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7/24 09:39
사실상 pc는 인텔과 AMD가 동종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매킨토시도 요즘 커널을 유닉스 기반으로 만들고 하드웨어는 인텔 계열을 쓴다고 읽었던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제일 좋은"의 기준이 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뜬금없이 윈7 64비트가 제일 좋은 것 같다, 말씀하시면 이해는 되면서도 가끔 저 같은 비 M$ 사용자들은 발끈할 수도 있습니다. ;; 성능 측면에서는 잘 설정된 윈도우/어플리케이션 조합보다 리눅스/어플 조합이 구조적으로 나을 수밖에 없습니다. 윈도우즈는 바이너리를 배포하고, 리눅스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 해서 사용하는 게 가능합니다. 바이너리는 exe 파일이고 열어봐도 인간의 언어가 아니죠. 소스 코드는 수상하지만 그래도 인간이 쓰고 인간이 알아볼 수가 있습니다. MS office를 소스 코드 배포했다간, Sun쯤 되는 회사가 Office 어떻게 만들었는지 훤하게 들여다볼 수 있고, 중국이나 한국에선 즐겁게 카피해서 내 것인양 내놓을 수도 있습니다. 한데 문제가 있습니다. 모든 cpu가 할 수 있는 일이 같지 않습니다. 반면 소스 코드는 cpu 상관없이 같습니다. 쉬운 예를 들겠습니다. a = b + c + d + e ; 라는 게 소스 코드에 있다고 하면, a란 변수에 b ~ e를 더해서 저장하란 뜻입니다. 이건 cpu 신경 안 쓰고, 소스 코드를 기술하는 C라는 규칙에 따라 쓰여집니다. 어떤 cpu는 덧셈을 한 번에 두 쌍까지 처리할 수 있습니다. 소위 '덧셈(하는)기(계)'가 두 개가 있는 거죠. 한데 좀더 후진 cpu는 한 번에 한 쌍씩밖에 안 됩니다. 덧셈기가 하난 거죠. 후자라면, 위의 덧셈은 전부 세 턴 동안 해야 합니다. 한데 전자라면, 첫 턴에 b+c, d+e를 동시에 처리하고, 다음 턴에 a를 구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두 가지 방식에 대응되는 소스 코드는 똑같지만 실행 파일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바이너리를 배포하려면, 전자로 할지 후자로 할지를, 고객의 cpu에 덧셈기가 한 갠지 두 갠지 모른 채로 결정해야 합니다. 당연히, 되도록 일반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리고 '신형' cpu일수록 좋은 기능이 많겠지만, 여전히 낡은 cpu를 가진 고객층도 상당하겠지요. 따라서 일반적인 선택은 자주 낮은 성능으로 이어집니다. 리눅스는 특별한 신념-음미할 가치가 있습니다-에 따라 소스 코드가 배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바이너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기에, 그 과정에서 사용자가 갖고 있는 머신의 특성을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예컨대 위의 소스 코드 예제에서 만약 덧셈기가 두 개인 cpu를 갖고 있다면 명시적으로 지정해서 덧셈기 두 개를 다 활용하는 실행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생성된 바이너리의 수행 성능이 더 좋을 가능성이 높고요. 같은 리눅스도, 바이너리 배포판 중심의 우분투와 소스로만 설치되다시피하는 젠투 사이의 성능 차이가 상당합니다. 오직 귀찮아서 우분투를 쓰고 있지만, 메모리 쓰는 양의 차이 보면 안습입니다. OS 자체도 같은 얘기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저는 예전에 OS에서 유에스비 지원을 빼서 속도를 약간 올려 쓴 적도 있습니다. 제 컴퓨터엔 제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제외한 나머지는 지원 안 해주다시피 하는, customized된 OS가 올라가 있습니다. 똑같(이 높)은 수준의 윈도우 / 리눅스 사용자의 시스템이라면, 후자의 시스템 성능이 당연히 더 좋습니다.
10/07/24 14:45
VM웨어로도 가능하지만 VM웨어라는게 버추얼 머신의 약자입니다.
네이티브로 윈도우없이 리눅스만 설치도 가능하고 듀얼부팅식으로도 가능합니다. 다만 크롬과 아주르(?)는 보통 생각하시는 MacOS나 윈도우랑 많이 달라요. 거의 완전히 다른 운영체제라고 보셔도 되고 체급으로 따지면 웰터급대 페더급이라고 생각하셔도 될것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