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7/13 13:06:05
Name 칸쵸
Subject 임요환 vs 이영호
밑에 조던 vs 코비로 시끄럽군요
밑에 리플에 보면 조던이 신이라고 그러던데...

그렇다면 이영호와 임요환의 대결이라면??
임요환은 황제이고
갓영호는 신이니까
이영호가 이기겠죠?

인지도와 인기로 따지면 임요환이 더 높겠지만
실력으로 따지면 이영호인듯...

p.s) 유머 포인트는 갓영호입니다.
안웃기다구요?
웃길거예요...
잘 생각해보세요...
흑흑...
* 포포리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2-07-13 13:3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7/13 13:07
수정 아이콘
간지대결은 황제가 이깁니다. 다른건 백중세죠.
12/07/13 13:07
수정 아이콘
특히 머리 크기가 백중세인 듯...
12/07/13 13:12
수정 아이콘
허걱.. 크크킄크크크크크크...
12/07/13 13:07
수정 아이콘
테란서열은 머리크기로 정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RuleTheGame
12/07/13 13:07
수정 아이콘
이거야 당연히 이영호 승..
보통 동시대가 아니면 기록으로 비교를 하게 되는데,
이영호가 임요환보다 훨씬 좋지 않나요?

밑에 나오는 코비 vs 조던도 어이가 없는게.. 코비가 조던보다 앞서고 있는 게 하나도 없습니다;
근데도 '실력적으로는' 뛰어넘었다.. 라고 하니까 조던 팬들이 어이가 없는거죠;
절름발이이리
12/07/13 13:07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는 머리 대결이니까 머리가 큰 임요환이 이깁니다.
KS Drizzle
12/07/13 13:12
수정 아이콘
머리크기라면 이영호 선수도 만만치 않죠.
12/07/13 13:08
수정 아이콘
임요환 공군 시절 에결에서 이영호 잡았던 경기 생각나네요 크
군인동거인
12/07/13 13:15
수정 아이콘
카메라 눈치보는 그 경기였나요?크크크
김동률
12/07/13 13:09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가 나온지 한 50년쯤 되고 임요환선수가 30년정도에 황제소리를 들었다면 모를까..

임요환 선수는 스타 초창기었고... 이영호 선수는 황혼기의 선수인데

솔직히 실력은 비교가 안되죠.

조던 코비랑은 좀 많이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아우구스투스
12/07/13 13:23
수정 아이콘
임요환과 이영호는 거의 마이칸과 조던 혹은 코비 혹은 르브론 정도가 되겠죠.
12/07/13 13:11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화요일이 왜이렇게 안오는걸까요 ㅠㅠ

이영호 화이팅!
마바라
12/07/13 13:11
수정 아이콘
무슨 투표인가요?

역사상 최강의 선수를 뽑는거면 이영호.

역사상 최고의 선수를 뽑는거면 임요환에게 투표하고 싶네요.
KS Drizzle
12/07/13 13:13
수정 아이콘
두 선수의 상대전적은 1:1 로 알고 있습니다. 크크
화력발전소
12/07/13 13:13
수정 아이콘
[임]
smallsteps
12/07/13 13:15
수정 아이콘
[이]
절름발이이리
12/07/13 13:17
수정 아이콘
이영호는 [꼼] 이죠.
아우구스투스
12/07/13 13:22
수정 아이콘
임요환은 [[임]] 이죠.
아우구스투스
12/07/13 13:24
수정 아이콘
이건 진짜 애매한데 사실 임요환과 이영호를 비교한다면 이게 적절할지 모르지만 농구로 치자면 임요환은 조지 마이칸부터 빌 러셀정도 시기의 선수라면 이영호는 조던부터 (중간에 코비) 르브론 사이에 위치한다고 봐도 무방하죠.

조지 마이칸이 40년대고 빌 러셀은 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조던은 80~90년대고 르브론은 2000년대이니까요. 최소 20년 최대 60년의 차이가 나는거죠.

테란으로 치자면 임요환이 조지 마이칸에서 빌 러셀 전까지, 시기가 뒤바뀌었지만 최연성이 빌 러셀이나 윌트 채임벌린, 이윤열은 압둘자바(즉 압둘자바가 먼저 나오고 빌 러셀이나 채임벌린이 늦게 나온거죠.)-이 둘은 6회 우승, 6회 MVP까지 같네요- 그리고 이영호가 조던이라고 봐도 무방하겠죠. 이영호도 데뷔한지 꽤 되었고... 워낙 많은 것을 이루었기도 하니까요.


