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8/15 16:58:33
Name Tad
Subject [스2] 이런저런 대회가 너무 많은것 아닌가요?
일단 처음부터 스2매니아는 아니었음을 밝힙니다.
하지만 매우 흥미롭게 최근의 경기들을 지켜보기 시작하고 있고 GSL쪽 선수들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로 보고 있습니다.
케스파측 선수들 일편단심이었는데 확실히 GSL측 선수들도 알고나니 매력이 있어요.


태자라던가...우리의 철벽을 멀리보낸 미친견제의 고병재라던가... 우직하고 묵묵한게 되게 성실해보이는 박수호선수..
뭐 예~~전부터 언플때문에 모를수가 없었던 프통령 장민처르 라던가..


아무튼 재미를 느끼곤 있는데 정말 스2대회는 이런저런대회들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WCS에 WCG까지 겹쳐서 그런지 외국 뭐 IEM에 GSL 코드 S,A에 GSTL에 뭐 중소규모 국내,해외대회는 계속 열리는것같고..
제가 처음부터 스2를 잘 안봐와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뭐랄까..
뭔가 임팩트 있는 대회의 텀이 너무 짧은게 아닌가 생각이 들고 최강자로 추앙받던 이들이 너무 빨리 교체가 되는것도 싶구요.
대회가 많고 경기가 많다보니 확실히 본좌가 탄생하기에 좀 부적절한 구조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이는 최강자기간의 단축-반복
을 가져오는것 같습니다. 뭐 이자체를 문제 삼고 싶지는 않지만 프로스포츠에서 최강자의 수명이 너무 짧고 자주 바뀌는것도
좋지 않은것 같아서 말이죠.


월드컵은 4년에 한번해서 가치가 있고 유럽컵대회도 1년에 한 번해서 가치가 있는것처럼 지금 대회텀이 워낙 짧고 많다보니
뭐가 중요한 대회인지 감이 안잡히네요. "어머 이건 놓치면 안돼"라는 느낌보다는 워낙 대회가 많고 경기수가 많으니 SKIP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랄까...


스1때는 뭐 국내한정이라서 직관적이기도 했습니다만..
그냥 그 시대의 최강자를 보기위해서는 스타리그나,MSL보면 땡이었고 그로인해 탄생된 챔피언이 빠르게 훼손되는 텀이랄까..
그런게 길어서 어느정도 권위도 더 있었던것 같습니다.


스2는 GSL이 가장 권위있는 대회라고 보면 되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청바지
12/08/15 17:02
수정 아이콘
아직 스1의 틀에서 보셔서 그런걸겁니다. 여러가지 걱정 써 주셨는데 다 기우에 불과합니다.
대회는 더 많아져야 선수들도 좋고 그렇죠. 그냥 GSL부터 재밌게 보시면 됩니다.
kimbilly
12/08/15 17:03
수정 아이콘
WCS, WCG 는 1년에 한번 있는 대회이고 / WCS 국대 선발전 하는 기간동안은 GSL 은 쉽니다.
나머지는 보통 목요일에 진행해서 일요일에 끝나는 단발성 대회가 많습니다. (물론 예선은 그 전에 하긴 합니다만)
GSL 이 선수 기준으로 일주일에 한번 상대 선수 경기만 준비하는 가장 큰 규모의 대회라고 보시면 됩니다.
greensocks
12/08/15 17:03
수정 아이콘
스1도 전성기때 생각해보면 이런저런 대회 많지 않았나요..?
비슷한거 같은데...
Marionette
12/08/15 17:05
수정 아이콘
긴 일정상의 이유로 일부 해외유저들의 참여가 제한된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GSL이 가장 권위있는 대회가 맞습니다
12/08/15 17:07
수정 아이콘
스1이야 국내로 한정되어 메이져급 대회가 적었지만
다른 게임(스2나 lol)이야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으니 대회가 각 나라마다 열리고 큰 대회도 그 중에서 있어서 그럴 수 밖에 없겠죠.
다른 스포츠를 봐도 마찬가지이고(축구도 월드컵 급 비중이라면 유로도 있고 챔스도 있죠.) 역으로 스1이 굉장히 특별한 케이스죠.
선수층도 한정되고 대회 주체도 온겜 엠겜 협회 밖에 없었으니...
자유수호애국연대
12/08/15 17:18
수정 아이콘
해외대회들이 대부분 대회텀이 짧은 건 세계각지에서 모여드는 선수들과 관람객들의 체류상 문제에 기인한 게 큽니다.
그리고 현재 스2 선수들(연맹, 슬레이어즈 및 해외팀 기타)의 수익구조가 대회 상금에 의존하는 면이 크기 때문에 대회가 많은쪽이 선수들로서는 더 유리하죠.

