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7/11 18:25
탈진은 이속감소 이상으로 딜을 죽이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1순위는 딜러입니다
알리 활용법은 기본적으로 그게 맞는데 이래저래 다양하게 쓸수도 있죠 내가 깊이들어와있고 상대원딜이 좀 멀다 싶으면 슈렐쓰고 아예 밀어내서 한타 딜로스를 극대화시킨다던가 하는식으로요
12/07/11 18:29
모르가나궁은 상황따라다릅니다. 우리딜러를 물고있는 딜탱을 스턴먹일지, 적 누커,원딜을 스턴먹일지 순간적으로 빠르게판단하세요.
룬은 대체로 초반 라인전에서 챔프효율의 극대화와 미니언사냥을 목적으로 세팅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운영스타일,챔프이해도,상대챔프에따라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취향의영역이기도 합니다.
12/07/11 18:30
갈리오 궁극은 박치기로 풀면 아군도 도발에서 풀려납니다.
정화와 수은장식띠는 속박계열을 풀 수 있나 없나 차이입니다. 속박 스킬들은 워윅, 말자하, 스카너 궁극같은 스킬들인데 정화로는 안풀리고 수은장식띠로는 풀립니다. 녹턴 룬은 보통 공속, 방어, 성마방, 이속룬이 평범하고 왕룬에 AD, 방관, 공속 다른 것을 박으셔도 좋습니다. 특성은 21/9/0 , 9/12/9, 0/21/9 등 자신의 취향에 맞게 가시면 좋습니다. 아이템도 다 취향차이입니다. 랜턴은 2도란보다 정글속도가 훨씬 빠른 대신 초중반 한타때 체력이 훨씬 낮아서 더 약합니다. 그리고 녹턴의 궁극이 적에게 달라붙는 스킬이기 때문에 붙는 타이밍을 잘못잡으면 그냥 두드려맞고 끔살당하는데 붙는 타이밍만 잘잡으시면 랜턴을 들어도 나쁘지 않습니다.
12/07/11 18:32
5. 알리스타 하실때는 W 스마트 캐스팅을 푸시면 꿍꽝이 쉬워집니다. W사거리 안에 들어왔을때 누르고 Q 연타 하시면 되니까요.
또한 W의 가장 끝자락에서는 Q가 잘 맞지 않습니다. 고로 알리는 상대의 어그로와 CC를 벗어나서 파고드는 무빙이 핵심입니다.
12/07/11 18:33
저는 녹턴으로 솔로미드 오드윈스타일을 따라합니다. 방어와 랜턴빌드를 선호합니다. 녹턴이 카운터정글을 당하는 티어중 최상위티어라 랜턴의 안정성,피수급,와드의 편리함을선호합니다. 도란빌드도 좋은 성능을 내는것으로알고있습니다.
갈리오 궁은 그렇게풀리고, 아무무궁은 한번들어가면 무무를 끊어도 걸린건유지됩니다.
12/07/11 18:39
탑에서 고뎀/방관은 저랩 때 라인이 밀려있을때 근거리 (타워 2방 + 막타) 원거리 (타워 1방 + 막타) 미니언 cs가 되느냐 안되느냐 그 차이입니다.
