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6/19 04:21:23
Name sad_tears
Subject 자본주의사회체제 안에서 산다는 것에 대한 반론...(행복한 인생을 위해서)
우리나라가 채택한 체제는 민주주의이기도 하지만 더욱 근본적으로 피부에 와닿는 채제는 자본주의 입니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채택한 것이 민주주의이기 때문에 민주주의라는 것은 큰 틀로 하고 그 안의 세부적인 장치를 자본주의로 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공산주의 체제 하의 북한이 그렇게 쓰레기만도 못한 인권을 소유하리만큼 나약하고 허술한 국가일까요?
북한이 우리나라를 왜곡해서 폄하하는 것처럼 우리 또한 조금은 그런 부분이 있을것이라고 봅니다. 이념주입을 하는 정부와 미디어가 일반적인 국민의지적수준을 상향할 것이라는 기대하에 말이죠.

저는 공장에서 일하면서 적당한 수준의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 돈이라는게 조금 있을때는 좀더 가지고 싶고 조금 있으면 더 많이 가지고 싶고 많이 있으면 훨씬 더 큰 돈을 가지고 싶어지게 됩니다.
얼마전 이곳 피지알에서 본 자본주의 피라미드의 구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예나 지금이나 자본주의의 그 구조적 특징상 최상위 위치에는 돈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자리를 쉽게 여기지 못하지요. 사람위에 사람 있고 그 위에 돈있고... 라는 공식을 경험으로서 배우게 됩니다.
저는 이런 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해야 극복할 수 있을지 상당히 의문입니다. 돈은 모자라지 않을만큼만 있다면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은 그렇게 합니다. ) 하지만 자아실현이라는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꿈이자 가치마저도 돈이 부족하다면 해결되지 못하는 게 어쩔수 없는 우리의 현실입니다.

제 인생의 황혼기에는 모든 금전적 생산활동을 접고 자연으로 귀환해서 촌에 집이나 한채 짓고 조용히 사는 것이 목표입니다.( 아무래도 이런 비슷한 목표를가진 분들이 세상에는 많을것이라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인생에 있어서 돈이라는 압박에 시달려서 자아를 실현하지 못하거나 그 자체마저도 없는 분들이 많고 그런 분들의 실질적 삶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로 전원생활을 한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제 목표는 인생을 행복하게 사는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삶을 좀 소모적이지 않고 발전적이고 진취적으로 살 수 있을까요?
그저 주어진 일 열심히 하면서 돈모으고 연애하고 결혼해서 자식들 키워가며 교육 잘 시키고 결혼 잘시키고 좋은 가정 소리 들어가며 나중에 나이들어 주변의 부러움을 사면서 그제야 거울에 비친 쭈글쭈글한 내모습에서 (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으로 위안을 삼는게 우리가 인생을 사는 모범적인 해결책이 될까요?)
몇달째 이 고민을 혼자 하다가 이렇게 키보드를 두드리며 많은 분 들의 조언을 기다립니다.

제 생각자체의 문제가 있을수도 있고 우리나가가 채택한 자본주의,민주주의,평등이라는 체제에서 우리도 모르게 쇄뇌된

금전<가치관,자아<인간

이라는 모순적 결과물에 좀 더 올바른 결정과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19 05:29
수정 아이콘
앞으로의 인생,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모르겠다고?

이건, 애나 어른이나 다 하는 고민이다. 이 고민에서 자유로운 사람? 그 사람은 어떤 분야의 천재거나 행운아다.

간단하다. 생겨먹은 대로의 나를 세상 속에 구현하면서 사는 것이다.

- 김어준씨의 '건투를 빈다' 라는 책 속에 있는 구절입니다.

고민하고 고민하세요. 다른 것 말고,
내가 언제 행복한지, 내가 언제 기쁜지, 언제 슬픈지
어디까지 견딜 수 있고 무얼 견딜 수 없는지.