또한 스2팬 입장에서 개인적으로는 개인리그 중심의 다양한 대회가 (특히 세계 여러곳에서) 열리는게 스2판의 매력이라 보네요.
물론 많아서 다 보기가 힘들긴 하지만요.

선수들의 실력 면이나 상금규모나 여러측면에서 가장 권위있는 리그라면 역시나 GSL이겠구요. 앞으로 열릴 온게임넷 스타2리그도 있겠네요.
해외대회는 MLG, IPL, 드림핵 등이 GSL과 어깨를 나란히하는 큰 리그라고 보시면 되겠구요.
(사실 GSL도 본래의 글로벌스타2리그라는 리그명칭에 부합하도록 가급적 해외 선수들을 참가시키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한국내 체류 문제 때문에 스테파노 등 여러 해외 탑플레이어들은 MLG 같은 해외리그를 선호하죠. 그래서 글로벌한 축제스러운 맛은 해외대회 쪽이 더 있습니다. 지금은 은퇴한 Jinro나 최근 코드S에서 활약하는 유일한 외국인 Naniwa 선수처럼 GSL을 최고의 리그로 인식하고 꾸준히 도전하는 외국인 선수도 더러 있지만요.)
12/08/15 17:30
수정 아이콘
너무 스1의 스케쥴에 길들여져있었나 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12/08/15 17:32
수정 아이콘
일단 게임출시 초기에는 최강자가 자주 바뀌는 것이 보통입니다. 특히 아직까지 패치가 이뤄지고 있는 스2인데, 최강자가 자주 바뀌는 쪽이 좀 더 당연하죠.

대회가 많은 건 저도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스1과 비교했을 때, 아직 스1의 전성기시절만큼의 팬층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성기수준의 대회가 있습니다. 확실히 대회가 많은 건 신규유입을 막는 요인이거든요. 하지만 반면, 스1은 전성기가 더이상의 패치가 없는 상태에서 왔었지만, 스2의 경우는 앞으로 패치도 이뤄질 것이고, 확장팩도 나올 겁니다. 아직 신규유입에 대해서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는 거죠.

하지만... 확장팩등의 요인이 아니라면 스2의 현 체제는 좀 소모적으로 보입니다. 스2만의 문제는 아닌데, 경기수가 많아지면 그만큼 한 경기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대회가 많아지면 한 대회의 무게감은 떨어지고, 시즌이 많아지면 한 시즌의 무게감이 떨어지고, 다전제가 많아지면 한 경기의 무게감은 떨어지죠.

대회가 많은 것이 선수들에게는 좀 더 안정감을 줄 수 있겠죠. 그렇지만, 이번에 탈락하면 다른 대회도 있는 것과 더이상 대회가 없는 것, 탈락하면 다음시즌까지 1개월인 것과 3개월인 것, 지면 탈락인 것과 져도 두 판 더 있는 것은 당연히 몰입도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GSTL이 출범한 만큼, 선수들의 안정성은 그 쪽으로 확보가 가능하니, 시즌의 텀을 늘리고 상금을 확대하는 것이 좀 더 좋을 것 같긴해요.

단판으로 승부를 하면, 3전2선승으로 승부를 하면 좀 아쉽죠. 다전제로 했으면 좋겠고, 5전3선승으로 했으면 좋겠고, 7전 4선승으로 했으면 좋겠죠. 그러나 그 아쉬움이 지속적으로 리그를 보게하는 원동력입니다. 대회적으로는 경기시간이 좀 짧아서 어쩔 수 없긴 한데, 좀 경기시간이 늘어날 수 있도록 확팩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현재로서야 아무문제없는데, 지금은 아무 문제가 없는 수준이면 안되니까요.
12/08/15 17:34
수정 아이콘
골프나 테니스같이 생각하면 편하지 않을까요?
기본적으로 개인 대 개인의 경기이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흘러가는게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스1의 프로리그가 어찌보면 굉장히 특수한 상황이라고 생각할 수 있구요.
순유묘
12/08/15 17:37
수정 아이콘
네, GSL이 가장 권위있는 대회가 맞습니다. 코드 A는 듀토정도로 보시면 되고 S가 스타리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외대회까지 포함해서 굵직한 대회를 뽑자면 GSL, MLG, IPL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MLG와 IPL은 GSL과는 달리 3일에 예선부터 결승까지 펼쳐지는 방식이라 GSL과는 색다른 재미가 있습니다. 12시간정도를 하는데 보통 자정에 시작해서 다 보면 죽을맛이죠. 올 해는 쉬고 있는데 작년 MLG까지는 정말 재밌게 잘봤습니다. 텀이 짧다고 느끼는 건 아마 해외대회의 경기방식때문에 그럴겁니다. 국내대회인 GSL은 올 해 들어 지금까지 3개시즌이 진행됐으니 텀이 짧은게 아니거든요.

