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7/24 07:44
더불어 기계공학과 관련된 회사에서 일하다가 후에 경영자가 되거나 나만의 회사를 차리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물론 순도 99.3% 김칫국일 수도 있지만 공학적 지식에 경영학적.. 감각.. 아니 마인드는 제가 복수전공을 하려는 의도와 꽤나 비슷해 보였습니다 <-- 이 부분은.. 사실 굉장히 이상적인 얘기에요. '하지만 이게 그냥 학사라는 타이틀일 뿐이여서 많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습니다.' 이 말이 맞을 거 같습니다. 차라리 '취업시 도움이 될 거 같다' '갈 수 있는 진로의 폭이 더 넓을 거 같다' 정도가 더 현실적이죠. 학부 때 복수전공한 정도로 저 정도 수준이 되기는 매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양쪽 모두 부족해요. 차라리 회사에서 일하다가 MBA를 가서 레벨을 높이는 게 더 도움이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전 복수전공은 사실 잘 모르겠네요. 양쪽 다 제 분야는 아니라서..;; 그런데 공대의 꽃은 기계라는 말도 있듯이 기계는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히 문이 넓은 학문입니다. 본인이 뭔가를 정말 하고 싶다, 뭔가 확실한 비전이 있다, 그런 게 아니라면 현재에 더 충실하는 것도 방법 중의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12/07/24 09:25
기계 안에서는 고체/유체/동/열 중에서 어떤 쪽의 공부가 더 맞으신가요? 선호도에 따라서는 전기보다는 재료 쪽이 더 맞을 수도 있습니다. 근데 역시 좋은 건 기계공학 제대로 하는 게 훨씬 좋을 수도 있어요. 그리고 영어는 잘 되시나요? 경쟁력 올리기에 가장 보편적인 쪽이 영어이지요.
12/07/24 09:26
그리고, 어떤날님 말씀대로 일할 때 경영에 대한 지식을 쌓는 것은 경영 복전보다는 MBA가 훨씬 낫다고 봅니다. 근데 그 MBA라는게 좀 미묘한 점은 있다는 것은 감안하시고요.
12/07/24 10:50
복수전공의 최대 장점은 두 종류의 전공을 공부할 수 있는 것이지만,
최대 맹점은 졸업학점은 그대로라는 점입니다. (이건 학교마다 다를 수도 있겠습니다만) 다시 말하면, 기계공학에서 더 깊고 넓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댓가로 다른 전공을 공부해야 한는 점입니다. 제 전공은 영어쪽에 복수전공은 컴퓨터교육과로 하고 있습니다. (컴퓨터쪽에 관심이 있었던 것도 있고, 그것과는 별개의 문제로 복수전공하는 쪽이 졸업에 유리해서 선택했었습니다.) 졸업을 압둔 시기가 되다 보니 이것저것 많이 생각하게 되는데 가장 아쉬웠던 점은 제 주전공인 영어를 더 깊게 공부하지 못했던 것이더군요. 네, 튜닝의 끝은 순정이요. -_ㅠ
12/07/24 11:20
공대 중 취업 잘 되는 기계, 전자전기, 화학이신데 학점이 4.0 근처에서 왔다갔다 할 경우 여기에 영어(토익900, 토스6이상, 오픽im2이상)까지 보태지면 적어도 서류에서 억울한 일 당하실 일은 없을겁니다.
12/07/24 14:03
경영학과를 무시하는건 아니지만 솔직히 기계과 전공 들을 학점을 복수 전공 신청해서 경영으로 돌리면 그게 학점 받기 더 쉽습니다.
경영은 문과계열에서는 거의 필수로 복수 전공이 들어오고, 사회 계열에서도 많이 들어오는 추세인데 경영이라는 학문 자체에 관심이 있는게 아니라 스펙업을 위한 목적이라면 절대 비추입니다. 공대생이 경영학 복수 전공 해서 학점상 손해 볼건 없지만 크게 이득 보는것도 없습니다. (문과계열에서는 일반 기업 지원시 경영학과가 지원 자격이라 어쩔수 없이 듣는 경향이 많지만 공대는 그럴 필요가 없지요.) 타계열 이중전공도 학교마다 다르지만 제가 다닌 학교의 경우 3,4 학년 학부 과정에 올라가면 나노 물리개론 (기계+물리), 광공학 (기계+광학), 기계생 어쩌구 저쩌구(기계+생물), 전자회로학인가? (기계+전기전자) 등등 타 분야와 결합하는 퓨전계열 과목이 많이 개설되어 있어서 굳이 타 학과 전공 수업을 찾아 들을 필요가 없었습니다. 요즘 학문의 추세 자체가 특히 기계는 공대의 기본중의 기본인 학과라 연구실 자체도 기계를 베이스로 해서 다른 학과와 퓨전하는 형태가 많습니다. 결론은 굳이 복수 전공 할 필요없이 기계에 집중하고, 대학원 진학이 목적이라면 해당 연구실의 주력분야가 뭔지에 따라 기계과에 개설된 해당 과목을 찾아 듣는게 좋아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