위에서 소개해드린 책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실겁니다
불같은 강속구
10/06/19 07:50
수정 아이콘
신자유주의가 득세한 이후 거의 전세계적으로, 특히 우리나라 같은 천박한 자본주의가 횡행하는 구조속에서 삶의 질을 높이고 인간다운 삶을 산다는 것이 참 힘들죠. 사회안전망이나 사회연대의식같은 것은 찾아보기 힘들고 오로지 경쟁만을 부추기는 시스템 속에서 더 유용한 자본주의의 부속품이 되는 것이 최고의 미덕이 되버렸습니다. 스스로를 물질화시켜 제품사양에나 쓰이는 스펙이라는 말을 사람에게 아무렇지도 않게 가져다쓰는 사회, 자기계발이라는 미명하에 업무가 끝나도 쉬지못하고 조직이 원하는 무엇인가를 익히도록 끊임없이 강요받는 사회에서 과연 소모적으로 살지 않을 방법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 자본주의라는 매트릭스에 갇힌 사람들은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는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을 너무도 당연시 하고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선의 사회구조라는 착각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눈만 뜨면 경쟁, 경쟁,또 경쟁이라는 경기장으로 내몰려 남들을 제치고 더 좋은 카메라, 더 좋은 자동차, 더 좋은 집...을 사기위한 돈을 획득하려고 아귀다툼을 하는 것이 과연 인간답게 사는 것일까요. 서양의 중세는 신이 지배했지만 지금 우리는 돈을 신으로 섬기고, 돈이 삶의 모든 것을 지배하는 사회속에서 살아갑니다.
우리는 흔히 우리보다 국민소득이 낮은 나라의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곤 하죠. 돈이 없어서 참 힘들겠구나.....하면서 말이죠. 최빈국중 하나인 방글라데시 국민들의 행복지수가 높다는 뉴스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어합니다. 그런데 과연 국민소득이 3만불이 되면 우리는 지금보다 더 행복할까요? 지금보다 수치상으로는 훨신 못살았던 70년대,80년대에 우리는 돈이 없어 정말 많이 불행했었나요? 5천불 사회에는 그에 맞는 즐거움이 있고 5백불 사회에는 또 그에 어울리는 웃음이 있는 것입니다. 방에 틀어박혀 고사양 게임기와 씨름하고 경쟁에 내몰릴 준비를 위해 학원 몇탕을 뛰어야 하는 아이와 학교에서 돌아오면 가방 내던지고 산으로 들로 뛰어다니면서 노는 아이의 행복지수를 생각해보면 쉽게 답이 나오겠죠. 스트레스 없이 사람과 사람이,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져 살아갈 수 있다면 3만불이 아니라 3천불로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공산주의 국가 얘기를 하셨지만, 제 생각으로는 현실 공산주의가 좌절했다고 해서 그것이 내세웠던 가치가 잘못된건 아닙니다.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 단계에서의 혁명이라는 마르크스의 루트를 따르지 않고 전근대적 봉건사회에서 바로 공산주의로 점프한 러시아의 몰락은 역으로 말해 마르크스의 사회발전단계 예언이 틀리지 않았음을 반증한다고 볼 수 도 있습니다. 오히려 러시아에서 혁명이 일어남으로써, 비인간적인 자본주의의 모순이 팽배해 정말로 혁명이 일어날 수 있는 토대가 갖추어져 있었던 서유럽 국가들에서는 지배층이나 자유주의 부르주아들, 기득권세력들이 엄청난 경계심을 가지고 사회주의 혁명에 대비하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두려움에 떨면서 좌파와 맞설 수 있다면 악마에게 영혼이라도 팔겠다는 적개심을 드러냅니다. 그것이 나치와 파시스트가 권력을 얻게된 계기를 만들어주게 되었죠.
그리고 사실 공산국가들은 자본주의와의 경쟁과 동서냉전이라는 냉혹한 현실때문에 국가체제에 더 집중하게 되고 관료주의등 모순이 두드러지게 되었습니다. 경쟁과 냉전같은 말은 자본주의와 궁합이 맞는 단어인데 그런 현실속에서 자본주의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무리를 하다 보니 사회주의의 이상을 제대로 실현하기 힘들고 단점만 부각된 것입니다.
그런 반면 사회주의국가들과의 대립속에서 자본주의는 초기의 노선을 수정하고 공적부조와 사회보험등을 통해 국가의 개입을 늘리면서 스스로의 모순을 조금씩 치유해가게 되었죠. 과연 사회주의와의 대결이라는 구도가 없었다면 지금과 같이 인간의 가면을 쓴 자본주의로 자체진화할 수 있었을까요.

