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28 09:27
휴가가 많은 형식이거나, 계약직 근로자들로 인해 그런게 아닐까 추측해보고 그런 사회가 되는 건 대통령하고 큰관련이 있나싶습니다. 뭐 사회문화의 영향력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산업의 생산성과 부가가치 있는 산업이 있냐 없냐의 유무로 봐야해서...
12/09/28 09:27
우리나라 노동 효율성, 노동 생산성이 극악인 편이죠. 기술도 좀 떨어지는 편이고 노동 환경이 좋지 않다보니 당연한 결과로 볼 수도 있을 듯하고요
더욱이 우리나라의 숨겨진 야근을 고려하면 저 시간도 작게 나온거라는 것이 함정- 출퇴근 시간은 9-6시 정도로 비슷한 듯 싶던데요 다만 일년정 휴가가 한달 ㅠㅜ
12/09/28 09:31
토, 일 빼면 1년에 260 정도가 평일이고 여기에 공휴일을 빼면 230~40일 정도가 보통 1년 근무일수, 여기에 연차, 휴가등을 빼면 210일 정도가 실질 근무시간입니다..
유럽은 여름휴가가 엄청 길기 때문에 실제 근무일수는 200일이 안될때가 많아서 야근없이 하루에 7시간 일한다고 치면 딱 저정도 시간이 나옵니다.. 점심시간까지 포함해도 9시 출근, 5시 퇴근하면 되는 시간이죠.. 우리나라는 210정도 근무일수에 휴가, 연차를 다 못 쓰는 사람이 많으니까 220일 이상이 근무일수겠고, 거기에 야근을 많이 하고 주말에 나오는 경우도 많아서 2200 시간 정도 평균 근무시간이 되죠.. 위에 말씀하신 나라는 가본적이 없어 모르겠지만 뉴질랜드의 경우 5시가 퇴근시간인듯 하더군요.. 6시만 돼도 길거리에 사람이 안보이는..
12/09/28 09:34
묻어가는 질문입니다. 프랑스 주4일제 얘기를 얼핏 어설프게 들은 적이 있는데, 유럽에서 주4일제 시행하는 나라는 어디어디인가요? 또한 주5일제는 기본인거죠?
12/09/28 09:37
노동강도가 낮아지고, 노동효율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높은 임금이 필요하죠.
대통령이 누구라기보다는, 어쨌든 임금을 크게 높이는 방향으로 정부가 움직인다고하더라도 10~15년 정도만에 그만큼 임금을 높이는 건 불가능합니다. 옳지도 않구요.
12/09/28 09:59
유럽쪽은 5시 땡치면 사업장 셔터 내리기 바쁩니다. 야근하려다 욕먹죠. 우리나라 It쪽의 근무량을 평균 내면 위에 쓰신 시간은 가볍게 상회하는 리서치도 있더군요. It관련인인 찰스님이 대통령이 된다면 이 현실이 아주 조금이나마 나아질까요? 흐흐
12/09/28 13:07
호주가보니 8시반에 출근해서 4시반에 퇴근하더군요.
점심시간 포함한 8시간이었습니다. 4시반에 같이 퇴근해보니 저녁에 투잡 뛰어도 되겠더군요. 시간이 엄청나게 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