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17 20:03
분위기는 다르지만 화면은 너무 비슷하네요.. 동영상을 프로리그 오프닝 분량으로 줄이고 좀더 비트 빠른 음악으로 편집하면 거의 똑같을거같아요.. 뭐 이번 서바이버가 훨 심하긴 하지만..-_-; 저번 에버도 그렇고 지나친 모방이 당연시되는거같아 아쉽네요.
06/12/17 20:32
5~10초정도 건물~ 눈내리는 듯한 앵글이 닮긴 한거 같네요....
그런데 저건 꽃잎내리는 느낌이라면 프로리그는 투마로우 컨셉(?)이었으니..이정도는 참조 or 우연으로 넘어갈 수 있을것 같네요.
06/12/17 20:36
그래도 이건 분위기도 다르고 속도도 다르고..... 넘어갈만 한데 이번 서바이버는 완전 대놓고 ..; 그나저나 표절시비가 양 방송사 팬들의 싸움으로 번지니 원 ..
06/12/17 20:44
온게임넷 오프닝에 너무 호의적인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지금까지 몇차례 정말 비슷한 동영상이 이곳 게시판에 올라왔는데도 우연이니 참조니 하는데, 물론 그냥 넘어갈 순 있지만 수준이 높다고 칭찬할 만한 것은 못됩니다.
국내에서 제작된 뮤직비디오나 다를게 없어요. 누가 더 잘 본땄느냐의 차이일 뿐.
06/12/17 20:49
헐... 이건 단순히 닮았다고 얘기할 수준이 아닌데요-_-; 서바이버 정도는 아니지만 좀 심하군요. 중간중간 가로등 나오는 화면, 건물 유리에 비친 모습 등등은 <완전히 똑같은데요>-_-;;
06/12/17 20:57
표절 확정.
뭐 우리나라에 광고나 뮤직비디오나 다 표절 투성이니.. 근데 오프닝도 표절을 하네요 -0-;; 그래도 서바이버 보다는 덜 하네요.. 이거는 그래도 일부 장면만 차용했으니..
06/12/17 21:11
핸드카메라 웍이니 건물유리창에 비친 모습같은건 많이 일반화된 기법이죠.
그걸 표절이라고 하면 기법을 표졀했다는 것인지.. 표절이란 서바이버리그 오프닝이 잘 정의해주고 있다고 생각되네요.
06/12/17 21:37
온게임넷 오프닝에 너무 호의적인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2) 이게 표절이 아니라면..... 뭐..... 서바이버보다는 좀 덜하긴 하지만..... 좀 대놓고 덜베낀 정도라고 해야 하나.....
06/12/17 22:15
저 영상을 딴데서 얼핏 보긴했었는데..글쓴분은 저 영상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혹 있으시면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영상이 언제나왔는지 등등을 알아야 표절 논의 자체를 할테니까요.. 음 그리고, 영상만 놓고 보면 표절은 아니라고 보이는데요. 모티브와 기법을 따왔다고는 생각이 되지만..이거저거 표절로 다 잡으면 남아나는게 없겠죠. 사사건건 엠겜/온겜 왜 나누는건지 이해가 안가는군요- -
06/12/17 22:20
생각해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은 자국 노래나 영상이 외국과 비슷한게 보이기라도 하면 무.조.건 표절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더군요.. 나름 문화적 사대주의 인가요? (저 영상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06/12/17 22:21
이 동영상 올라온 게 5월 27일이네요...
전기리그 시작은 4월 27일. 오프닝 만든 건 그 전이겠죠? 그 밖의 몇가지 추측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은 정보니 쓰진 않겠습니다. 자세히 알아 볼만한 시간도 없고.. http://www.fallofantioch.com/ http://www.siggraph.org/s2006/ 표절이라 주장하려면 온게임넷 오프닝보다 이 동영상이 먼저 만들어졌다는 걸 증명해야 하는데, 제가 잠시 둘러본 바로는 그런 정보는 못 찾겠네요.
06/12/17 22:29
pgr은 온겜보다는 엠겜에 더 호의적인 분위기가 있는건 사실이지만
대부분 원인은 온겜의 잘못이죠... 하지만 이번 오프닝은 표절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겹치는 장면은 없네요 단지 표현 기법이라던지 표현 컨셉은 비슷해보이지만 공통되는 장면은 안보이는 데요..
06/12/17 22:31
싸움지겹다..// 올려주신 저 사이트 어디에서 제작날자를 볼수있는지 모르겟네요...
정확히 나왓고 그게 프로리그 오프닝 이후라면 이글은 지우겟습니다. 그나저나 스동겔에 아이옵스OSL오프닝도 표절동영상이라고 떳군요.. 정말 조사하면 다나오는거 같습니다.
06/12/17 22:32
영상자체는 이 영상이 먼저일 것 같군요.
