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10/02 11:14:23
Name Zygote
Subject 비 새누리당 인사에게 도덕적으로 완벽한 잣대를 대는 이유가 뭘까요?
일단 저는 기본적으로 모든 정치인에게는 완벽한 도덕적 처신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그런사람은 없다는것도 인지하고 있구요..

그런데 유독 비 새누리당 인사에게 도덕적으로 완벽한 잣대를 대는 것 같습니다.
비 새누리당 인사는 스스로 도덕적인 척 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하기에는
사실 착한척, 법을 잘 지키는 척 하는건 여, 야당 인사 누구나 그런 척을 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가만히 보면 새누리당은 측근 비리나 뭐나 누가 몇억원을 해먹었든 많은 지지자들이 흔들리지 않더군요 - -;
(비리와 능력은 같이 간다고 생각하는건가요?;)
근데 상대적으로 가벼운 논란이더라도, 반 새누리당 진영 인사에게 일어나게 되면 지지자들이 더 빠른속도로 이탈하는 것 같아요.

제 느낌인건가요? 아니면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10/02 11:20
수정 아이콘
많은 경우의 반 새누리당 지지자나 반 새누리당 지지 논리가 '여기가 좋아서 지지한다' 가 아니라, 기존의 비 상식적이고 추잡한 짓거리가 싫다고 지지하는 편이라 그렇다고 생각해요. 난 얘네가 꺠끗하다고 생각해서 지지하는데, 그게 아니다? 그럼 이탈할 수 밖에 없죠.
낭만랜덤
12/10/02 11:23
수정 아이콘
간단히 얘기하면 '이놈 저놈 다 똑같구나' 라는 생각이 들게되면 굳이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걸 찾을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 아닐까요??
12/10/02 11:25
수정 아이콘
애시당초 비주류인 사람들은 주류를 공격하면서 세력을 키워나가는데, 현재 한국 정치에서는 그 과정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게 도덕성입니다. 비주류층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주장해 온 도덕성에 중점을 두고 지지하게 되는 것이고요. 그런 상황에서 '저 사람은 도덕적으로 흠결이 있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던 사람에게 도덕적으로 흠결이 발견되면 자기가 그동안 쌓아온 주장의 근간이 흔들리게 되는거죠.

그리고 비새누리당 인사라도 애당초 도덕성을 별로 요구받지 않는 인사들도 있긴 합니다. 박지원이라던가, 박지원이라던가.... -_-;
12/10/02 11:37
수정 아이콘
그걸로 표 끌어모았기 때문입니다. [m]
가만히 손을 잡으
12/10/02 11:42
수정 아이콘
구실이 필요한 거죠.
딱히 한 쪽만 그런게 아니고 양쪽 다 그렇기는 합니다만,,
12/10/02 11:46
수정 아이콘
전 반대로 일부 야권지지자들이 이런걸로 답답해 하는게 더 이해가 안갑니다.
긴토키
12/10/02 12:05
수정 아이콘
이성적으로 설명할수없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비단 우리나라뿐만아니고 일본이나 미국도 그래요 일본은 우리나라보다도 더 심하다면 심하죠
더 진보적인 정당이 도덕적 문제에 연루되었을떄 받는 타격이 더 큽니다
블라디미르
12/10/02 12:12
수정 아이콘
무능력하지만 깨끗하고 기존 정치와 다른걸 보여주겠다는걸 내세우는 진보가

그 도덕성 마저 결여된다면

무능력한데다가 기존 썩은 정치인과 다를바가 없다라는 결론이 나오죠

그렇다고 현 여권이 능력이 있느냐고 하면 물음표가 따라붙기는 한데..
12/10/02 12:17
수정 아이콘
언젠가 댓글로 이것에 대한 제 의견을 낸 적이 있었는데요.

원칙적으로 보수는 기득권세력이고, 기존체제를 최대한 지키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러는 와중에 회귀도 하구요. 그리고 진보는 비기득권 세력이고 기존체제를 빠르게 바꾸는 것을 선호하죠.

문제는 모든 사람이 정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선거를 통해 뽑힌 대표자들이 정치를 합니다. 이미 대표자로 뽑힌 정도가 되면 어느정도 기득권을 갖게 되죠. 비기득권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기득권이 되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결국 진보를 지지하는, 기존체제의 빠른 변화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기존의 기득권층 인물 중에서 비기득권을 위해 일 해 줄 사람이나, 비기득권의 인물 중에서 기득권에 들어가더라도 변하지 않고 비기득권을 대변해 줄 사람을 찾아서 선택하게 됩니다.
결국 진보의 인사는, 지금보다 더 큰 기득권을 주더라도 성실하게 비기득권을 일해 줄 사람을 뽑는 것이기에, 현재의 기득권에서 작은 도덕적 문제에도 민감합니다. 더 큰 기득권을 줄 경우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렇다는 건 지금껏 애써서 밀어 준 진보인사가 저쪽 보수로 넘어가는 것과 다르지 않으니까요. 결국 그 지지자들이 도덕적 문제에 민감하기 때문에, 진보 인사들은 도덕적인 부분에 있어서 좀 더 완벽해야합니다.

반면 보수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다릅니다. 그들이 실제로 기득권이든, 그렇지 않던간에 이 사람들은 원칙적으로 기존의 체제를 고수하거나, 천천히 변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입니다. 기존체제는 이미 잘난 사람들이 기존체제에서 잘난 사람들입니다. 이미 기득권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서 기득권자를 뽑습니다. 기존의 체제라는 건 현재의 체제이기 때문에, 사람들간의 우위도 현재 결판이 나 있습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이 사람들에게는 과거나 미래는 진보지지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진보지지자들은 미래에 바꿀 것을 기대하고, 바꿨을 때에도 계속 잘해줄 사람을 뽑아야하지만, 보수지지자들은 현재 잘하는 사람을 뽑으면 별로 바뀌지 않은 미래에도 잘 할 테니까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도덕적인 문제에 대해서 관대합니다. 또 기득권자라는 건 현재 힘을 갖고 있는 집단이 되니, 도덕적인 문제를 까기에 무섭기도 하구요.

