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7/18 03:21:41
Name 기적의미학
Subject 리눅스(우분투) 처음할 때 도움되는 책(?)이나 사이트 추천부탁드립니다.
윈도우만 열심시 사용하고 있던 어느날, 갑자기 리눅스를 사용하고 싶어 설치를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멀티부팅을 위해) 설치하려고 하니, (예상외로) 만만치가 않네요. 그냥 설치하다가는 리눅스를 제대로 이용못할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우분투 실행 후, 설치 자체는 쉬웠습니다.)
왕초보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서적이나 강좌가 있으면 그것을 이용하면서 방학 때, 공부(?) 겸 겸사겸사 사용하려고 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P.S 왕초보이지만, 제 수준(?)을 알면 책이나 강좌 정보 등의 추천 시에 도움이 될까하여, 오늘 설치 시도기를 적습니다.
(사실, 오늘 너무 고생하여, 혼자 분풀이(?)를 하기 위해 작성합니다. 으허허T.T)
1. 우분투 설치를 하기 위해, iso 파일을 다운받았으나, 공cd가 없더군요.
    그래서,  어찌어찌하여 usb에 넣어서, 부팅하는 방법을 알아내었습니다.;;
2. 제 하드는 4개의 주 파티션으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recovery, 의문의 파티션(시스템), c:,d:(자료수집용))
이 중에서, d:의 볼륨을 줄이고, 할당되지 않은 공간을 만든 상태에서 우분투 설치를 하려고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3. 그래서, 할당되지 않는 공간을 새 볼륨으로 만드는 순간, 복원 파티션을 제외한 모든 파티션이 동적(?) 파티션이 되어버리고,
복원솔루션도 작동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4. 결국, 인터넷에서 열심히 검색해서, testdisk라는 프로그램으로 새 볼륨을 만들기 전의 파티션으로 복구하였지만,
    실수로 부팅을 하는 파티션을 "recovery" 로 하는 바람에 결국, 어쩔 수 없이 c:를 포맷하게 되었습니다.T.T
5. 무슨 특수한 파티션 분할 프로그램이 있을까하여 검색하던 중, 하드디스크에 주 파티션은 4개 밖에 안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리하여, 결국 소중한 d:를 포맷하였습니다.(다행히 계절학기가 끝나 지워도 상관이 없었습니다.)
    이후, 확장 파티션으로 만든 후, 일부를 데이터 보관 용인 D:로 만들고, 이제 드디어 우분투 설치하려고 합니다.

시간을 보니, 오후 3시에 시작했는데 새벽 3시이군요.T.T 아. 서글픈 밤이여.

6. 아이온님의 도움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늦은 시간 새벽인데도 불구하고, 설명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온
10/07/18 03:57
수정 아이콘
음. 책은 Running Linux가 일단 괜찮은 레퍼런스입니다. 다른 분들이 오해하시지 않도록 설명을 좀 드리면, 지금껏 하신 작업은 OS 2개를 멀티부팅 하기 위한 준비고, 우분투 설치가 어려워서.. 는 아닌 것 같아요. 젠투 설치는 어렵지만 우분투 설치는 쉽습니다. 한국 우분투 사용자 모임도 있어서, ubuntu.or.kr인지 co.kr인지 할 거고요. 그 페이지에 wiki나 FAQ 비슷한 것도 있었던 것 같네요. 그런데 처음 설치 시에는 그냥 까실 수 있어요.

첫 단계는 여태 하신 것처럼 파티션 할당입니다. 파티션이란,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일부를 OS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놓은 걸 뜻합니다. 처음 상태는.. 이미 윈도우즈가 디스크 전체를 관리하고 있고요. 리눅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드를 처음 샀을 때의 그 상태로, 리눅스가 설치될 일부가 머물러 있어야 합니다. Resizing을 기존 OS가 관리하는 파티션 크기를 줄여서, 하드 처음 산 상태로 남아 있는 부분을 만들어내는 것이고요.

우분투 설치 씨디를 넣고 진행하시다 보면, 리눅스 안에 파티션 create/delete/resizing 등을 할 수 있는 GUI 툴이 있습니다. Resizing은 좀 부담스러운 일이어서, 가급적 windows 상의 많이 쓰이는 툴로 하는 걸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습니다. 파티션 만들기부터는 이 툴을 이용할 수 있고요.