어디서 봤나했더니..siggraph 출품작인듯 하네요. 이게 2006년 마감이 3월경이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아마 이게 먼저일듯 싶은데..글쎄요-.- 자세한 제작월일은 제작자에게 컨택해봐야 할듯 싶습니다
06/12/17 22:34
대부분은 온게임넷의 잘못이 아니죠.
온게임넷은 제 할일 한 것 뿐이지만, 거기에 못 따라간 엠겜 때문에 욕먹는 것 뿐. 엠겜의 삽질이 있을 때 마다 피지알에선 오히려 온게임넷을 매도했죠. 프로인 세계에 아마추어적인 잣대를 들이대면서...
06/12/17 23:12
어느쪽이 더 노골적이었냐 하면 저도 엠겜이 더 심했다고 생각합니다만, 이 영상만 놓고 봤을때 단순히 참조나 기법의 한 종류라고 하는 것은 좀 납득하기 힘드네요. (제가 영상물이나 디자인에 대해서 아는게 별로 없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앞으로 표절 관련 논란에는 아예 리플에 참여하지 않아야 겠습니다. 서로 견해차가 이렇게나 심하니 말이죠.
06/12/17 23:47
온겜에 호의적이란 말을 하시는 분들은 대체 무얼 바라고 그런 말씀을 하시는 겁니까?
또 불 좀 붙이실려고요? 표절이다 아니다만 말씀하세요.
06/12/17 23:58
여기서 표절이다 아니다를 확실히 구분 지을 만큼 동영상 제작에 일가견 있으신 분이 있으시다면, 돌을 던지시지요.
"표절"이라고 단정 지을 만큼 이 분야에 관심이 많으시다면야.. 제가 할말은 없네요. 그리고 온게임넷은 어쩌네, 엠비씨게임은 어쩌네, 이런 리플... 결국 논쟁을 유발하는 걸 모르시는건가요? 굳이 둘로 갈라서 이득 보실 게 뭐가 있으시다고...
06/12/18 00:08
표절이니 뭐니를 동영상제작에 일가견이 있는분만 판정할수있는건가요?
그냥 육안으로 보고 비슷하면 비슷한거지, 동영상제작에 일가견은 왜 필요하죠..
06/12/18 00:18
Qck mini 님// 기법을 참조한건지 표절한건지, 아니면 표절 자체가 없었던 건지, 의견이 분분한 영상도 많기 때문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위에 보시면 단순히 기법을 따온 거 같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그리고 육안으로 보고 비슷하다고 표절이라고 하며 방송사를 매도한다면, 그건 네이버에서 무책임하게 댓글 다는 몇몇 사람들과 뭐가 다른 건지 모르겠네요.
06/12/18 03:07
뭐 관점이나 생각의 차이야 어쩔수 없겠습니다만... ...
이 정도가 표절이라면, 요즘처럼 영상이 넘쳐나는 시대에서 오리지널을 보기는 거의 힘들듯 합니다;;
06/12/18 09:20
pgr에서는 오프닝에 관해 온겜에 호의 적인 분들이 많다라.. 정말 듣기 싫군요. 그 외에 것에는 엠겜에 호의적인 분들이 그 이상으로 많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요. 표절 여부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보다는 호의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것은 왜일까요. 뭐.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으니..
06/12/18 09:20
다른분들 댓글을 참조해볼 때 표절이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확신을 못하는 이유는 프로리그 영상이 잘 기억이 안나서..)
영상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제가 생각하는 표절의 기준은 보고 만드느냐, 보면서 만드느냐 입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모션그래픽 하는 분들은 다른 이들의 작품을 늘 봅니다. 매달, 매주 쏟아지는 작품들을 보면서 자신의 작업에 자연스럽게 반영을 하게되죠. 그런건 지극히 당연하고, 바람직한 것입니다. 그렇지만 한번 보고 난뒤에, 그 영상에서 받았던 느낌이나. 연출기법. 표현기법. 등을 '나도 저런거 한번 해봐야겠다'하는 도전정신으로 반영하는 시도와 제작 내내 옆에 놓고 보면서 똑같이 따라만드는건 전혀 다른 겁니다. 이 영상과, 서바이버 영상이 문제되는건 바로 그 점이죠. 피사체와 구도등이 원본과 똑같은 방식으로 보여지는건, 원본을 보면서 베껴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스타워즈도 우주 비행씬은 그 이전의 비행영화들을 편집해놓고 보면서 똑같이 따라 만들었었죠. 하지만 피사체가 다르고, 한개의 영상을 그대로 베낀게 아니라 여러 영화의 좋은 장면들을 모아서 참조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러한 사실을 밝혀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사실 표절이냐 표절이 아니냐의 구분은 국내에선 큰 의미를 갖지 않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제작자들이 표절을 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국내에선 표절을 해도 먹고사는덴 지장이 없나 봅니다. 국내 모션그래퍼중 많이 알려져있는 장재혁씨의 작품도 거의 대부분이 표절작입니다. (공교롭게도 엠겜PD님과 이름이 같군요.) 표절작을 만들었지만 늘 상을 받았죠. 조PD - My Style, 친구여 뮤직비디오 같은경우가 대표적 사례입니다. 요즘엔 현대캐피탈 CF 시리즈도 연출하신 것 같은데. 역시 모두 표절작이구요. (위의 사례들은 제가 모두 원본을 확인한 것이고, 누가 봐도 그렇구나 할 만한 수준인 작품들입니다.)