야구로 치면 임요환은 베이브 루스 시대(1920~30년대), 이영호는 본즈(물론 약물을 제외해보죠.), 축구로 치면 임요환은... 펠레 혹은 그 이전 시대, 이영호는 메시로 비유할 수가 있겠죠.

야구로 치면 임요환-루스, 이윤열-디 마지오 되려나요? 최연성은 왠지 쿠펙스 느낌이 난다는... 근데 투수라는게...

축구로 하면 임요환-펠레, 이윤열-마라도나, 최연성-브라질의 호나우두 혹은 지단, 이영호-메시 정도에 비유할 수 있다고 봅니다.
웃으며안녕
12/07/13 13: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으로 임요환VS이영호는 마라도나VS메시 같은 느낌이 있는데 메시가 월드컵트로피 2번 들어올린 느낌이랄까
(그렇다고 마라도나의 업적을 깍아내릴 필요는 없지만)
12/07/13 13:25
수정 아이콘
이건 실제로도 커리어 자체에서 이영호선수가 너무 앞서죠. 이건 이영호선수가 조단 임요환선수가 코비입니다. (커리어면에서) 조단의 상징성에 비견되는거면 당연히 임요환선수겠지만요.
KalStyner
12/07/13 13:25
수정 아이콘
지금이야 이벤트리그 취급 받는 대회들까지 하면 임의 커리어가 딸릴 것 같진 않지만, 지금은 당시 자료 찾기도 힘드니.. [m]
12/07/13 13:29
수정 아이콘
두 시대를 다 봐왔지만 이영호가 압승입니다;;
아우구스투스
12/07/13 13:31
수정 아이콘
진짜 이건 pgr의 많은 분들이 두 시대를 다 봐왔을 겁니다.

한 표 던집니다.
12/07/13 13:33
수정 아이콘
이영호 압승이요. [m]
쇼쿠라
12/07/13 13:36
수정 아이콘
스타같은 경우 정말로 말도안되게 실력들이 상승해와서 단순실력같은경운 비교도 안되죠
아닌말로 지금 아마고수가 12년전으로 돌아간다면 아마 아마고수>>임요환 전승우승;
그래서 그 시기에 다른선수들에 상대적으로 얼마나 뛰어났느냐를 봐야되니
결과적으로 커리어를 보게 되는데 스타초창기에 자잘한 이벤트 대회가 많아서
단순우승이나 영향력같은건 아마 임요환 선수가 높을지도 모르지만
그 선수의 그시대에 대한 지배력이나 실력만 따지면 사실 이영호 압승이라고 봅니다
아스날
12/07/13 13:37
수정 아이콘
펠레(임요환)vs메시(이영호)

