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05 01:19
특정 마법은 어떻게 되는건지 모르겟습니다만...
컨트롤이 가능하다면 배틀 탱크 조합이... 시즈탱크 + 야마토 컨트롤이 허용된다는 전제하에;;
12/08/05 01:53
일단 지상군 최고의 유닛은 탱크죠.
공중 유닛 공격은 풀업 기준으로 골리앗이 최고겠구요. 진형이 완벽한 상황이라면 탱크와 골리앗, 진형이 불완전하고 컨트롤 할 수 없다면 탱크와 배틀, 진형이 불완전해도 컨트롤 할 수 있다면 탱크와 골리앗, 혹은 캐리어를 선택 하겠습니다. 마법 유닛은 너무 변수가 많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사실 유닛 상성이 있고, 마법 유닛 사용에 변수가 있어 많이 다른 답변들이 나올 듯 합니다.
12/08/05 07:31
하이템플러 100마리...?! 뭉치는 유닛들이면 더 말할 필요가 없고 전방 유닛들 아콘으로 변신+환영으로 몸빵
그리고 이어지는 스톰난사....
12/08/05 07:52
만약에 서로의 병력구성을 전혀 모르고, 무조건 200을 구성한 후 전투할 경우
무조건 최대한 다양한 병력 구성과 다양한 마법유닛 구성이 유리할 거라 봅니다. 본문에 나오는 특정유닛만으로 구성하는 조합은 여러가지 면에서 약점이 존재하죠. 필수요소만 뽑아보자면, 디파일러와 베슬, 하이템플러는 필수입니다. 플레이그와 이레디에잇, 스톰이 다수대 다수에서 압도적인 힘을 발휘하면서, 디파일러는 다크스웜, 베슬은 실드의 아군 보호능력도 있고, 하템은 사용 후 아칸 합체로 병력전환의 수단이 되는데다, 베슬은 특수상황에서 EMP를 쓸 수 있습니다. 또 디파일러는 컨슘을 통해 마나가 사실상 무한정이죠. 200싸움에선 저글링을 먹는 것이 아니라 오버로드를 먹습니다. 무한이에요. 다른 마법 유닛들의 효용성은 조금 떨어집니다. 퀸은 지상병력 1기를 상대로밖에 사용하지 못하고, 인스네어는 다수대다수전투에서 큰 효과가 없습니다. 다크아칸은 마인드컨트롤은 1기와 바꿀 수 밖에 없는데, 캐리어나 배틀외에는 성공해도 손해일 가능성이 크고, 멜스트롬은 생체유닛에 밖에 효용이 없어서 한계가 큽니다. 이건 베슬의 이레디에잇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지만, 베슬은 EMP라는 또다른 특수상대 범위스킬이 있어서 이 둘 모두에서 벗어나는 유닛은 거의 없거든요.(테란의 메카닉, 공중유닛 조합밖에 없죠.) 게다가 병력 홀딩은 다수대다수에서 큰 역할을 못하구요. 아비터의 리콜은 열외, 클럭기능도 제외, 남은건 스테이시스필드인데, 다수 대 다수에선 홀딩하느니 그냥 그 자리에 스톰 쓰는게 낫습니다. 병력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캐리어와 배틀을 위주로 병력을 구성해야합니다. 지상유닛은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다수병력 싸움에서는 싸움의 집적도가 떨어집니다. 물론, 단번에 싸울 수 있는 수준의 병력은 있는 것이 좋겠죠. 7:3 ~ 6:4 정도로 공중유닛:지상유닛의 비율을 구성해야합니다. 지상 유닛을 구성할 때는 최대한 싸움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사거리의 유닛을 혼재시켜야합니다. 되도록 사거리가 긴 유닛을요. 장단점을 찾아보자면, 일단 직접 맞닿아서 싸우는 유닛은 가치가 거의 없습니다. 상대병력에 탱크가 다수라면, 마인이 있다면 질럿의 효과가 있겠으나, 그 외엔... 인구수 대비 효과가 썩 좋지 않습니다. 드라군은... 인구수, 덩치, 공격력, 두뇌... 모두에서 다수대다수전투에 부적합합니다. 아칸은 높은 체력과 스플레시 공격을 하기에 좋죠. 단지 EMP에 약한데, 몇기 섞는 수준이라면 최상이라 봅니다. 어짜피 인구수를 4나 차지하기에 많이 보유할 수 없구요. 커세어는 효과가 매우 좋습니다. 다수 커세어는 아머를 무시하고 엄청난 피해를 주고, 다수 스컬지에 대한 내성도 좋으며, 웹도 쓸 수 있습니다. 인구수를 2만 차지한다는 것도 매력적이구요. 스카웃은 대지공격력이 약하고, 공중공격력은 강하지만 그건 커세어가 압도적으로 강하니 안쓰는 것이 좋습니다. 