게다가 진보지지자들은 보수인사들에 대해서 왜 바꿔야하는지를 설명해야하고, 그것은 좀 더 나은 능력과 좀 더 나은 도덕성을 입증해야합니다. 그런데, 능력부분은 좀 더 나은 것이 아니라 좀 더 나을 것 같은 경우가 많죠. 기득권을 상대가 갖고 있으니 그 사람들은 기득권을 갖고 있을 때 어떤 능력을 보이는지 검증이 되었지만, 진보쪽 인사들은 기득권을 덜 갖고 있으니 더 가졌을 때 어떨지는 모르는 문제니까요. 그건 현재의 비교가 아니라 미래에 대한 예측을 비교해야하는 것이고, 결국 누가 옳다고 할 수 없으니 결론이 나지 않습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이미 드러나있는 보수인사의 도덕적인 문제가 좀 더 자주 이야기 될 수 밖에 없죠.

그런데 보수지지자들은 그러한 것이 불편합니다. 자꾸 도덕적인 문제를 지적하니, 그 사람을 지지하는 자신들도 비도덕적인 사람들로 몰리는 것 같아 기분 나쁘거든요. 그러니 상대적으로 적은 빈도로 나오는(사실상 기득권이 적으니까 빈도가 적을 수 밖에 없는) 진보인사들의 도덕적 문제에는 예민합니다. 결국 '니들도 다를 거 없잖아'라고 말해서 자신이 부도덕한 건 아니라는 걸 말하고 싶은거죠.

진보지지자들은 진보인사들의 도덕성에 예민하고, 보수지지자들도 그러니 당연히 보수 인사들의 도덕성과 진보 인사들의 도덕성에 대한 잣대는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건 딱히 우리나라만의 특징이 아니라 어느나라나 마찬가지인 문제죠.
12/10/02 13:10
수정 아이콘
애초에 프레임을 잘못 짜서 그런거 아닐까요?

새누리당 : 우리는 해먹었지만 일을 잘해. 니네는 깨끗한 대신 일을 못하잖아?

이러고 나서 깨끗한 쪽만 털면 끝나는 거죠.

물론 새누리당이 해먹은 것은 사실이나 일도 못한다는 건 함정
인간실격
12/10/02 13:23
수정 아이콘
그거슨 운명
운영진수정
12/10/03 01:05
수정 아이콘
건국이래로 온갖 비리와 불법과 추문에 대한 도덕적 우월성을 내세운 것에 대한 댓가죠.
쌓이고 싸여...너하나 나하나의 게임이 아닌 1:1000이상의 게임이 된 것입니다.

나는 1000의 잘못이 있지만 너의 1은 나와 동급이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7926 선개통 후배송시 개통후에 배송 받기전까지는 연락자체가 불가한가요? [9] 선율2995 12/10/02 2995
147925 세금환급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치킨마요1211 12/10/02 1211
147924 개봉예정인 공포 영화 알 수 없을까요? 라리1549 12/10/02 1549
147923 [lol]트롤러들 제재를 강화해야되지 않을까요? [13] 너부리2133 12/10/02 2133
147921 [영화] 메리다와 마법의 숲 vs 간첩, 어떤게 나을까요? [4] Eternity1297 12/10/02 1297
147920 크리스마스때 서울에서 레지던스 이용? [18] MadLilac1541 12/10/02 1541
147919 [lol] 5경기 블라인드픽, 어떻게 생각하세요? [35] DEICIDE2315 12/10/02 2315
147918 폰 살때 오프매장에서는 어떤경우라도 온라인보다 손해인가요? [17] 선율1483 12/10/02 1483
147917 옷 코디 질문입니다. [16] 화무십일홍1862 12/10/02 1862
147916 피지알 낚시 사이트... [9] 이종범1511 12/10/02 1511
147915 lol 아무무 템트리 질문 [18] 목화씨내놔1739 12/10/02 1739
147914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5] 굿리치[alt]2167 12/10/02 2167
147913 비 새누리당 인사에게 도덕적으로 완벽한 잣대를 대는 이유가 뭘까요? [16] Zygote1525 12/10/02 1525
147912 자취생에게 쌀추천좀 해주세요 [6] 포프의대모험2249 12/10/02 2249
147911 토렌트 속도가 갑자기 느려졌네요. [3] 응칠5791 12/10/02 5791
147910 임신한 여성에대한 시선에대해 궁금한점 [5] 조키2238 12/10/02 2238
147909 일반 시민의 입장에서 여성가족부를 없애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3] 남자의일격1862 12/10/02 1862
147908 광고음악 제목 질문입니다. 정지원1400 12/10/02 1400
147907 천원돌파 그렌라간 어떤가요?(애니추천) [16] EY1630 12/10/02 1630
147906 pink의 blow me 질문입니다 [2] BLitz.1940 12/10/02 1940
147905 트위터 적응 잘하는법이요. [4] 포도씨2294 12/10/02 2294
147904 [응답하라 1997] 추석연휴에 끝까지 봤는데 질문입니다. [3] HesBlUe1580 12/10/02 1580
147902 온라인게임 하나를 찾고있습니다 [6] 정공법1819 12/10/02 18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