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9/24 09:46:26
Name 메모박스
Subject 전세계약시 문의사항
전세방을 계약하려 합니다. 지난 주말 방을 보고 왔는데 마음에 드는 방이 있더군요.
부동산엔 일단 추후에 연락드린다 했는데 계약을 하려 합니다.
제가 월세만 계약해보고 전세는 처음이라 몇가지 질문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1. 전세권설정?
요즘 워낙 경기가 어려워 전세금을 떼먹는 경우가 많다고 집에서 많이 걱정하십니다.
그래서 알아보니 전세권설정이란걸 하면 괜찮다는데 맞는건가요?
전세금은 6500만원인데 안전을 확인하려면 어떤걸 확인해야할까요?
완전 신축건물이라 융자는 당연히 있을텐데 전세권설정만 하면 괜찮을까요?

2. 복비
부동산에 줘야할 수수료는 얼마인가요?
월세일때는 20만원가량 줬던거 같은데 전세계약도 똑같을까요?

늘 PGR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댓글이 안달릴수도 있겠지만('') 답변주신 모든분들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나비가
12/09/24 09:54
수정 아이콘
건물 평가금액 대비 융자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셔야할 것 같고요.
복비는 기준 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으로 간단히 알수 있을 거에요.
물론 기준 금액에서 + - 할수 있겠지요.
12/09/24 09:57
수정 아이콘
전세권 설정은 집주인의 동의와 구비 서류, 비용 등 번거러울수 있습니다.
확정일자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시고 둘 중 마음이 놓이는 쪽으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Honestly
12/09/24 10:01
수정 아이콘
부동산 등기부등본에 융자로 인한 선설정이 들어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채무가 있다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서 경매로 넘어갈 경우의 낙찰가를 예상해보시고, 채무가 변제된 후 전세금이 남게 될지 예상해보시면 됩니다.
단, 소액임차금을 선순위 채무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받을수 있는 제도도 있는데요. 지역이나 물건지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고, 필요 조건도 있으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2'o clock
12/09/24 10:02
수정 아이콘
1.
메모박스님께서 말씀하시는 전세권설정은 불가능하실 겁니다.
메모박스님께서 지금 전세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임대차'를 뜻하시는 거고,
전세권 설정은 등기부에 해야하는데, 임대인이 쉬이 전세권설정을 설정해줄 경우는 99% 없다고 봐야죠.

소나비가님 말씀대로 건물 평가금액 대비 융자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시고,
계약 + 전입신고 + 확정일자 <- 이 3가지는 신속하게 꼭 하시고, 전세금 돌려받기 전에는 반드시 유지하셔야 합니다.

2.
복비는 직접 얼마 정도 하는지 물어보시는게..
RyuHwaYoung
12/09/24 10:04
수정 아이콘
복비는 0.5%가 거의 기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시한번말해봐
12/09/24 10:21
수정 아이콘
복비는 미리 계산해서 최대금액이 얼마쯤인지 확인하고 가세요~ 택도없이 높게불렀는데 복비에 대한 개념없이 가는바람에 그냥 그대로 내주고 오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인터넷에 복비계산기 있어요~
메모박스
12/09/24 10:35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으면 되겠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추가로 하나만 더 질문하자면..임대차 보호법에 의하면 얼마까지 보호를 받을수 있을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7216 생일 선물 컨텐츠가 바닥이네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언뜻 유재석1694 12/09/24 1694
147215 무선키보드 아이락스 IRK01B 써보신분 계신가요? [4] 光海1759 12/09/24 1759
147214 핸드폰 배터리 충전 관련 [2] 유민짱1507 12/09/24 1507
147213 남는 핸드폰배터리 어떻게 처분하는게 좋을까요? [3] 항돌이2100 12/09/24 2100
147212 [보험]고속도로휴게소 쓰레기통 파손 배상 질문드려요. [10] 파쿠만사1756 12/09/24 1756
147211 집에서 쓰는 무선공유기와 와이파이 질문 입니다. [1] 세이밥누님1679 12/09/24 1679
147210 자동차보험 관련질문이요 [2] 민최강1793 12/09/24 1793
147209 남자가 여자에게 액기스 있게 질문할만한 것이 뭐가 있을까요? [7] 황선홍명보2383 12/09/24 2383
147208 오메가3 추천 부탁드릴께요! [2] 상한우유1613 12/09/24 1613
147207 전세계약시 문의사항 [8] 메모박스1667 12/09/24 1667
147206 [블소] 보물상자에서 금강석은 안나오나요? [2] 석삼자1513 12/09/24 1513
147205 갤럭시S3에 포함되어 있는 USB케이블은 같은걸로 못구할까요? [4] 光海1512 12/09/24 1512
147204 오다리 교정 방법과 기간, 비용 [3] 레몬커피1585 12/09/24 1585
147203 응답하라가 어느정도 급의 드라마라고 생각하세요? [10] 순두부2112 12/09/24 2112
147202 [lol] 고정체젠룬이 주문흡혈룬보다 좋나요? [8] 문약3023 12/09/24 3023
147200 컴퓨터 하드인식+그래픽드라이버 질문입니다. [1] 공허진1543 12/09/24 1543
147197 트위터 / PGR 질문입니다 [1] Azubu Cpt Jack1625 12/09/24 1625
147195 [LOL]잘하는 미드 블라디 상대하려면? [23] '3'2936 12/09/24 2936
147194 영국에서 Henry를 앙리라고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8] Since19993840 12/09/24 3840
147191 나진 스폰서의 의미는? [5] 一切唯心造2494 12/09/24 2494
147190 취미의 기준은? 정의는? 무엇일까요? [11] TOMATO~2621 12/09/24 2621
147188 중고차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6] win1608 12/09/24 1608
147187 중국이 참전하지 않았다면 한국이 통일을 할수 있었을까요 [13] 순두부2125 12/09/24 21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