캐리어는 약점이 많기는 한데, 캐리어가 떠있으면 상대 컨트롤이 귀찮아진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히드라는 작은 덩치, 1인 인구수라는 면에서는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주력병력으로 쓸 수는 없으니 몇기 섞는 수준이 좋겠죠. 러커는 몇가지 면에서 열외입니다. 위에서 언급했지만 멜레이유닛들은 효용이 거의없으니, 반대로 러커를 공격용으로 쓰기위해선 상대 병력들 근처로 이동해서 버로우를 해야하거든요. 러커를 잡아내기 위해서 상대는 일점사 컨트롤을 해줘야겠지만, 러커를 옮겨서 컨트롤 해주는 것보다는 양호하다고 봅니다. 디파일러의 다크스웜과 조합했을 경우엔 상당히 좋은데, 이 경우에도 상대를 물리는 정도의 효과밖에 없죠. 스컬지는 캐리어를 잡는데는 좋은데, 배틀과 커세어에는 취약합니다. 또 지상 대공유닛들이 섞여있을 경우엔 더더욱 힘들죠. 가디언은 기대보다 공격력과 사거리가 좋은 유닛이 아닙니다. 대지 공격을 하는데 공중에 떠있다는 것이 대공능력을 상대가 확보하기 전까지 잠깐의 장점인데, 200싸움에선 의미가 없는 장점이고, 차라리 공중유닛이란 건 단점에 가깝죠. 디버러는 다수 대공유닛에 대해 효과가 절대적인 유닛이기는 합니다만, 자체공격력으로 쓰이는 유닛이 아니므로, 몇기 섞는 수준이 적당합니다. 무탈은... 사거리가 너무 짧아서 각하. 마린은 레인지유닛인 주제에 일반형공격을 한다는 것이 상당히 메리트고, 인구수도 1이고, 덩치도 작아서 집적도도 좋습니다. 너무 낮은 체력이 문제라서 하템에 취약한 것이 있죠. 몇기 섞는 수준이라면 괜찮을 듯한데, 큰 의미는 없어보입니다. 메딕은 마법유닛이긴한데... 사실상 힐의 대상이 몇기 섞는 수준으로 밖에 못 쓸 히드라나 마린밖에 없어서 효용가치가 떨어집니다만, 배틀과 캐리어에 대한 상대 마법효과를 보조하는 역할로 조금 있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인구수가 1이라는 것이 장점이네요. 파이어뱃은 러커와 다를바 없죠. 벌처는 진동형이라 소형에 좋은데, 쓰일만한 소형은 질럿뿐인데 질럿은 탱크나 마인 대비용이라 벌처의 효용이 맞물립니다. 벌처를 제외하므로서 상대 질럿의 효과를 없앨 수 있죠. 골리앗은 긴 사거리를 갖고 좋은 공격력을 가진 대공능력이 매력적인데, 폭발형이고 연사속도가 낮아 인터셉터에 약합니다. 상대가 캐리어를 섞었을경우에는 컨트롤이 좀 귀찮아지죠. 덩치가 비교적 큰 것도 불편한데, 가진 공격력이 워낙 좋아서 그닥 큰 단점도 아닙니다. 탱크는 스플레시의 엄청난 공격력과 엄청난 사거리라는 것이 매우 좋죠. 하지만 다수일 경우 러커처럼 뒤로 물리는 효과밖에 없어서, 애매한 면이 있습니다. 소수라면 필수, 주력병력으로는 고민의 여지가 있겠네요. 레이스는 스카웃과 다르지 않습니다. 발키리는 대공능력이 생각보다 좋지 못하고, 특히 200싸움에선 안쏠테고, 무엇보다 스컬지에 취약해 커세어에 비해 효용이 많이 떨어집니다. 배틀은 매우 좋습니다. 안정된 대지, 대공능력에 커세어를 상대로도 상성이 좋죠. 야마토포도 있고. 고스트는 일단 핵은 효과가 없어보입니다. 200싸움에서 자원이나 생산기지를 공격하는 건 의미가 없고, 병력에 써야하는데 그럼 도망가면 되거든요. 병력이니까. 따라갈 수도 없습니다. 자기 병력위에 핵이 떨어지니... 클로킹도 별 능력이 아니구요. 하지만 락다운의 효과는 캐리어와 배틀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압도적으로 좋다고 할 수 있겠죠. 사거리가 길어서 먼거리에서 공격하는 것도 별 공격력이 아니지만 도움이 되겠구요. 사실상 고스트의 상대는 매딕이겠네요. 마지막으로... 200싸움이라는 특수상황에서 지상병력이 많을 때 가장 효용이 큰 건 감염된 테란병사일듯합니다. 오버로드에 태워서 드랍하면 엄청나겠어요. 오버로드는 무한정 뽑을 수 있으니까요. 싸우는 와중에 엄청나게 많은 오버로드를 잡을 수도 없고. 대신에 지상병력이 많을 때라는 한정적 조건에, 같이 드랍할 몸빵유닛도 필요한 약간의 도박성 플레이지만요. 결국 정리해보자면, 주력 병력 -> 배틀, 캐리어, 커세어, 골리앗. 필수마법병력 -> 디파일러, 하템, 베슬, 고스트, 매딕 일테고, 탱크와 아칸은 반드시 섞는 것이 좋겠고, 지상병력 위주로 갔을 때는 덩치문제로 골리앗만 쓰기보다는 히드라와 마린도 섞어주면 좋겠죠. 지상병력을 조금 가져갈 땐 그냥 골리앗이 낫겠구요. 이정도일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