지금 이 단계까지 오신 겁니다. 설치는 CD 넣고, 언어 (가급적 한국어로 고르세요.. 아니면 입력기 설치 등 여러 가지로 귀찮습니다) 고르시고, 다음, 다음으로 계속 가시면 됩니다. 다만, 딱 한 단계는 조심하셔야 됩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한 pc에 두 개의 OS를 설치할 때, 공통으로 조심해야 할 부분입니다. 설치할 파티션을 지정해주는 대목인데요.

기본 옵션은, 우분투가 알아서 파티션을 관리해 버리는 것입니다. 이게 과거엔 스마트하지 않아서, 있는 OS를 지우고 자기가 통째로 시스템을 먹는 옵션을 디폴트로 보여주기도 했는데 어떨지 모르겠네요. "수등으로 파티션 나누기"나 그 비슷한 쪽을 고르세요. 이거 중요합니다.

하드가 처음 나온 상태로 머물러 있는 부분(free space, 할당되지 않은 공간 등의 이름으로 보일 것이고요)을 둘로 쪼갭니다. 램 용량 x 1 정도로 작은 거 하나, 그 나머지 전체.. 이렇게요. 램이 2G이면, 2G / 나머지.. 이렇게 쪼개세요.

파티션을 할 때, 소위 mount point를 지정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파티션 만들기를 하면, 만들어질 파티션에 대해 이러저러한 걸 설정하는데 그 중 하나에요. 2G는 swap으로, 나머지 큰 파티션은 마운트 포인트를 /로 해주세요. 윈도우는 c drive에 해당하는 부분은 무조건 C: 밑으로 보이죠. 하지만, 사실 하나의 파티션(파일 시스템)은 tree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리눅스는 이 tree의 꼭대기를, directory 구조의 아무 곳에다 끼울 수가 있어요. 즉, c: 밑에 kkk란 디렉토리를 만들고, 거기 d drive를 마운트 하면, c:에선 c drive 내용이 보이지만, c:kkk 에서는 d drive의 root에 있는 내용이 보이는 거죠. 사용자는 그 전체가, 물리적으론 두 개지만, 논리적으론 하나의 파일 시스템이라고 착각하고 쓰는 거고요.

이렇게 파티션의 root와 directory 상의 특정 부분을 연결해 주는 작업을 마운트, 그 연결을 해제하는 작업을 umount라고 합니다. Linux OS가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ext2 / ext3 / ext4 타입의 파티션을 root에 마운트 해주어야, OS가 이러저러한 시스템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는 클릭, 클릭 끝까지 하시면 됩니다. 네트워크 없는 곳에서 설치 후 네트웤을 셋업할 수도 있지만, 그 작업이 약간 귀찮기 때문에, 네트웤 되는 환경에서 설치하시고요. 설치하실 때, 키보드 타입이 "한국"으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아니면 한글 키보드로 지정해 주세요. 이 또한 나중에 고칠 수 있지만 조금 귀찮습니다.

다 설치 후, 먼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해주시고 리부팅을 해주세요". 초기엔 윈도우도 그렇지만 응용 프로그램이 약간밖에 깔려 있지 않습니다. synaptic이란 프로그램을 켜면, 거기에 모든 설치 가능하고 자주 쓰이는 프로그램들이 모여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이름을 알아오신 뒤, 시냅틱에서 검색하고, 체크해서 설치해주시면 되요.

저의 경우엔 구글에서 linux mac like 어쩌고 검색해서, 우분투를 맥처럼 꾸밉니다. 부팅이 되고 로그인 화면 보여주는 부분을 GDM이란 애가 처리하는데 최근 버전부턴 이 GDM의 테마/배경화면 등을 바꾸기 어렵게 되었으니, 이 부분 생략하시고 설치하시면 되요.

