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04 22:49
자유의 날개는 lol이 흥한 e스포츠리그의 기준으로 삼는다면 국내에선 많이 부족해보이더라구요..
군단의심장에서 개혁이 없는한 딱히 ...
12/08/04 22:51
LOL이 워낙에 커버린관계로... -_-;;
확팩이라는 2가지 변수를 믿어봐야죠.. 일단 자유의 날개로 넘어가면 부르드워보다는 못할거 같습니다. 자유의 날개로 맛보기 및 워밍업을 끝내고 올해말이나 내년초에 군단의심장으로 승부 봐야죠 !!
12/08/04 23:03
공허까지 가는건 너무 늦고 군심에서 뭔가 진짜 제대로 해줘야 되는데... 뭐 그분같은 스타의 존재유무는 둘째치고 일단 블자부터 공황상태인듯하니 이른.
12/08/04 23:04
확장팩이 어떻게 터지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스타1만큼은 안될거에요. 스타1이 비정상적이었죠... 너도나도 백업CD로 불법복제했던 시기라 국민게임이 되어버렸던..
12/08/04 23:19
프로리그는 솔직히 개인적으로 gstl이랑 합치지 않는이상 힘들다고 보고 그래도 개인리그는 어떻게 괜찮을 것 같네요. 물론 스1리그 전성기만큼은 무리겠지만요
12/08/04 23:34
전성기 스타리그만한 명성을 얻는건 이제 어느 게임도 불가능합니다.
단지 국내 e스포츠의 한축을 담당하는 역할 정도만 해주면 충분한거고, 스2리그는 그럴만한 역량이 있다고 봅니다.
12/08/04 23:37
근데 지금 시청률까지는 모르겠지만 관중 수나 반응만 보면 lol리그가 스타리그 전성기랑 거의 맞먹지 않나요??
관객수는 말할 필요도 없고 커뮤니티도 예전에 스1커뮤니티들 흥할때처럼 엄청 흥하고 있고.... 2001년부터 스1리그 봐왔지만 지금 lol리그도 전혀 뒤쳐지지 않는듯 하네요 물론 게임의 흥행자체는 스1을 뛰어넘는 게임이 나올 수 없는 것은 맞지만요.
12/08/05 00:35
군단의 심장이 마지막 반등기라고 보는데
사실 지금 LOL에 완전히 판도는 넘어갔죠.. 매 경기마다 관객 기본이 풀.. (지난번 저녁 11시 20분에도 용산이 거의 꽉찼죠.. 수요일 저녁인데) 겜방 점유율에서도 롤이 블소, 디아, 서든을 이제 압도하기 시작하고 있고 지난 결승전 관객도 '팀내 내전'으로 8천명을 채운 기세에.. 중국/유럽/북미하고의 균형도 어느정도 맞고 라이엇 스스로도 지금 밀어주고 있는지라....... 스타2는 그냥 지금 GSL처럼 한국에서 기본적인 자리를 잡은 상태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게 가능성이 있지 않나 싶네요.
12/08/05 01:54
일단 스타크래프트 : 브루드워(이하 스타1)의 전성기 수준을 되돌아올 수 있게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라면 저는 냉정하게 과한 욕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제 예상과 다르게 확장팩의 등장으로 마치 브루드워처럼 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제 의견은 국내 게임 시장에서 손 꼽힐 정도의 대중적인 작품이 될 수 있진 못하리라 봅니다. 이건 스타크래프트1의 시대에는 RTS 장르가 보편적이었지만, 지금은 비주류에 가까워진 것도 생각해야겠지요. 리그 오브 레전드처럼 매우 대중적인 게임이 되길 바라는 것은 어려우리라 봅니다.
하지만 E스포츠를 생각하자면 약간 이야기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아직까지도 리그 오브 레전드에 밀리지 않는 E스포츠 시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각종 자료에 따르면 상금 등은 오히려 앞서고 있고요. 물론 해외까지 통틀어 이야기하는겁니다만.) 스타크래프트1을 포기한 것이 하는 사람이 적어서 그런건 아니니까요. 마치 현재의 챔피언스처럼 해외 서비스 등을 시작하면 스타1보다 더 좋은 수익을 낼 수도 있을겁니다. 충분히 가치가 있는데 포기할 필요는 없겠지요. 정말 해외에서도 반응이 좋지 못해서 국내만 대회가 남는 그런 수준이면 또 모를까요. 대신 정말 경쟁력이 없는 대회를 무리하게 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에 따라서 현재 스타크래프트1 시장이 전환함에 따라서 규모가 축소되는 것도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고요. 제 결론은 국내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가 인기 있는 게임인만큼 그만큼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시장이 늘어나는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생각되고 국내에서 대중성이 떨어진다고 해서 충분히 가치가 있는 스타2를 버릴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언급하신 블리자드가 딱히 그냥 이유가 있어서 늦게 출시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늘 자신들이 만족하고 나서 출시하는 개발사니까요. 정말 불안하다면 출시가 늦어지는게 아니라 하루라도 더 빨리 출시해서 더 빨리 판매고를 올려야 맞는거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