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9/28 12:21:16
Name 물키벨
Subject 현실세계에서 화폐의 양은 점점 증가하나요?

현실세계에서 화폐대 화폐가 아닌 물질의생산이나 기술의 개발등으로 화폐가치를 가지는 것들이 계속 늘어날텐데 화폐가 일정하면 나중에 화폐가 부족할것 같은데요.

그래서 생각한 것이 화폐양이 점점 증가하는게 아닌지 아니면 다른 화폐환원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온라인게임만 하더라도 게임머니의 가치가 무분별하게 늘어나느걸 막기위해 시스템적으로 게임머니를 환원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화폐양이 증가하는게 맞다면 , 화폐가 늘어나야 해서 화폐를 찍어낼때 무분별하게 찍어낸다면 세계시장간의 거래라든가에서 문제가 생길수도 있을거 같은데요.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것이 무언가 있는거 같은데 의견을 들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미메시스
12/09/28 12:24
수정 아이콘
화폐의 유통량은 국가에서 조절하는게 맞습니다.
경제가 절대적 안정상태라고 가정하더라도 수명이 다해 사라지는 양도 있으니 인위적조절이 필요하긴 하죠.

네이버 뉴스같은데서 본원통화로 검색해보면 정부가 어떤방향을 잡고있는지 대충 감이 오실겁니다.
12/09/28 12:50
수정 아이콘
다 조정합니다. 정말 똑똑한 사람들이 한국은행가죠. 게다가 통화량은 단순히 화폐의 양은 아닙니다. 여러 금융기법들의 발달 역시 시중통화량을 늘리죠. 화폐유통속도가 빨라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DivineStarlight
12/09/28 12:55
수정 아이콘
물건이 많이 시중에 나온다고 해서 화폐가 더 공급되는 게 아니라, 정해진 통화량 하에서 물가가 변동되는 것이죠.
12/09/28 12:57
수정 아이콘
다른이유긴합니다만 통화량자체는 늘립니다.
12/09/28 13:03
수정 아이콘
기본 화폐에 대한 통화량은 한국은행이 조절합니다.
그리고 굳이 그런 조절을 하지 않더라도, 경기가 활발하면 자발적으로 통화가 늘어나요.

예를들면 누군가에게 '이 증서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 100만원을 주겠음'이라고 하고, 그 증서가 많은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신뢰가 된다면,
이 증서는 사실상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흔하게 있죠. 각종 상품권이나 수표도 여기에 속하고, 회사채라던지도 있구요. 주식도 여기에 속할 수 있겠고. 현금화 할 수 있는 휴대가 쉬운 물건들도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구요. 보석이라던가, 높으신 분들이 좋아하시는 미술품이라던가. 골프장등의 회원권들도 화폐가치를 하구요. 특이한 경우 당첨이 확정된 복권같은 것들도 충분히 그러한 기능을 합니다.
지구사랑
12/09/28 15:38
수정 아이콘
발권력을 가진 정부는 여러 가지 이유로 화폐량을 늘리고자 하는 욕구를 갖습니다. 늘어난 화폐량 이상으로 생산이 증가하지 않으면 인플레이션이 따라오구요.
통상 인플레이션보다 디플레이션이 더 혹독하기도 하고, 어느 정도의 인플레이션은 대개의 사람들에게 그러려니 하고 인정하기도 쉽기에 큰 저항없이 받아들여 집니다. 명목상의 소득이 증가하기에 오히려 좋아하기도 합니다.
즉 화폐량의 지속적인 증가는 장기적으로 볼 때 거의 법칙에 가깝습니다.
다만, 그러다 어느 날, 정부가 화폐량 조절, 즉 인플레이션 조절에 실패하게 되면 사회가 불안정해지고, 새로운 화폐 단위가 도입되는 것이죠.
피자21
12/09/28 19:03
수정 아이콘
'물질의생산이나 기술의 개발등으로 화폐가치를 가지는 것들이 계속 늘어'나는데 화폐가 일정하면,
새로운 것이 가지는 화폐가치만큼 기존의 것들의 화폐가치가 줄어드는 결과가 나오겠죠. 디플레이션이죠.
'화폐가 늘어나야 해서 화폐를 찍어낼때 무분별하게 찍어낸다면 세계시장간의 거래라든가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의 대표적인 예로..
미국이 달러를 원하는 만큼(?) 찍어내는 문제가 있습니다. 한번 찾아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7638 첼시 수비수 존테리가 인종차별 발언or행위를 한 것인가요? 안 한 것인가요?? [2] 이성은이망극1575 12/09/28 1575
147637 밤샐 때 할만한 게임 추천해주세요~!~! [13] 세느3997 12/09/28 3997
147636 국가장학금유형2받아보신분들.. [7] 서현1826 12/09/28 1826
147635 [LOL] 텔레포트에 대해 [6] 의지1865 12/09/28 1865
147634 제 진로 고민을 들어주세요 [5] 핑크타릭1665 12/09/28 1665
147633 현실세계에서 화폐의 양은 점점 증가하나요? [7] 물키벨2068 12/09/28 2068
147632 며칠전에 놋북구입했는데 프로그램설치일이 이상하네요~왜 이렇죠? [3] 박하선1602 12/09/28 1602
147631 갤럭시s 액정이 깨졌는데요..ㅠㅠ [2] 박보영1506 12/09/28 1506
147630 갤럭시s3 사용 질문입니다~ [2] 호날두1345 12/09/28 1345
147627 폰 사실 때 어떤 걸 중요하게 생각하시나요? [38] 빠독이1696 12/09/28 1696
147626 [LOL] 귀환시 돈이 애매하게 남을때 어떻게 하시나요? [26] 드라카2175 12/09/28 2175
147625 요새 스마트폰 어떤기종을 많이 사용하나요? [6] 선율1728 12/09/28 1728
147624 소개팅으로 사귄후에 갑자기 연락 끊어버리는게 흔한일인가요? [27] 에프컵스쿨3286 12/09/28 3286
147623 [LOL] 제가 생각한 챔피언인데 혹시 어떨까요? [14] 기성용1507 12/09/28 1507
147622 결혼식 스냅사진 알바 관련 질문입니다 [7] 순대국2641 12/09/28 2641
147621 카드 결제한것 취소하고 다시 상품권으로 결제 가능할까요? [5] 찐쌀1267 12/09/28 1267
147620 대중교통으로 천안에서 부산으로 추석때 내려가는 좋은방법아시는분계신가요? [3] 루델1441 12/09/28 1441
147619 어제 유게게시물 '이어폰을 사면 폰을 드립니다' <- 이런 제목의 게시물지워졌나요?ㅜㅜ [2] 박근혜1563 12/09/28 1563
147618 [디아3] 대화창 설정 질문입니다. [2] 2219 12/09/28 2219
147617 근로시간 적은 나라들은 몇시간 정도 일하나요? [9] 라리2252 12/09/28 2252
147616 매기우는 우리나라로 치면 어느정도급의 여자연예인인가요 [1] 순두부2107 12/09/28 2107
147615 요즘 페이스북 인기 어떻나요? [7] 황선홍명보2089 12/09/28 2089
147614 전화카드 질문입니다. Tychus Findlay1264 12/09/28 126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