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7/13 18:07
전 음악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인데..
후렴구가 똑같을려고하다가 달라지고 좀 그런거 같아요;; 완전 같다고는 안느껴지는데.. 근데 분명 비슷하긴하네요..
10/07/13 19:57
저도 음악에 대해서는 전혀~ 모릅니다. 그래도 개인적인 견해를 밝히자면 링크 걸어주신 영상을 들어 보니 전 별로 표절 같아 보이진 않습니다. 뭐랄까 그냥 같은 장르의 비슷한 풍의 노래 같습니다.
표절에 대한 기준 자체가 굉장히 애매모호 합니다. 90년대초에 2소절(8마디)이 비슷하다면 표절로 봤습니다만 이 규정 자체가 없어 졌습니다. 그리고 표절에 대한 판결은 원 저작권자가 자신의 권리를 침해 당했다고 여길때 소송을 제기해서 판결합니다. 친고죄 이지요. 표절에 대한 판결 기준을 찾아 보려 해도 딱히 검색이 되질 않네요. 법원에서는 표절의 이유를 어떤 식으로 판단하는지 저 또한 궁금한데 말이죠. 혹시 아시는 분은 댓글 좀 부탁드립니다. 표절 논란이 많은 이유는 아래 링크 글에 상당부분 자세하게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불명확한 사실에 대해 너무 표절로 몰아가는 네티즌들이 야속하게 느껴지네요. 확실한 기준도 없이 그저 자신이 듣기에 비슷하다는 이유로 말이지요. 쩝... (글쓴분께 이야기 하는거 아닙니다. 그냥 인터넷에서 아무 근거 없이 표절이라고 몰아가는 일부 네티즌을 말하는 거니 오해 없으시길...) 아무튼 자게에 손담비 'Queen' 곡에 대한 표절 논란 글이 올라 왔던데 표절에 대해 검색하다가 좋은글 하나 있어 링크 거니 읽어 보세요. 자게에도 링크시킨 글입니다. 근데 글이 좀 길다라는 단점이... ㅡ,.ㅡ;; 표절에 대해-동아신춘문예 2001 음악평론 부분 당선 - '표절' 개념을 통해 본 대중음악 표절시비의 문제점 최현영(26) http://blog.daum.net/dosara/297
10/07/13 20:26
네이버 지식인 검색해 보니 이런 내용도 있군요. 참고 하시길...
========================================================================= 현재 우리나라에 표절의 정확한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전 공윤이 있던 당시에는 몇마디 이상등의 기준이 있었지만 공윤 폐지이후 음악의 표절문제는 친고죄 즉 저작권자가 소송을 통하여 법원에서 판결을 받아야 표절이 됩니다. 2007년 문광부에서 음악 영화 분야의 "표절가이드라인"을 공표 하였습니다. 참고사항이 될만합니다. 요약하면 -가락 ,리듬, 화음등의 요소를 고려한다. -곡의 일부분일 경우 어느 부분인지도 중요하다(곡의 클라이막스인 경우 표절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다) -가락의 유사성외 화음의 진행방식이 유사한 경우에도 표절로 인정될 수 있다. -기계적, 형식적 비교는 참고에 불과하다 등이있으며 가장중요한 부분은 -전문가의 의견보단 일반청중(대중)의 입장에서 표절을 판단한다. 즉 전문적인 비교보단 우리같이 음악을 구입해서 듣은 일반 대중들이 두곡을 비교해서 들었을때 얼마나 표절이라고 느끼느냐가 중요한 판단기준중 하나라는 것입니다. 다만 위의 가이드라인은 법원에서 표절을 판단하는데 참고는 될수 있겠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법원에서 판결로 인한 표절곡이 거의 없습니다. 가장 최근에 표절로 판결난곡이 mc몽의 너에게쓰는편지 입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0205&docId=107058226&qb=7J2M7JWFIO2RnOygiCDquLDspIA=&enc=utf8§ion=kin&rank=4&sort=0&spq=1&pid=gvxKZg331xCssusNkC4ssv--028814&sid=TDxMEfYrPEwAACAcNwU
10/07/13 20:39
쵸비님// 마남님// nalla님// ThinkD4renT님// 답변 감사합니다. 여기서도 딱 50%네요. 예전에는 그냥 기억속의 느낌만으로 '좀 비슷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같이 걸어두고 비교해 보니 오히려 자신이 없어지기도 하네요. ThinkDrenT님, 상세한 안내 말씀 감사합니다. 저는 앞으로 쉽게 표절 운운 하는 이야기는 좀 삼가야 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창작자와 가수의 양심이려나요?
10/07/13 22:29
라틴계열 음악을 거의 모르는 제 귀에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이게 표절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어요. 라틴계열 음악에는 흔히 있는 멜로디일 수도 있으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