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7/10 15:00
보험회사마다 조금씩 다른데 일단 보험처리하고
그후 보험회사 사고처리반하고 협의후 처리비용을 보험회사에서 받고 처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무리 작은 사고라도 아이고 하고 뒷목잡는 경우도 있고 사고 처리해주는 분들이 나름대로 전문가니 누군가 상의할 사람도 생기는거고요. 일단 보험회사에 문의해보세요. 회사에 따라 안되는 경우도 있고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10/07/10 15:13
보험처리하면 할증되어서 할인안된다고 하는 것은 과장되거나 잘못 알려진 사실입니다.
보험료는 내려갑니다. 차량가액이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가입자의 무사고 경력 할인은 3년간 중지됩니다. 하지만 그것으로 할인 받는 금액보다, 현금으로 처리하는 비용이 더 나갈 겁니다. 본인 차량 수리비도 있으니까요. 결론은, 사고 나면 보험회사의 도움을 받고, 수리비용이 나오는 것은 보험처리하자.
10/07/10 15:43
30만원 이상의 사고는 1년간/50만원 이상의 사고는 3년간 80만원 이상의 사고는 할증이 붙게 되는데 이게 너무 현실성이 없어 법개정이 추진중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개인간 합의는 언제든지 상황이 바뀔 수 있으니 보험처리 하는 것이 몸도 편하고 마음도 편합니다.
K21님/상대방 차량 사고난 것은 현금 처리 하고 자기차 수리비를 보험사에서 받으려면 사고난 것을 보험사에 알리지 않고 상대방 차의 수리비를 낸 다음 자기차의 수리비는 자동차 보험의 자기차 차량 수리로 처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만, 자차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면 보험료 할증이 들어갈 수 있으니 득실을 따져봐야 하겠지요.
10/07/10 17:17
보험처리 하세요. 수리비가 향후 예상 할증료 보다 낮게 나올경우 보험사에 입금하면 되고(이경우 사고 처리를 하지 않은것으로 되어 할증되지 않습니다) 높게 나올경우 그냥 앞으로 할증료를 내면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아주 잘못된 교통사고처리 문화때문에 몇주내에 상대방 차량 탑승자가 치료비 및 합의금을 요구해 올 가능성이 아주 많습니다. 네, 1단으로 박아서 괜찮다는 거 압니다. 하지만 정형외과 의사들도 한통속이기 때문에 전치2주 나옵니다. 이럴경우 어쩔 수 없이 보험처리 하셔야 합니다. 어떤식으로 결론이 나든 일단 보험사에 처리를 맡기시고 추이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