12/07/11 18:39
1 . 원딜에게 달라붙는 딜이 강한 케릭에게 걸어주면됩니다 . 탈진걸리면 스킬데미지가 많이 줄어들기때문에
스킬걸기 전에 걸면 가장 좋구요 2. 알리스타가 이니시를 해야되는 조합이 아니라면 알리만큼 원딜 보호하기 좋은 케릭은 잔나정도겠군요 . 원딜 보호용 혹은 상대조합에 케넨 카서스 아무무 카타리나 등 장판류가 잇을땐 박치기는 그런 아이들을 위해 써야겟죠 . 3. 확실히 모르겟습니다 . 4. 보고 판단하셔야됩니다 궁쓰고 들어갈때 케릭들이 날치느냐 아님 도주하는걸 쫒느냐 궁쓰고 들어갔고 님편들도 타이밍좋게 달겨들어서 도주하는게 잘라먹혀지는 상황인지 상대가 님에게 점사를 하는지 상황판단력이 중요하져 5.네 혹은 관전모드에서 잘하시는분들껄 보는게 좋죠 6.으압 이건 너무 많은 분류가 있어서 룬페이지가 여유가 되신다면 , 랭겜을 주로하신다면 상황에 맞는 룬셋팅은 포지션별로 2~3개정도씩은 있는게 좋죠 . 상대에 맞는 룬셋팅은 상위 레이팅으로 갈수록 기본중 기본이죠. 7. 저도 녹턴을 요즘 정글을 해야되면 거의 픽합니다 . 왕룬 - 고정공격 빨강 - 공속 . 노랑 - 고방 , 파랑 - 고마방 오펜 21 디펜 9 디펜은 방어력3 미니언공격방어2 팅겨주는거1 체젠 3 을 기본적으로 셋팅합니다. 정글도는 순서는 봇쪽에서 도는걸 추천합니다 노스마로 부탁하고 곧장 반대편 버프먹고 갱 or 카정 8. 네 알리스타가 궁쓰고 박치기 하면 궁이 멈춥니다. 소라카에 침묵도 갈리오 궁을 멈추게하죠 . 9. 스킬중에 제압 이란 분류에 스킬들은 정화로 풀수 없습니다 . 워윅,스카너,말자하 등이 생각나네요 . 10. 요즘 봇에서는 힐을 거의 안드는 편이죠 . 힐스펠과 스킬에 연관성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12/07/11 18:39
서포터로 라인전에서 탈진을 쓸 때는 1순위가 상대방 딜러입니다. 서폿 먼저 점사하다가 적 딜러가 울편 다죽이는 경우가 있거든요.
한타싸움에서 서포터의 역활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원딜을 살리는게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적 딜탱이 우리 원딜 물러오면 탈진 걸어줘야죠.
12/07/11 18:54
1. 탈진의 주효과는 딜의 감소이기에 중반 용한타에선 ap에게 후반엔 원딜에게 거는게 이상적입니다만, 우리편 원딜이 이미 물렸을때는
서포터가 적 딜러에게 붙으러 갈시간도 없고 원딜에게 들어오는 대미지 감소용으로 탈진을 써도 좋습니다. 2. 일반적으로 그게 제일 좋습니다만, 헤드벗만으로 지키기 힘들면 그냥 q도 원딜 지키는데 쓰세요. 멘탈이 이로워요. 3. 안줍니다. 4. 모르가나를 잘못해서... 아무래도 상황에 따라 다르지않을까요 5. wq는 생각보다 쓸일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만, w의 최대 사거리가 아니라 좀더 가까운 거리에서 쓰는걸 노려보세요. 최대사거리는 원래 힘듭니다. 때문에 알리는 qw건 wq건 이속이 중요해서 현돌 다음 신발을 꼭 뽑아주시구요. 전 공격적으로 운영해야 할때에는 방어의 선봉장 포인트까지 다주고 나머지는 유틸에 줍니다. 괜찮더라구요. 6. 리븐은 초반딜이 좋고 cs를 패시브나 스킬로 먹기 워낙 쉬워서 스탯비 챔프에게 대미지 효율이 좋은 방관을쓰고 쉔은 공격횟수가 빠르면 패시브 추가대미지가 빨리 돌아옵니다. 도발로 딜교환할때 많이 때릴수도있어서 공속을 쓰시는분들이 꽤있구요. 니달리는 기본 ad가 낮아서 cs먹기가 좀 까다로운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ad룬을 박나보네요. 7. 그정도는 취향인거같습니다. 안정적이고 빠르게 정글 돌려면 랜턴이고, 갱과 국지전에서 힘뜨려면 2도란이구요. 8. 갈리오궁 맞고 궁쓰신후 갈리오에게 cc넣으시면 바로 풀립니다. 아주 좋죠. 무무궁도 풀고 무무에게 cc를 넣을순있으나 이미 들어간 cc는 풀리진않습니다. 9. 제압류는 정화로 못풉니다. 대신 서머너스펠 (탈진 점화)를 풀수있죠. 퀵실버는 반대입니다. 제압은풀지만 서머너스펠은 못풀죠. 10. 서머너힐외에 일반힐은 적용받지않습니다.