실력은 이영호죠...물론 스타1을 넘어 프로게이머로서의 상징성은 임요환
greensocks
12/07/13 13:38
수정 아이콘
저 역시 두시대 모두 직접 봤었지만
뭔가 경기의 파괴력?을 생각해보면 이영호의 압승이네요..
임요환 선수는 물론 실력도 있지만
실력 외적인 부분에서 뭔가 임팩트가 컸죠.......
챈들러
12/07/13 13:41
수정 아이콘
아주 최근엔 스타 경기를 거의 못봐서 최근 추세는 잘 모르구요.
두 선수 모두 도무지 질 것 같지 않은 무적의 포스를 자랑하던 시기가 있었는데,
임요환 선수는 그 기간이 1년 정도라면(짧게 봐서),
이영호 선수는 3~4년 이상이고 지금도 진행중이라는 게 큰 차이인 것 같네요.
겜큐 시절부터 스카이배였나 김동수 선수에게 지고서 준우승했을 때 정도까지,
임요환 선수도 분명 지금의 이영호 선수 못지 않은 압도적인 '무적의 포스'를 자랑했었죠.
다레니안
12/07/13 13:47
수정 아이콘
최강은 이영호
최고는 임요환 [m]
매콤한맛
12/07/13 13:59
수정 아이콘
커리어 : 이영호
인기 : 임요환
OnlyJustForYou
12/07/13 15:50
수정 아이콘
스타판 최고는 임요환이죠.
절대비교는 불가능할 정도지만요.
12/07/13 18:33
수정 아이콘
선구자가 완성자보다 위대합니다.
완성형폭풍저
12/07/13 19:37
수정 아이콘
이영호선수의 압승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최연성의 유물과 저그의 삼신기로 극상향평준화의 시대라고 일컬어지던 시대에서 1년동안 개인전 단체전 모든 메이저대회의 결승에 존재했다는 것이 매우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무려 이윤열시대 이후로 양대 우승은 불가능하다고 모두가 인정하던 그 시대에 3연 양대 결승과 그림같은 3번째 양대결승진출에서 양대우승을 먹었다는 점. 게다가 대진운도 기가 막혀서 이영호를 잡을 사람은 XX밖에 없다고 생각하면 귀신처럼 매치가 성사되고 여지없이 격파하며 우승했다는 점에서 게임 내적으로만 본다면 압도적으로 역대 최강이라고 생각합니다.
12/07/13 19:42
수정 아이콘
다른 건 모르겠고..
스타리그 4강이나 결승에서 만나면..
백중세가 아닐까 합니다..
그냥 프로리그에서 한경기를 하면 이영호가 승률이 80% 정도 높을것 같지만..
4강이나 결승에서는 임요환선수가 그냥 질것 같지는 않거든요..
릴리러쉬.
12/07/13 19:44
수정 아이콘
상징성 인기 제외 이영호 압승이죠.
12/07/13 20:15
수정 아이콘
메시가 펠레보다 잘한다고 말하는거랑 다를바 없죠. (물론 이건 사실입니다)
Marionette
12/07/13 20:24
수정 아이콘
한빛배 우승당시에 당시 3대 메이저급 대회였던 게임큐와 ITV까지 3개 대회에서 3패인가 4패만 하고 결승전은 전부 3:0 셧아웃
하지만 임요환의 최전성기 대회들이 지금은 전부 이벤트 대회 취급당하는 상황인지라...
(심지어 국내예선부터 전승우승했던 2001WCG 포함 WCG연속우승도 잊혀지고 있죠..)
Go_TheMarine
12/07/13 23:38
수정 아이콘
임의 초창기커리어도 무시무시했지만
이영호의 갓모드는 너무 셌습니다
1년동안 모든대회결승에 갔자나요
양대3연속결승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0281 멸치조림에 올리고당과 설탕을 넣었더니 굳어졌어요 [7] balance2692 12/07/13 2692
140279 금방 KT 14년차...라고 골드클래스라고 무료로 스마트폰으로 교환해준다고 전화를 받았습니다.... [16] 스타카토2159 12/07/13 2159
140278 재미로 따져보는 향후 e-sports 대세 스타2 vs LOL? [29] Tad2183 12/07/13 2183
140277 [nba] 원조 드림팀 vs 2000년대 중반 올스타 [28] 임금2213 12/07/13 2213
140276 윤하 4집 어떤가요? [16] 진리는나의빛2166 12/07/13 2166
140275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생활하시는분들 한 달 평균 생활비가 얼마나오세요? [26] Eva0102501 12/07/13 2501
140274 엑셀 사용법 질문드려요- [2] 다시한번말해봐1521 12/07/13 1521
140273 이번에 텝스알바를 하게되었는데 무슨일을하나요? [3] Cherish2167 12/07/13 2167
140272 임요환의 얼라이 마인에 대해서. [59] 찐쌀5826 12/07/13 5826
140270 매운음식과 간지러움. [9] 삭제됨2459 12/07/13 2459
140268 얼마남지않은 방학과 자격증에 대한 문의 [1] 나는할수있다1276 12/07/13 1276
140267 [디아] 초보 만렙 법사 불지옥 조언 부탁드립니다. [8] Propose1321 12/07/13 1321
140266 25살 막 대학졸업한 나이 여자들이 좋아하는 화장품 메이커는 뭐가 있나요?? [14] 선동가2590 12/07/13 2590
140265 [LOL] 혹시 징크스 중에 "상대방에 이 챔프 있으면 항상 진다" 이런 챔프 있나요?? [22] 아크2148 12/07/13 2148
140264 효순이 미선이 사건의 전말? [14] 모래3494 12/07/13 3494
140263 팩스를 송신 할 때에도 토너를 사용하나요? [1] 진리는나의빛1560 12/07/13 1560
140262 맥주 좋아하시는 분들 질문! [11] ㅇㅇ/1547 12/07/13 1547
140261 강남에 맥주집 추천 부탁드려요 [6] 바닥인생1910 12/07/13 1910
140260 디아3 골드복사가 되었던 것 같지 않나요?? [16] Yes1861 12/07/13 1861
140259 친구를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금전,대출관련] [10] 시크릿전효성2164 12/07/13 2164
140258 술먹고 필름이 자주 끊깁니다.. [19] 아스날8417 12/07/13 8417
140257 임요환 vs 이영호 [43] 칸쵸5142 12/07/13 5142
140256 농협 채움콘서트 티켓(내일공연) 급매관련 질문 [2] Zwei1302 12/07/13 13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