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20 13:17
스스로 조립을 할 수 있다면 한 번 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저도 약 4년 전 컴퓨터를 처음 조립해서 사용해 보았는데, 여태까지 고장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다만 처음 조립을 하려니 이것저것 신경 쓰이는 것이 많더군요. 그 전에도 부품 교체는 해 보아서 어느 정도 자신은 있는 상태였는데...... 막상 전체를 조립하려니 공부할 것이 좀 더 생기더군요. 약 1~2 개월 정도 알아보고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세상 대부분의 일이 그렇듯이 막상 1대 조립해보니 '별 거 아니네' 하는 생각이 들고 자신감이 생기더군요. 오래 전에는 딥 스위치 등도 맞추어 주어야 했고, 말씀하신 부품간 궁합 등 이것저것 신경쓸 것이 좀 더 많았지만, 요사이는 부품들이 많이 좋아지기도 하고 성능이 강력해지기도 해서 예전처럼 부품간 호환성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 안 쓰셔도 될 것입니다.
물론 깊이 들어가면 나름 깊은 세계가 있겠지만, 기본적인 컴퓨터 조립은 마치 레고나 프라모델 조립과 비슷한 점이 있달까요? 뚝딱뚝딱 조이고 맞추고 끼우면 끝입니다. 오히려 조립 자체 보다는 윈도우즈 등 운영체제 세팅이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처음 조립을 하고 스위치를 넣었을 때 윙~ 하고 팬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면서 전면 패널에 전원이 들어왔음을 알리는 불이 들어왔을 때의 기분이 아직도 새롭네요. 저는 조립PC 를 구매해 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지만, 조립 PC 업체는 아이코다나 컴퓨존 쪽이 평이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둘 다 나름 A/S 도 괜찮은 것 같구요. 조립 PC 의 장점이라면 개인이 조립할 경우는 입맛에 맞는 부품으로 구성된 컴퓨터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비용 대비 효율성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조립 PC 는 그 쪽 업계에 계신 분들이 나름 상당한 시행착오를 걸쳐서 구성한 부품들로 되어 있으므로 효율성도 좋을 것이고 혹시나 있을지 모를 부품간 궁합의 문제도 거의 없을 가능성이 크다는 거겠죠. 원인 모르게 컴퓨터가 이상 작동을 할 때 A/S 를 맡길 수도 있고요. 개인이 조립할 경우는 다~ 본인이 해결해야 하죠.(그게 제가 지인들에게 컴퓨터 조립을 안 해 주는 이유입니다. 조립해 주게 되면 A/S 아닌 A/S 도 해 주어야 하고 혹 불량부품이 걸렸을 경우 책임도 져 줘야 하니까요.) 말씀하신 것을 보니 조립 PC 쪽으로 가실 듯 한데, 혹시 스스로 조립을 하시게 되면, 다음 두 가지만 명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모든 컴퓨터 부품은 전기를 먹고 산다. 2. 전기를 좀 많이 먹는 부품(예를 들어 CPU 나 어느 정도 사양 이상의 그래픽 카드)하고, 메인보드와 떨어져 있는 부품(HDD 나 ODD 등)은 따로 선을 연결해 주어야 한다. 말씀하신 용도라면 말씀하신 가격대로 충분할 것 같은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