12/07/11 19:24
요즘 녹턴 빌드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고 볼 수 있겠네요
2도란 > (하오골) > 브루탈 > (이지스) > 말렛으로 가는 공격적인 갱킹 빌드와 랜턴 > 하오골 > 이지스 > 말렛으로 가는 안정적인 빌드 이렇게요
12/07/11 19:35
1,2 : 스킬 사용은 항시 유동적이 되어야 합니다. 서포터가 탈진을 원딜에게만 쓴다면 우리 원딜 버려두고 상대 원딜만 쫓아가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고, 알리가 딜탱에겐 일단 박치기만 쓴다고 하다간 각잡고 스킬 쓰려고 하는 상대 미드가 땡큐 날립니다. 모든 CC기는 항시 유동적으로 쓰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3. 군단의 방패 같은 오오라만으로는 어시가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 포커싱이 향한다면 당연히 존야를 쓰는게 맞습니다. 존야는 체력이 아슬아슬하게 남았을때 쓰기 보다는 포커싱이 향한다고 느껴지는 순간 바로 눌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애초에 모르가나는 존야가 끝난 다음에도 할 일이 많습니다. 만약 궁을 켠 상태에서 적을 추노할 일이 있다면 도주기가 확실하게 있는 챔프(이즈리얼, 그라가스, 리신 등)보다는 없는 챔프 위주로 쫓는 것이 좋습니다. 속박을 더 확실하게 맞출 수 있고, 모르가나의 속박은 '이놈 점사해라' 라는 신호나 다름이 없으니까요. 저는 주로 만만한 서포터를 1타겟으로 합니다. 5. 팁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건 역시 노가다와 연습입니다. 6. 빨간색 룬은 주로 공격쪽을 담당 하는 룬입니다. 그래서 챔프의 공격 스킬이나 타입에 맞는 룬을 끼는 것이 보통입니다. 말씀하신 리븐이나 니달리(탑은 주로 ad 탱달리 위주)는 스킬 특성이 주로 ad 뎀딜이고 평타를 중요시 하니 고정 데미지나 방관을 갑니다. 쉔은 패시브인 '기의 일격'이 주 뎀딜원인데 이 스킬의 특성이 공속이 빠르면 빠를수록 많이 터집니다.(쉔이 마법사의 최후를 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8. 알리스타는 궁극을 쓰는 순간 모든 CC를 다 풀어버립니다.(올라프의 궁극이 순간적으로 발휘된다고 보면 됩니다.) 아무무나 갈리오가 속박, 도발로 묶어도 당연히 CC기를 풀고 밀어낼 수 있습니다. 다만 아무무와 갈리오는 궁극의 특성이 다른 것이, 아무무는 즉발식 타격형 장판이고 갈리오는 캐스팅형 장판입니다. 갈리오는 캐스팅을 끊으면 궁도 끊기지만, 아무무는 캐스팅 형태가 아닌지라 아무무를 날려보내도 속박은 그대로 유지가 됩니다. 9. 정화는 '방해효과' 만을 풀 수 있지만 수은장식띠는 '모든 디버프 효과'를 해제 가능합니다. 워윅이나 우르곳, 말자하나 스카너가 궁으로 거는 상태 이상은 '제압'이고, 제압 도중엔 아예 정화가 사용 불가능입니다. 도트 데미지는 정화로 풀 수 없습니다. 다만 딱 하나 점화만이 정화로 푸는 것이 가능합니다. 10. 힐 스펠 사용시 적용되는 디버프는 같은 소환사 스펠힐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확실치 않네요.
12/07/11 19:42
1. 원딜이나 팀원들이 딜탱을 떼어네지 못하는 경우는 딜탱이 낫고 딜탱 다음으로 장판형ap들한테 걸어줍니다.
2. 상황따라 다른데 딜탱한테 다 써주셔도 되고 말씀하신대로 하셔도 됩니다. 3. 안줍니다. 4. 원딜요 5. 네 6. 스킬하고 데미지 딜링방식, 역할따라 나뉩니다. 쉔은 패시브 읽어보시면 왜 공속인지 이해하실 수 있고 리븐은 초중반 버스트 데미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관을 가고 싱드는 초중반만 버티면 단단해지는 ap딜탱이므로 마관, 고방, 고마방을 주로 가는 등 챔피언 특성따라 나뉩니다. 7. 취향+조합이죠.. 자신이 이니시에이팅을 해야할 조합이면 단단해져야되고 상대 딜이 맞아줄만하면 공격적으로 나가도 되고요.. 8. 무무는 즉발이라 안되고 갈리오 도발은 풀립니다. 9. 정화로는 제압빼고 다풀리고(점화도) 수은장식띠는 아마 다풀리는걸로... 10. 서머너 힐만 적용입니다. 스킬 힐은 치감제외하고는 그대로 들어갑니다. 근데 정령의 형상에 서머너 힐이 적용되는지는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