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6/12 03:23:39
Name 철의동맹
Subject 동서양 근대사 나누는 기준 질문입니다...
사람들에 따라서 동서양의 근대사를 나누는 기준이 다르더라구요....

일단 중국의 경우 근대사 시작이 아편전쟁 이후가 대부분이고 끝나는 시점은 다르던데요...

중국 근대사가 어느시점부터 현대로 넘어가게 되는지?


우리나라는 고종부터 근대사 시작이란게 많고 끝나는 시점은 해방직후....맞나요?

일본은 메이지 유신부터~ 언제까진지?


서양의 경우 르네상스부터라는 사람도 있고 프랑스혁명이라는 사람도 있고....끝나는 시점은 잘 모르겠네요;;;;


일반적으로 알려진 동서양 근대사 기간(시작과 끝)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12 04:27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알려진 우리나라 근대사의 시작은 갑오개혁부터입니다. 보통 봉건적 제도의 철폐, 특히 신분 제도의 법적/제도적 철폐를 놓고 근대화되었다/아니다를 따지기 때문이지요. 우리나라 현대사의 시작, 즉 근대사의 종착역은 여러 의견이 있겠으나, 광복 전후로 해서 이뤄집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즉 1948년을 기점으로 하시는 분들이 있긴 합니다만, 제가 보기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현대사의 시작으로 놓는 것은 그 전의 것들을 근대로 보는 것인데.. 글쎄요. 정부 수립 이전의 노력 단계는 분명히 여러 제도들이 현대화되고 세련되어 진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광복 전후라고 생각됩니다.

중국의 경우 아편전쟁을 보통 그렇게 보고, 신중국 수립부터를 현대로 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우리나라의 역사만큼 아는 바는 없어서.. 함부로 말하기가 거시기하네요.=_=;)
테스토스테론
10/06/12 07:19
수정 아이콘
고대, 중세, 근대, 현대의 시대구분은 학자들이 편의로 나눈것에 불과하니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고 인위적인 분류에 불과하죠..

중국 현대사의 시작은 신해혁명(1911)이후 신중국 수립으로 보는 견해가 많구..

한국 근대사의 시작은 역사 학자별로 다양한데 전 한영우 교수 등의 개항설이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해요~
(改) Ntka
10/06/12 07:24
수정 아이콘
보통 기준도, 시각도 다르겠지만...
어느 국가든 국가별로 지금의 제도가 확립된 것이 현대사의 시작이라고 봅니다.

중국은 비록 신해혁명 후에 다시 세계대전 이후 공산화, 대만의 분리가 있었지만 청나라를 탈피하고 중국이 된 시점이 되겠죠.

다만 일본은 왕이 직접 통치까지 하지만 이른바 현대전쟁(1, 2차 세계대전)의 큰 축이 되었기에 일본의 현대사는 2차 대전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한국도 대통령제도, 선거제도가 시작된 40년대 후반인 48년 8월 15일 이후가 한국의 현대사 시작이라고 보이고...

근대사는 각 나라의 산업혁명 및 항구의 개항, 문물 수입 등에 따라 또 다르겠죠.

물론 어디가 맞다라기보다는 관점의 차이로 생각해 본 의견입니다...
내일은
10/06/12 10:02
수정 아이콘
역사에서 시대를 가르는 시점은 학자마다 다르고, 그 나름대로 기준이 있기 때문에 무엇이 정설이라고 하기에는 어렵습니다.
다만 좀 다수설... 을 따지자면
한국사는 전근대- 개항 - 근대 - 해방 - 현대 라고 주류 일 것이고
서양은 전근대- 콘스탄티노플 함락 - 근대 일 겁니다.
10/06/12 12:47
수정 아이콘
주류라는 것은 명백히 존재하고 그리고 그런게 존재 해야
교과서를 통해서 학생들을 가르치는게 용이해집니다.
시대적으로 분류하고 구분하는건 역사쪽에선 밥먹듯 자연스러운 일이잖아요.
저야 위에 분처럼 통상적인 분류가 맞지 않나 싶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950 컴퓨터 조립견적 마지막으로 확인 부탁 드려요. [3] 행복하게살자1956 10/06/12 1956
83948 이명박 대통령의 대표적인 실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8] 이런남자2133 10/06/12 2133
83947 스타 관련 질문입니다. kmumedi091508 10/06/12 1508
83946 노래 추천 좀 부탁드려요. [6] Malakit2138 10/06/12 2138
83943 기타운송장비산업의 주요기업은 뭐가있나요? 블랙호빵1368 10/06/12 1368
83942 이문세 씨의 히트곡. [8] .JunE.1996 10/06/12 1996
83941 월드컵 관련 아이폰어플 [2] 오월1532 10/06/12 1532
83940 MFC고수님들 좀 부탁드립니다~~!!! [5] pscman1231858 10/06/12 1858
83939 교도소 생활에 대해 궁금합니다. [14] DynamicToss2653 10/06/12 2653
83938 대천 펜션 질문입니다. 제시카와치토1439 10/06/12 1439
83937 프로그램 삭제 질문입니다. [3] 유안1351 10/06/12 1351
83936 침대에서 윗몸일으키기 하면 효과가 있을까요? [7] 동네노는아이10220 10/06/12 10220
83935 MAC Address 관련 질문입니다. 웹 해킹 분야에서 상식적인 부분? [3] F1rst3178 10/06/12 3178
83934 아이팟터치3세대 번들이어폰 버튼인식문제.. [1] 포프의대모험1936 10/06/12 1936
83933 전라도 지방에서 한식 먹을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요? [5] 아침이밝았다2104 10/06/12 2104
83932 mp3다운 질문드려요... [2] 하루를산다1987 10/06/12 1987
83931 영어표현(슬랭?) 질문입니다. [7] 오뱅2201 10/06/12 2201
83930 동서양 근대사 나누는 기준 질문입니다... [8] 철의동맹2376 10/06/12 2376
83929 [건의] 월드컵게시판 제목 링크좀 부탁드립니다. V.serum1520 10/06/12 1520
83928 [프야메] 질문입니다. [14] 적울린 네마리1730 10/06/12 1730
83927 개인블로그 이용시 질문몇가지.. [1] V.serum1529 10/06/12 1529
83926 악기질문(유희열 스케치북) [1] 쉬군1924 10/06/12 1924
83925 연애관련 진심어린 조언 부탁 드립니다^^ [21] 프린스3261 10/06/12 32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