시대의 최강자에 대해서는 올 해 들어 더 유난히 그런 면이 있는데, GSL만 한정해도 시즌1의 우승자, 준우승자와 시즌2의 우승자, 준우승자 모두 다음 시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GSL이 스타리그처럼 장기간 하는 대회인데도 불구하고요. 계속해서 스타2의 트렌드가 바뀌어서 그런가 싶습니다.
원추리
12/08/15 18:04
수정 아이콘
대회가 많은게 좋은거고 스1은 비정상적으로 대회가 적었죠. 대회가 적은건 선수들에게도 안 좋은 일이구요.
거간 충달
12/08/15 19:42
수정 아이콘
대회는 많으면 많을 수록 좋죠.
花非花
12/08/15 19:54
수정 아이콘
외국은 한국과는 달리 2~3일에 토너먼트 빡세게 굴려서 끝내는 대회가 많아요. 당연히 세계적으로 인기있으니 외국 대회의 비중도 크기 때문에 그런거죠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341 [lol]디자인이 정말 마음에 안드는 챔프는? [32] 6767562146 12/08/15 2146
143340 본토 기준으로 일본이 독도에 더 가깝나요?? [9] 고등어3마리2922 12/08/15 2922
143339 맥북 vs 울트라북 [6] bachistar2212 12/08/15 2212
143338 제빵왕김탁구 vs 파스타 [4] 똥꼬쪼으기1542 12/08/15 1542
143337 스2 신인선수들은 연맹쪽을 택할까요 협회쪽을 택할까요?? [10] laloux1750 12/08/15 1750
143336 갤3 LTE 사려는데 이 조건 괜찮을까요? [5] 에휴존슨이무슨죄1716 12/08/15 1716
143335 놀이기구를 타는데 어지럼증이 심합니다. 멀미증세랑 비슷한데 멀미약이 효과가 있을까요? [1] 울트라면이야6298 12/08/15 6298
143334 [LOL] 가난한 정글러를 위한 패치가 이뤄지는건 어떨까요? [13] 아브라카타브라1916 12/08/15 1916
143333 김정호가 지도를 만든 방법? [14] 현상2385 12/08/15 2385
143332 크롬이 안됩니다 Flocke1748 12/08/15 1748
143331 lol은 북미랑 한국 클라이언트 동시에 설치 안되나요?? [6] worcs4575 12/08/15 4575
143330 능력 좋은 웹브라우저 동영상 다운로드 프로그램 없을까요? [2] 알킬칼켈콜2525 12/08/15 2525
143328 버스커버스커 노래 중에 '벚꽃 엔딩'에서 말입니다... [7] MoreThanAir2243 12/08/15 2243
143327 남자분들 흰색티셔츠 입을때 젖꼭지 보이는거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28] 대박납시다67636 12/08/15 67636
143326 타팀에서 보는 김태균 선수의 중압감은 어떤가요?? [20] 다가오더라도2159 12/08/15 2159
143325 [LOL] 체감상 가장 어려운 점수대는 몇점대일까요? [11] 더이상은무리2109 12/08/15 2109
143324 내한공연 가보신분들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1] 미다스1312 12/08/15 1312
143323 토토와 프로토도 공부를 많이 하면 돈을 벌수 있을까요? [15] 가슴이아프다12167 12/08/15 12167
143322 결혼식 사회 [8] WestSide2266 12/08/15 2266
143321 [스2] 이런저런 대회가 너무 많은것 아닌가요? [20] Tad2308 12/08/15 2308
143320 카추사에 우울증병력있는 사람은 안받아주나요 [4] madwolf2189 12/08/15 2189
143319 안드로이드 게임 추천받습니다. [6] wook981632 12/08/15 1632
143318 블앤소 가장 무난한 직업이 뭐죠? [5] 레몬커피1583 12/08/15 15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