처음 프로그램 설치시, 뭘 잘 모르겠다, 싶으시면, 비슷한 거 다 까세요. 예컨대 compiz는 처음에 extra가 깔려있지 않아, 몇몇 애니메이션을 처음 선택할 수 없는데요. compiz extra를 깔라더라, 라는 걸 구글 검색하시고 나서, 시냅틱에서 뭘 깔아야할지 모르겠다, 싶으시면 그냥, 비슷한 거 다 까세요.
기적의미학
10/07/18 04:09
수정 아이콘
Thanks, lot. I couldn't write Korean altough i set my keyboard to(?) korean. so, very sorry to write english.
Later. I will write in korean, again.
I am using notebook : Sens NT-R480
Thanks to tell me about ubunto.
아이온
10/07/18 04:11
수정 아이콘
그리고 기본적인 디렉토리 위치를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etc는 설정 파일들, /bin, /usr/bin/, /usr/local/bin은 실행 파일, /sbin은 뭔가 시스템 관련 도구들, /share는 매뉴얼 페이지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그림, 테마 등등, /media는 usb나 외장 하드, 윈도우 파티션 등 다른 파티션들이 자동으로 마운트 되는 위치입니다. /home은 사용자들의 공간인데, /home/kalim은 kalim이란 사용자의 공간입니다.
기적의미학
10/07/18 04:25
수정 아이콘
아. 한영키 관련 문제는 키보드 셋팅시 대한민국 "기본키보드"로 설정해서 생긴 문제였습니다.
101/104 호환으로 변경하니 한글로 작성 가능하네요.

상세히 가르쳐 주셔서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다시 곰곰히 생각해보니, 설치과정은 쉬웠으나, 멀티부팅을 위한 setting이 어려운 것이었는데,
제가 그냥 무작정 여렵다고 하여, 다른 분들께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게 한 것 같습니다.
오해를 피하기 위해, 위에서 어렵다고 표현하는 부분은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상세히 설명해 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오늘 아니면 내일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책을 구입해야겠습니다.
p.s. 시간도 이렇게 늦었는데, 늦은 밤.. 윈도우 프로그램을 설치해야겠습니다.
소인배
10/07/18 10:47
수정 아이콘
공돌이라면 Origin을 대체할 수 있는 Q;tiPlot도 좋죠.

동영상 재생 쪽은 조금 후달린다고 봅니다.
기적의미학
10/07/18 14:13
수정 아이콘
댓글을 달아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_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350 SKT1의 선택과 집중 시즌 2는 무엇인가요?? [8] 샴페인슈퍼노2040 10/07/18 2040
86349 공연을 보려고 하는데 어느 자리가 좋을까요??(op석은 뭐죠?;) [4] 호기심남2391 10/07/18 2391
86348 내일 뭐 스타 경기 있나요? 경기장 가보고 싶은데 [1] 움쓰꿍쓰1378 10/07/18 1378
86347 소리나는 글의 소리는 대체 어떻게 끄나요? [1] wook981573 10/07/18 1573
86346 마우스 인터페이스 PS2젠더 질문이에요 [1] sekhmet1548 10/07/18 1548
86345 어제 김창희 군?을 보았습니다 [21] 두두3147 10/07/18 3147
86344 오늘 스타2베타 한번 해보려고하는데요.. [1] 완소히드라1539 10/07/18 1539
86343 노래를 '배로 부른다' 는게..무슨 뜻입니까? -_-;; [10] 고등어3마리5787 10/07/18 5787
86342 윈도우즈 7에서 스타 돌릴때 질문입니다. [1] 언데드네버다1415 10/07/18 1415
86341 다이어트방법 조언 좀 해주세요. [2] 대구최강호야1596 10/07/18 1596
86340 와우 계정 관련 질문 [1] Noki~1634 10/07/18 1634
86339 일본 락 음악들 추천좀 해주세요~ [5] Go_TheMarine1687 10/07/18 1687
86336 프로리그방식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2] 손상모1308 10/07/18 1308
86334 병원에 입원중인데 뭔가 할거 없을까요? [8] 인필드4618 10/07/18 4618
86333 울진하면 무엇이 생각나시나요? [19] 세뚜아1753 10/07/18 1753
86332 삼국지 시리즈 추천 부탁합니다~~ [12] 철의동맹1962 10/07/18 1962
86331 번호이동을 하게 되면... [1] army1289 10/07/18 1289
86327 아이팟 충전기 질문입니다! 야누스1563 10/07/18 1563
86326 리눅스(우분투) 처음할 때 도움되는 책(?)이나 사이트 추천부탁드립니다. [8] 기적의미학2119 10/07/18 2119
86325 프로그램에서 버튼이 사라졌습니다. 화이트데이1410 10/07/18 1410
86324 여름에 쓸만한 헬스장갑 추천해주세요. [2] 살콤한그대1880 10/07/18 1880
86322 K리그 선수는 이적료를 얼마정도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 [5] wish burn1655 10/07/18 1655
86321 라코스테 피케티 질문드립니다~ [1] 백색왜성2102 10/07/18 21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