쿠바같이 미국의 경제봉쇄등 온갖 탄압에도 불구하고 꿋꿋히 사회주의를 실현해가면서 구체적인 개인들의 삶에 귀 기울이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나라도 있습니다. 미국이라는 걸림돌이 없었다면 과연 쿠바는 어느정도까지 인간의 모습을 한 사회주의를 만들어갔을지 저 개인적으로 참 궁금합니다. 지금은 퇴색해 버린 말인 혁명...그리고 희망을 다시 생각해 보는 책, 쿠바 문화 리포트인 <느린 희망> 한번 읽어 보셨으면 좋겠네요.
자본주의에 포획된 우리의 삶은 얼마나 불행한지에 대해서는 강신주 <상처받지 않을 권리> , 자본주의 경제질서를 탈피하여 자율적생태공동체를 지향하는 강수돌 교수의<살림의 경제학> 도 추천해 봅니다.
10/06/19 10:31
수정 아이콘
제가 이번에 들었던 수업의 주제였습니다. 어떻게 하면 돈을 비롯한 사회의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 질수 있는가. 어떻게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는가. 수업에서는 10권의 고전을 읽고 탐구하는 식으로 수업은 진행됬습니다. 그중에서 유토피아, 자유론, 에로스와 문명, 공산당혁명, 인간불평등기원론 정도가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특히나 에로스와 문명에서 마르쿠제의 감성적 인간이란 표현은 매우 좋았습니다.
sad_tears
10/06/19 11:52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합니다...앞의 분들 추천해 주신 책 꼭 읽어보겠습니다. 몸에 전율이 돋을정도의 필력. 대단합니다.
abrasax_:JW
10/06/19 12:11
수정 아이콘
예전에 올라온 글인가 했는데, 오늘 올라온 글이라니! 저도 도움이 많이 됐네요. 오랜만에 미친듯이 책을 읽어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4442 남자들끼리 모이면... [24] LichR5214 10/06/19 5214
84440 하프라이프2에 대해 질문좀 하겠습니다 나나시코1497 10/06/19 1497
84439 선수들 스타크래프트로 쳤을때요 [17] Fim2091 10/06/19 2091
84438 볼만한 미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Senioritis1966 10/06/19 1966
84437 자본주의사회체제 안에서 산다는 것에 대한 반론...(행복한 인생을 위해서) [5] sad_tears1540 10/06/19 1540
84436 노트북 HDD 교체후 화면 멈춤(다운)이 되는데.. 원인좀 알려주세요 [1] 大事な人1626 10/06/19 1626
84435 pc 견적 평가 부탁드립니다. [3] 새벽공기1906 10/06/19 1906
84434 직접디자인한 T셔츠 단체티로 만들어주는곳 없나요(좀 비싸도 좋은원단으로...) [1] tiZtoM1871 10/06/19 1871
84432 연애 및 결혼 관련 질문 [1] 보람찬하루1786 10/06/19 1786
84430 오토바이 기름 없을 때 넣던거 기억하세요? [8] NTS3603 10/06/19 3603
84429 런타임 오류 어떻게 해결하시나용? [3] 은비까비1754 10/06/19 1754
84428 Supreme..? 이거 무슨 브랜드인가요..? [5] 라이시륜2187 10/06/19 2187
84427 직장인의 허영심이랄까.. 일상적인 잡다한 질문입니다. [8] 새벽의세라프2144 10/06/19 2144
84426 호나우딩요는 스타로 치면 박태민선수 같은 선수였나요? [16] ??2120 10/06/19 2120
84425 안드로이드 어플 개발 관련 질문입니다. [3] EZrock1628 10/06/19 1628
84424 트라이애슬론 테란 전략 좋은거 없을까요(성춘쇼 스포일러 있음) [3] 핫타이크2154 10/06/19 2154
84423 혹시 음파칫솔 사용하시는분 ?? [3] 피스~1599 10/06/19 1599
84422 EE는 뭔가요?? [9] Crescent2491 10/06/18 2491
84421 휴대폰 약정 질문드립니다. [3] 형님1811 10/06/18 1811
84419 집중력에 문제가 있는거 같아요.. [4] 놔놔놔놔2131 10/06/18 2131
84417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기를 당한것 같습니다 ZerGaa1933 10/06/18 1933
84414 안타를 맞았을때 포수가 1루쪽으로 뛰는데?? [8] 블라디미르1824 10/06/18 1824
84413 야구 롯데자이언츠 선수 질문입니다. [2] TheBeSt1859 10/06/18 18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