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7/20 14:01
지역연고제 정착을 위해서입니다. 야구도 장기적으로 지역명이 전면에 나서도록 바꿔야 하는게 정상이죠.
더군다나 축구 구단중 인천, 경남, 강원, 대전, 대구등은 시민구단입니다. 당연히 지역명이 전면에 나와야합니다. 서울과 제주는 연고지 이전하면서 팀명에서 모기업 이름을 빼고 이전한 연고지명으로 바꾸었구요. 외국의 경우 일본은 한국과 비슷하게 야구는 기업명이 전면에 나오고 있습니다. 축구는 혼용되지만 지역명이 먼저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의 야구와 유럽의 축구는 지역명이 전면에 나옵니다.
10/07/20 14:07
그냥 처음에 그렇게 시작해서 그렇습니다..
유럽의 축구나 미국의 야구는 자생적으로 팀이 생기고 그게 인기가 되고 돈이 되니까 기업의 스폰서가 붙은건데 비해,(스타크래프트 팀들과 유사한 형태죠..) 우리의 프로스포츠는 국가가 나서서 의도적으로 팀을 만들고 하다보니 돈이 있는 기업이 나서주는게 절실했고 그래서인지 기업명을 내세워 팀을 만들었습니다.. 이건 야구 축구 모두 처음엔 같았습니다.. 예전에는 축구팀도 삼성, LG, SK 이렇게 불렀었죠.. 그러나 어느순간부터 축구는 유럽 클럽들처럼 스폰서 기업이 뒤로 숨는 형태가 됐습니다.. 제가 K리그를 잘 몰라서 패스하고... 외국의 경우는 일단 유럽의 축구와 미국의 프로스포츠는 기업명을 팀명으로 쓰지 않는데, 일본은 우리와 유사합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요미우리는 요미우리신문사고, 치바 롯데 마린즈에 롯데도 기업명이죠.. 일본도 기업이 나서서 팀을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10/07/20 14:47
축구도 야구랑 똑같습니다.
대기업이 창단하여 소유하고 있는 구단은 기업명을 강조합니다. 수원 삼성 울산 현대 등등요. 다만 시민구단(기업에서 창단한것이 아니라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창단을 하고 그 지역 기업들에서 스폰을 조금씩 받아서 운영되는) 구단은 당연히 소유주가 시자체 이므로 그냥 대전 시티즌 인천 유나이티드 경남 fc 처럼 지역 이름이 주가 됩니다. 거기에 기형적(?)인 구단이 몇개 있는데 fc서울과 제주utd 의 경우 원래 안양 LG 부천 SK가 원래 연고지역을 버리고 도둑 이전을 하게 되면서 팬들의 비난이 거세지자 모기업 이미지 하락을 우려해서 기업명을 구단에서 없애 버린겁니다. 특이한 경우지요.
10/07/20 16:25
축구는 기업명 붙는 팀이 네개밖에 안남았어요. 전북현대, 울산현대, 수원삼성, 성남일화.
게다가 수원은 의도적으로 기업명을 많이 노출시키지 않는 추세고요 (프런트쪽에서요. 사이트 들어가보시면 압니다.) 지역명을 앞에 붙이기 시작한건 팬들의 요구로 이루어낸 것이라고 봐야겠지요. 90년대 중반에요. 그걸 수용한 프로연맹은 그때만 해도 조금 개념찼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