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18 20:18:45
Name 잉어킹
Subject [일반] (로이터 통신)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 발견
원문은 https://www.reuters.com/science/scientists-find-strongest-evidence-yet-life-an-alien-planet-2025-04-16/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해당 뉴스의 AI 요약입니다.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을 사용한 과학자들이 태양계 외부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의 가장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K2-18 b라는 행성의 대기에서 지구에서는 주로 생물학적 과정, 특히 식물성 플랑크톤과 같은 미생물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화학적 가스인 디메틸 설파이드(DMS)와 디메틸 디설파이드(DMDS)를 검출했습니다.
이 발견은 해당 행성에 미생물 생명체가 번성할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연구자들은 이것이 실제 생명체 발견이 아닌 생물학적 과정의 지표(바이오시그니처)일 뿐이며 더 많은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2-18 b는 지구보다 8.6배 더 무겁고 지름은 약 2.6배 큰 행성으로, 지구로부터 약 124광년 떨어진 사자자리에 위치한 작은 적색 왜성 주변의 '거주 가능 영역'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이 행성은 '하이시안 세계'(hycean world)라고 불리는 유형으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액체 상태의 바다로 덮여 있고 수소가 풍부한 대기를 가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발견된 가스 농도는 지구 대기보다 수천 배 높으며, 기존 지식으로는 생물학적 활동 없이는 설명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연구를 이끈 케임브리지 대학의 천체물리학자 니쿠 마두수단은 현 단계에서는 신중해야 하며, 관찰 결과를 반복 검증하고 비생물학적 메커니즘 가능성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발견은 현재 사용 가능한 시설로 거주 가능한 행성에서 생명체 징후를 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획기적인 순간으로, '관측 천체생물학'의 시대가 열렸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

제임스 웹 망원경이 우주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증거를 발견했답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처음 접하고 우주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이 공존했을 때가 있었는데, 그때 그시절의 감성이 생각나게 하는 뉴스였습니다.

특히 '하이시안 세계'는 버그 투성이지만 바다의 아름다운 비주얼과 아기자기한 하우징이 매력적인 게임 서브노티카를 떠올리게 했습니다. 액체 상태의 바다로 덮인 행성에 미생물이 번성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면... 혹시 모르죠, 실제로 레비아탄 같은 생물이 존재할지도요.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게임이나 스페이스 오페라 영화들을 보면 식민지 행성들이 나오는데, 이제 현실에서도 그런 행성 후보들을 찾아내고 있네요. 물론 124광년이라는 거리는 현재 기술로는 도달하기 어렵지만, 이런 발견들이 우주 탐사 기술 발전에 더 많은 투자를 이끌어내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외계 문명들과의 교류는 여전히 SF의 영역이겠지만, 적어도 우리가 우주에서 혼자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은 그 자체로 가슴 벅찬 일인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결론은 블리자드가 고짐고를 수습하고, 어서 스타크래프트3나 만들어줬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태양의맛썬칩
25/04/18 20:25
수정 아이콘
아무튼 일단 인사라도 나누어 봤으면 좋겠네요
수리검
25/04/18 20:25
수정 아이콘
124 광년 ..

참으로 흥미롭지만 저 죽기 전에 명확한 사실을
알려줄 거리는 아니군요 =_=
덴드로븀
25/04/18 20:50
수정 아이콘
해당 행성의 거리 : 지구로부터 124광년
보이저 1호가 떠난 거리 : 지구로부터 0.0026 광년

광년광년하니 우주적 관점에선 별거 아닌것 같지만 지구적 관점에서 보면 뭐야이게 싶죠.
편집자
25/04/18 20:44
수정 아이콘
지금 메시지 보내면 가장 빨리 답신을 받는다고 해도 우리 다 죽고, 손주의 손주가 받게 되겠군요.... 큽..
김삼관
25/04/18 20:46
수정 아이콘
이전에도 이런게 몇 번은 있었던 거 같은.. 물발견 지구와 동일한 환경 등등..
덴드로븀
25/04/18 20:57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731916?sid=105
[120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서 생명체 존재 '유력 단서' 발견] 2025.04.17.
해당 행성 : 2015년에 첫 발견해서 지구와 유사한걸로 추정
지구 대비 질량 8배 / 지름 2.5배 / 중력 1.1배 / 온도 0~40도
2019년 수증기 관측
2023년 바다가 있을걸로 추측
2025년 단순 분자가 아닌 화합물인 DMS / DMDS 발견

DMS / DMDS : 지구에서는 살아있는 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 화합물
2024년 혜성에서 DMS 발견