06/12/18 10:26
윗분이 말씀하신대로 클리셰란 말이 딱 들어맞는거 같은데요.
클리셰 = 예전에는 독창적이었고 나름대로 진지한 의미를 지녔으나 지금은 생각없이 반복되고 있는 생각이나 문구, 영화적 트릭, 그 밖의 기타 등(DJUNA의 영화낙서판 中) 저 정도 컨셉이나 카메라 워크와 구도 앵글은 다른데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묘사인데요. 죄가 있다면 엄청나게 독창적이지 못했다는 점?? 그나저나 Qck mini님은 대놓고 온겜을 싫어하시는 듯. 이건 뭐...
06/12/18 11:35
TakeItEasy/ 이 유게에도 검색하시면 예전 프로리그 오프닝 올라와 있습니다.
댓글을 참조해서 표절이 맞다라고 이야기하는건 너무 무책임한거 아닌가요? 저도 위에 짧게 댓글달았지만 몇페이지나 검색하면서 프로리그 오프닝찾고 몇번이나 비교해봤습니다. 제 기준이 너무 무른지 어쩐지 온겜쪽인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영상과 프로리그 오프닝은 별개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기때문에 위의 댓글 단것이죠. TakeItEasy님이 이전 프로리그 영상을 보고나서도 같은 결론이 나올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건 그때가서야 가치를 가지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일 제가 온겜오프닝 제작자였다면 같은 직종의 사람으로서 TakeItEasy님의 댓글엔 많이 화가났을것 같네요.
06/12/18 12:20
하늘하늘// 그렇게 생각하셨다면 제가 제 생각을 전달하는 방법을 잘못선택한 거겠지요. 정정해야 되겠네요. 하늘하늘님께 잘못한건 아니니 죄송하단 말씀은 않겠습니다.
댓글을 참조라고 짧게 쓴건 BuyLoanFeelBride님께서 [중간중간 가로등 나오는 화면, 건물 유리에 비친 모습 등등은 <완전히 똑같은데요>-_-;]라고 쓰신 것을 이야기 한 것이었습니다. 기억이 잘 안난다고 쓰긴 했지만, 저도 프로리그 영상을 봤기 때문에 여러 장면이 비슷하다고 생각을 했구요. 댓글에서 2장면이 완전히 똑같다고 지적이 될 정도면. 그렇게 말 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서 표절인 것 같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사실 빌딩 구도에 반짝이는 이물질(?)이 날아다니는 한장면 뿐이었다해도 저는 표절이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시그래프 수상작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죠. 영상제작하는 사람이 시그래프를 보지않고 우연히 빌딩을 배경으로 반짝 반짝 날아다니는 파티클이 스르르 쏟아지는 영상을 만들 순 없는겁니다. 책임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영상을 다시 봤는데. BuyLoanFeelBride님이 지적하신 장면들에 대해서 저도 같은 평가를 내리게 됩니다. 이 영상은 보면서 만든 영상이네요. 하지만 전체적으로 베낀컷이 많지 않기 때문에. 직업정신이 부족한 표절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표절인데 직업정신이 부족하지 않다... 라는건 얼핏 보기에 웃긴 표현이기도 하고. 마치 내가 판단을 내려주는 재판관인양 거만하기도 하지만, 그냥 그렇게 표현하고 싶습니다. 표절한 부분이 영상의 축이 되고 있는것은 아니고, 잘 기획되고 고민하고 노력한 흔적이 있는 영상이니까요.
06/12/18 12:55
그런데 이 영상이나 오프닝이나 그 두가지 영상이 모두
Ghost in the Shell이라던가 패트레이버 라던가 기타등등 일본 애니적 화면인지라-_-;;; 저는 만일 표절이라면 두개의 영상 모두 표절이라하고 싶어지네요.
06/12/19 02:00
pgr이 온겜을 옹호한다? 소가 웃을 얘기군요^^;;
밑에 서바이버 표절 영상이 나오자 곧바로 프로리그 영상이 나오는 센!스! 모종의 음모 세력이 있는게 아닌가 의심이 들정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