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7/26 14:14
1. 개인적으로 품질로만 보면 현대/기아가 제일 낫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르노삼성도 꽤나 많은 골수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야 이제 조금씩 세계적으로 품질을 인정받는 분위기고 르노삼성은 많은 모델을 보유한 것은 아니지만 튼튼하고 안정성 있는 차로 전통적인 선호층이 있어요. 대우는 상술한 메이커에 비해 좀 떨어지는 메이커였는데, GM으로 넘어가면서 디자인과 품질이 급상승한 케이스입니다. 라세티 프리미어를 시작해서, 후속 발매되는 모델들이 디자인과 설계가 GM의 것을 가져다 쓰고 있어요. 그래서 생산만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다 뿐이지, 수입차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물론 나라마다 숙련공들의 조립 솜씨는 다릅니다.) 전 네 메이커 모두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하긴 합니다만, 굳이 꼽자면 GM대우 - 현대 - 기아 - 르노삼성 순으로 꼽고 싶습니다. 현대/기아는 자동차 품질은 많이 좋아졌는데 한국에서 판매되는 모델과 해외 판매모델의 가격차/품질차가 조금 있는 편이고, 서비스도 좋지 않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메이커 중에선 제일 나은 것 같아요.
2. 메이커별 인지도는 현대 - 기아 = 삼성 - 대우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수입차가 아닌 이상 비슷비슷 합니다. 다만 GM대우는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내년부터는 시보레로 출시될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지금의 대우엠블렘을 달고 나올 때보다는 훨씬 더 큰 이미지 상승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면허가 있으시면, 대리점 방문해서 각 메이커의 차들을 직접 보시고 시승해보세요. 지인들의 차를 빌려 타는 것도 좋습니다. 인터넷이나 자동차 잡지를 통해 정보를 얻는 거도 좋구요. 그냥 포괄적으로 대답해드렸는데, 하나씩 알아가다보면 자동차에 대한 관점도 생기고 흥미로우실 거에요.
10/07/26 15:06
우리나라에서 현기차가 거의 시장점유율이 80%넘으니깐 차를 유지하시는데는 현기차가 제일 편하실 겁니다. 거의 독점 비슷한 수준에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힘도 있고 르삼이나 지대같은 경우 현기의 가격정책(+옵션장난)을 따라갑니다. 르노삼성도 삼성과 무관한 르노라는 프랑스메이컨데 이상하게 초반 일제 닛산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으면서 사람들이 좋아하더라구요. 지엠대우도 지엠계열사의 일부이죠. 뭐 특출나게 뛰어날 것들도 없는 메이커들이라 고만고만한데 현대가 그래도 다른 업체들처럼 회사가 망한 경우도 없고 기술개발도 열심히 하고 그러니깐 아버지세대에서는 압도적지지를 받고 대우같은 경우는 그야말로 조트망 이미지인데 시보레로 바꾼다고 해도 별 달리 개선될 것 같아 보이지는 않지만 라세티프리미어나 마티즈크리에이티브 같은 경우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죠. 디씨인사이드의 자동차갤러리 가시면 현대,기아,르노,지엠대우 다 있습니다. 시간 나실 때 한 번 둘러보시는 것도 괜찮고 자동차전문 블로그에 올려진 포스팅을 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