단순 물발견을 넘어 더 발전된 발견인것 같긴 합니다.
100% 생명체가 만들어낸다곤 할순 없지만 어쨋거나 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는걸 발견한거니까요.
人在江湖身不由己
25/04/18 20:48
수정 아이콘
삼체 오기 전에 우리는 사체...
25/04/18 20:58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중력은 지구보다 약 4.6배 정도 더 세네요. 우리 인간이 거주하기는 어려운 환경이겠네요.
덴드로븀
25/04/18 21:15
수정 아이콘
위에 연합이 작성한 기사에 보면 중력은 1.1배 정도로 나오긴 합니다.
25/04/18 22:40
수정 아이콘
야! chatgpt! 사람 이렇게 무안하게 만들거야?...ㅠㅠ
덴드로븀
25/04/18 22:46
수정 아이콘
?? : AI 채찍피티? 그거 너무 믿지 마세요.
탑클라우드
25/04/18 21:28
수정 아이콘
아 급 삼체 땡기네요
그러지말자
25/04/18 21:58
수정 아이콘
초미세 블랙홀을 동력원으로 워프게이트를 열면 1초컷임. 암튼 그럼.
손꾸랔
25/04/18 22:09
수정 아이콘
AI한테 우리가 없어지더라도 니네가 계속 지켜보라고 지시를 해놔야겠네요
닭강정
25/04/18 22:21
수정 아이콘
빛이 있으라
나른한우주인
25/04/19 16:18
수정 아이콘
최후의 질문 저는 읽고 머리에 한대 맞은 느낌이었습니다.
닭강정
25/04/19 16:54
수정 아이콘
저도 결국 해결은 하겠구나, 인간과 상관없이 ac가 다시 시작하겠구나 했는데 그 시작이 빛이 있으라 일줄은......
키모이맨
25/04/18 22:35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인 생각으로 온 우주에 미생물단위까지 포함하면 다른 생명은 1000000%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지구에 사는 인류급의 지성을 가진 생명이 있냐 하면 그건 없을거같기도 해요
다만 인류의 역사도 우주의 모든 역사에 비하면 티끌도 안 되는 기간일 뿐이고 인류가 탄생하기 전이나 혹은
멸망한 후에 인류급 지성을 가진 생명이 있었냐/있을거같냐하면 그건 있을거같고 크크
크레토스
25/04/19 01: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생물이 존재할 확률이 1000000%면 인간 정도 생물이 존재할 확률도 1000%는 될걸요
어차피 우주가 너무 크기도 하고 우주여행도 빛의 속도를 넘기가 힘들어서 서로 교류 못하는 거지
의외로 인간 정도 생물이 우주에 수천개는 있을수도 있죠
그래봤자 우주에선 티도 안날겁니다.
우리은하에만 별이 4000억개 있고 행성은 몇조개 있을정도로 우주는 커서..
그중에서 지구형 행성만 쳐도 우리은하에만 수백억개 있는 걸로 추산됩니다.
다시마두장
25/04/18 22:36
수정 아이콘
124광년... 을 보는 순간 어차피 나랑은 관계 없는 이야기구나 싶었습니다 크크

그거랑 별개로 서로의 존재를 인지는 할 수 있지만 결코 닿지 못한다는 상황이 뭔가 감성돋기도 하네요.
25/04/18 22:40
수정 아이콘
124광년 그리고 아직 미생물 단계;;;;
25/04/18 22:48
수정 아이콘
옛날에 빌게이츠 재산이 1조쯤일때, 어차피 나랑은 관계 없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1% 따라잡아서 99%만 더하면 닿을것 같은 느낌으로 가는거죠.
그의 자산이 100조 된것처럼 우주의 팽창이 더 빠를까요...
Underwater
25/04/19 08:16
수정 아이콘
1프로 따라잡으셨으면 재산이 100억 되셨군요 축하드립니다
아서스
25/04/18 22:56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스타크래프트3는 RTS는 아닐것 같습니다...

세계관 소프트 리부트정도 하고 TPS같은 장르로 나와서 콘솔 플레이가 가능한 그런 게임이지 않을까...
잉어킹
25/04/19 08:05
수정 아이콘
2020년에 노바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TPS 게임이 유출되었다가 무기한 개발연기해버렸죠.
게임 장르를 가리는 편은 아니라서 어떤식으로든 나오기만 하면 좋겠습니다.
25/04/18 2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124광년에 저런시그널 이라면 아쉽네요. 과학자 분들이야 생명의 근거라도 보는 것이 좋겠지만… sf키드 입장에서는 124년 전에 곰팡이가 핀것이 그닥 흥미롭지는 않네요. (저런건 당연히 있을것이라 생각했던 것이라…) ;
크레토스
25/04/19 01:52
수정 아이콘
인간이 지금까지 관측한 외계행성이 겨우 5000개 밖에 안됩니다. 겨우 5000분의 1의 혜자 확률로 미생물 단계 생물이 발견되고.. 그 미생물있는 행성들에서 50만분의 1정도로 인간 정도 생물 확률이 있다 치면 우리 은하에만 10개 정도 인간과 비견되는 종이 사는 행성 있을거라는 거죠.
은하 전체로 따지면 우주에 은하가 2조개라 생명체가 셀수도 없이 많을거고요.
트윈스
25/04/19 07:04
수정 아이콘
있을거라 생각했던거랑 발견한거랑은 우주와 땅차이죠..
퀀텀리프
25/04/18 23:43
수정 아이콘
미생물은 존재할 가능성이 있죠. 지구 지하에도 광물에 가까운 미생물들이 있습니다.
마스터충달
25/04/18 23:4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지금 나사 예산 삭감 얘기가 나오고 있는 거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4/18 23:46
수정 아이콘
지구인 젤나가 이론 지지합니다
VictoryFood
25/04/19 00:15
수정 아이콘
NASA : 예산 깍지 말아 주세요 ㅠㅠ
망고베리
25/04/19 03:06
수정 아이콘
저런 거 발견하면 더 깍을 거 같은데요. 기독교에 엄청난 위협 아닌가요? 크크
가위바위보
25/04/19 02:53
수정 아이콘
먼 훗날 다른 은하를 자유자재로 관측하고, 광년 이동까지 자유로워져서 탐사를 했는데... 만약 현 지구의 인류가 가장 고등생명체고 해당은하의 모 행성의 인류는 기원전 5000년 경 이집트 문명급이라면 인류는 어떤 방식을 취할까요.? 나일강에 스핑크스 건설해주고, 라틴 아메리카에는 나스카 라인 만들어주고 오려나!? 며칠씩 돌아가면서 파라오 놀이 하다가 지구 귀환하는 패키지 여행 상품이 나올지도 모르겠군요.
25/04/19 10:23
수정 아이콘
감염병 옮겨서 멸절시키지나 않으면 다행이겠죠..
25/04/19 10:41
수정 아이콘
역사가 말해주듯이 여러방식의 착취겠죠.
럭키비키
25/04/19 13:00
수정 아이콘
일론 머스크가 우주에 관심이 많아보이던데 어떤 반응일지..

