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06 10:12
* 일단 33%를 먹이는 기준은 3억이 넘었을때 입니다. 현재 스타리그나 프로리그등 주어지는 상금은 보통 그정도가 아니기 때문에 22% 입니다.
ANS 1) 워3 리그를 잘 몰라서, 저는 반대로 생각해봤습니다. 워3 프로게이머가 스타리그에 나와서 우승을 하면 어떻게 될까? 이걸 해결하려면 일단, 대회규정을 봐야겠지요. 스타리그나 MSL, 프로리그 같은 경우엔 참가하려면 스타크래프트 프로자격증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애초에 이런 경우가 없겠네요. 워3 대회 규정도 살펴보면 워3 프로게이머 만 참여가 가능하지 않을까요? 이건 워3 아시는분께서 답변 달아주실거라 믿고 넘어갑니다. ANS 2) 협회가 사라지면 프로게이머 사라집니다. 새로운 공인 협회가 생기기 전까지 대한민국에 프로게이머 라는 직업은 공식적으로 없는거죠.
10/08/06 11:18
① 프로게이머의 개인사정 또는 공인종목의 취소 등으로 종목변경 및 복수 종목자격 취득을 원할 경우
등록위원회에서 심의하여 결정한다. ② 프로게이머 종목변경 및 복수 종목자격 취득 요청 시 변경종목의 공인대회에서 입상하면 심의와 관계 없이 자격을 취득 할 수 있다. 스타게이머가 워3 입상하면 프로게이머자격을 얻기때문에 워3프로게이머 자격 취득이 자동으로 되는거 같군요.. 그전에는 따로 신청하지않는 이상 아마자격인가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