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02 22:21
아저가 물어보고싶은거는 님들은 능동 수동을 어떻해 구분하며 저기에있는 to be ~ to부정사에 무슨용법입니까?
그리고 expect 가 5형식으로 쓰는이데 그럼 5형식 수동태라서 to be~ 가 있는 것입니까?
10/08/02 22:34
저는 영어를 그리 잘하는 사람이 아니지만 고딩 때 배운걸 토대로 적어보자면...
우선 저런 유형의 문제는 수능이나 모의고사에서 자주 보이는 유형이네요. 문법을 위한 문법문제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해석하다보면 알게되는 그런 문제죠. 어려운 문법용어는 잘 모르겠고, 어쨌거나 영어에서 제일 중요한 건 주어랑 동사입니다. that 절에서 주어는 plane이고 동사가 delay, expect인 건 아시잖아요. 당연히 expecting 이라면 비행기가 예측하는~ 이라고 해석되니까 틀렸죠. 능/수동 구분하는 방법은 잘 아시네요. 해석하시면 됩니다. 영어를 공부할 때 너무 분석적으로 study 하시는 것 보다는 많이 외우고 많이 듣고 많이 따라 말하고 많이 읽고 이렇게 learn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10/08/02 22:35
여기서 expect 는 '예상하다' 정도로 해석하면 될 거 같은데...그러면 주어가 plane이라서 능동태를 쓰면 안되는 거 아닌가요?? 비행기가 예상할 수는 없는 거니까요.
10/08/02 22:44
위와 같은 형태에 allow A to B, ask A to B, expect A to B, require A to B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동사들은 5형식 동사로서 수동태를 취할 때 목적보어가 그대로 남아 A be p.p to B 의 형태가 됩니다.
해석상으로 능동/수동 구분은 잘 되시는 것 같고, 이 부분은 사실 어법 문제로도 충분히 나올 수 있는 패턴입니다. 요즘 친구 동생(고3) 영어공부를 봐주고 있는데 이런 패턴의 구문이 다소 생소한 것이 사실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10/08/02 22:50
능동/수동을 구분하는 방법도 댓글로 질문하신 것 같아, 제 나름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별 대단한 것은 아니고, 기본적으로는 해석에 의존합니다. (어법,문법 또한 사실 언어의 한 부분일 뿐이고, 언어 자체가 소통을 위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근본을 해석에 두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순수하게 해석만으로 능동/수동 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울 때가 있는데, 이럴 경우 사용하는 것이 평소 자주 보게 되는 특이한 종류의 동사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가령 타동사라면 목적어를 취하게 될 것이고, 뒤에 목적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절로 생략한 것이 아닌 이상에는 수동인 것이 정상입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은, 영어와 국어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와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의 구별을 철저하게 해두셔야 목적어의 유무, 보어 등을 따져서 구문/어법상으로 능동/수동을 구별해내실 수 있을 겁니다.
10/08/02 22:52
그리고 저가 생각한게 맞앗네요 expect 5형식이라서 저렇게 된다는거 결국 A be expected to B 형식이 된거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