으로 쓸수 있나요?? [4] 고등어3마리1535 12/09/03 1535
145113 바지 색깔 질문좀 하겠습니다 태희냥S21240 12/09/03 1240
145112 스타2 추가 구매를 할 수 있나요? [1] 워크초짜1310 12/09/03 1310
145111 SKT 공기계로 약정할인을 받을 수 있나요? [4] 지바고1916 12/09/03 1916
145110 친구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24] 고양이맛다시다2127 12/09/03 2127
145108 [LOL] 카서스 팁좀 주세요. [10] 6767561858 12/09/03 1858
145106 자동차 보험관련하고 차량 블랙박스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시민1231 12/09/03 1231
145104 음악 관련 질문입니다! [2] OutLiNe1315 12/09/03 1315
145103 실수라는 부분을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15] 머신테란 윤얄�1739 12/09/03 1739
145102 유튜브 속도 얼마 정도 나오나요? [21] 소나비가1969 12/09/03 1969
145101 면접용 정장 구매 어디서, 뭘로 할까요? [7] 낭만토스2115 12/09/03 21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