스타3은 모바일게임이 나오는 시대이고 블리자드직원이 대거 해고됬다는 점, 블리자드에서 나온 스타개발진들의 스톰게이트가 흥행하지않은 점에서 회의적입니다.
유료도로당
25/04/20 08:02
수정 아이콘
지적생명체를 기대하고 찾는다기보다, 미생물을 찾아보는것도 큰 의미가있죠. 지구의 생명체들이 인간부터 미생물까지 모두 공유하는 특성들이 있는데 (DNA구조나, ATP로 세포 에너지대사를 하는 시스템 등) 과연 지구 바깥의 생명체들은 어떨까? 이게 우주적으로 일치하는 시스템일까? 아니면 지구와는 전혀 다른 메커니즘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일까?

전자라면 전 우주를 관통하는 어떤 법칙이나 생명체 설계자(설계원리)가 있다고 볼수있는거고, 후자면 생명이란게 그냥 원시지구에서 우연히 조합되어 생기고 진화해서 생긴거라고 볼수있는거겠죠.

100광년 넘게 떨어진 저긴 알수없겠지만 목성이나 토성의 위성 중 얼음이 있는곳에 미생물이 있을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열심히 탐사중일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567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070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500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7672 3
104097 [일반] 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32] Kaestro4085 25/04/20 4085 6
104096 [일반] 아청법 관련) 슬슬 또 스텝을 밟기 시작하는 제도권 [41] 실제상황입니다7510 25/04/20 7510 13
104095 [일반] 이게 그거였구나 如是我聞2867 25/04/20 2867 7
104094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18] 김홍기6501 25/04/19 6501 0
104093 [일반]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76] 고무닦이10777 25/04/19 10777 38
104092 [일반]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이국종 교수, 국방부에 사과 [191] Davi4ever10491 25/04/19 10491 7
104091 [일반] 콜드플레이 2일차 후기 [26] aDayInTheLife2807 25/04/19 2807 1
104090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 - 한경제에서 용릉후 가문이 나오기까지 [7] 계층방정1890 25/04/19 1890 6
104089 [일반] 최근 사용한 AI툴들 목록 [36] Kaestro4029 25/04/19 4029 30
104088 [일반] (로이터 통신)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 발견 [38] 잉어킹6026 25/04/18 6026 3
104087 [일반] 백종원씨 사태에 대한 대중 반응 변화 [105] 깐부8432 25/04/18 8432 2
104086 [일반] '메탄올 실명' 노동자 이진희씨 별세 [37] 수리검6270 25/04/18 6270 48
104085 [일반] QCY 무선 이어폰 품질 생각보다 괜찮네요 (광고글 X) [47] a-ha4861 25/04/18 4861 1
104084 [일반] 건법 앞의 평등 - 미국 유나이티드헬스케어 [61] 맥스훼인6057 25/04/18 6057 1
104083 [일반] 인구구조 문제는 절대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일까요 [82] liten4783 25/04/18 4783 1
104082 [일반]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결산 [7] 及時雨2255 25/04/17 2255 11
104081 [일반]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약스포) [50] 빵pro점쟁이5997 25/04/17 5997 2
104080 [일반] '한 문제에 50만원' 현직교사 포함한 사교육 카르텔 100 여명 검찰송치 [41] EnergyFlow8952 25/04/17 8952 6
104079 [일반] <야당> - 뻔하다는 건? 말아먹진 않는다는 것. (노스포) [25] aDayInTheLife7582 25/04/16 758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