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9/13 21:36:31
Name 아레스
Subject 삼성은 왜 아몰레드를 쓰는건가요
스마트폰에서 모든 부분에서 삼성이 낫다란 평가가 있다해도
액정만큼은 LG의 IPS가 낫다라는 시장의 평가가 많은데요..
IPS는 대부분 만족하는 반면에, 아몰레드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인듯합니다.
삼성이 스마트폰에 액정만 IPS로 바꿔도 지금보다도 더 판매량도 늘고 평가도 좋을듯한데요..
왜 굳이 호불호 갈리는 아몰레드를 끝까지 고집하는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13 21:37
수정 아이콘
아몰레드야말로 삼성전자의 차기 성장동력이니까요. 어떻게든 상품가치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12/09/13 21:40
수정 아이콘
너무 아몰레드 밀다가 발목 잡히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액정 평가도 그렇고 번인 현상도 그렇고 이게 진짜 좋은건지 긴가민가 한데...
밤식빵
12/09/13 21:45
수정 아이콘
아몰레드가 발전가능성이 크니 계속 미는거죠.
내년에 접히는 액정나온다고 들었네요.
12/09/13 22:16
수정 아이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때문이죠.
TheWeaVer
12/09/13 22:40
수정 아이콘
차기 주력상품 중 하나이기 때문 아닐까요.
지금의 삼성이 있는게 램시장의 치킨게임 덕분이듯이요.
12/09/13 22:46
수정 아이콘
초창기 lcd가 나왔을때 브라운관 tv의 정점인 소니 트리니트론에 비해서 화질이 많이 떨어졌고 pdp보다도 단점이 많았습니다.하지만 결국 lcd가 대세가 될거란것은 누구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ips도 마찬가지입니다.lcd패널이 가장 발전된 형태를 보여주는 제품 lg의 ips 패널이고 지금 기술력이 정점입니다.
한마디로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이 적습니다.
하지만 amoled에 경우 상용화 된지 얼마 안된 모델로 이제 시작입니다.앞으로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국 대세는 amoled가 될것이고 그래서 모든 디스플레이 회사들이 amoled 개발에 목숨을 거는것입니다.
12/09/13 23:03
수정 아이콘
올해 쬐끔 휘어지는 아몰레드달고 신상품 나온다고하죠
내년쯤 많이휘어질텐고... 내후년쯤 접힐듯?
접히는순간 게임끝나요
허저비
12/09/13 23:16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 다 맞는데 가장 결정적인건

1. 아몰레드 단가가 싸다
-> 삼성 스마트폰이 20% 이상 이익률 나오는 원천이 아몰레듭니다.
번인이 문제긴 한데, 이걸 거슬려 하면서 1년 내로 무상으로 바꾸는 소비자가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다 감안해도 싸게 먹히죠.
반면 LG는 IPS 액정이 하도 비싸서 하나 팔아도 거의 안남는다네요

2. 얇게 만들 수 있다
-> IPS등 LCD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가 얇습니다.
그만큼 남는 공간에 스펙상 우월한 부품을 다수 채용 가능하죠 그러면서도 얇고 가벼운 디자인 유지
알이즈웰
12/09/14 00:04
수정 아이콘
삼성 아몰레드 마케팅의 대성공으로 다른 안드폰과 갤럭시 시리즈 차별화에 성공했습니다. 아몰레드라서 안 팔렸다? 큰 착각입니다. 아몰레드라서 많이 팔린거죠. 일반인들은 펜타일이니 뭐니 관심 없습니다. 아몰레드면 그냥 최신의 기술.. 좋은건 줄 압니다.

그리고 아몰레드는 수익성이 높습니다. LCD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LCD는 거의 끝물입니다. 생산량이 수요량보다 높아서 LCD시장 양대 강자인 삼성 LG 둘다 적자구조입니다. 대륙에서 LCD 허벌나게 찍어내고 있습니다. LCD로 고수익을 낼 수 있던 시절은 이제 완전히 갔습니다.

2011년도 LCD 업체들 적자에서 허덕일 때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아몰레드 만들던 기업)은 9천억의 압도적인 순이익을 냈습니다.

2줄 요약
1. 아몰레드라서 차별화에 성공. 오히려 많이 팔렸다
2. 아몰레드가 차세대 기술이고 돈이 된다. LCD는 팔아봤자 적자다
그라믄안대애~
12/09/14 00:06
수정 아이콘
LG전자도 아몰레드 개발했었습니다. 지금도 아마 하고있을거구요. LG피쳐폰중에 아몰레드디스플레이인것도 있습니다.
아몰레드는 차기 성장동력이죠.
삼성이 자사 휴대폰에 아몰레드 심는것보다 더 좋은 마케팅이 또 있겠나 싶네요.
그리고 사실 저는 IPS색상이 좋은건 알겠지만 아몰레드를 더 응원하는편입니다.
특히 갤럭시S3부터는 미친듯 뻥튀기된 색감은 아니더라구요.
점점 자리를 잡아가는게 보입니다.
앞에분들이 말씀했듯이, 엄청난 발전가능성이 있는 디스플레이입니다.
크게 3가지로 줄이면 이렇습니다.
1. IPS와 달리 픽셀하나하나가 발광하는거라서 사각형이 아닌 화면도 만들수있고 (예를들면 꽃모양이라던지 하트모양, IPS는 사각형만가능)
2. 투명액정가능
3.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무조건 휘어지는것만 말하는건 아닙니다. 유리대신 플라스틱이라서 충격에 강하고 더 얇게 만들수있다는 장점)
알이즈웰
12/09/14 00:22
수정 아이콘
참고로 LG디스플레이는 7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중입니다. 샤프는 망하기 일보 직전이고요. 삼성 LCD 부문도 6분기만에 간신히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LCD 자체가 끝물입니다. 다른 기업들도 아몰레드로 갈아탈 수 있으면 진작에 갈아탔을겁니다. 과감한 선행 투자와 양산 기술력으로 삼성 혼자만 재미보고 있는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6212 레드 와인중에서 모스카토 같은 와인이 없을까요?? [6] 나를찾아서6962 12/09/14 6962
146211 대항해시대 온라인 요즘 어떤가요?+뜨는 온라인게임? [7] 벌렸죠스플리터2110 12/09/14 2110
146210 세입자랑 트러블이 있습니다. [9] 괴도키드2187 12/09/14 2187
146209 스타2 "스타크래프트 레전드"업적 받은 선수들 누구누구 있죠? [2] Fim2380 12/09/14 2380
146208 [디아3] 야만 허리띠 감정이요 [5] BlueSKY--1628 12/09/14 1628
146207 외곽순환 타고 출퇴근 하시는 분?? [2] 6dong1181 12/09/14 1181
146206 [lol] 멘탈 회복 되는 말씀좀 부탁드립니다. [17] 로쏘네리2162 12/09/14 2162
146205 컴퓨터로 음악 들으실때... 플레이어는 무엇을 쓰시나요? [19] NO.6 Xavi2140 12/09/13 2140
146204 . [22] 삭제됨2226 12/09/13 2226
146202 복부 운동 하는데 허리가 많이 아프네요 [9] KanRyu1616 12/09/13 1616
146200 스타2를 지를까 고민중이네요 [10] 꼬깔콘▽1570 12/09/13 1570
146199 베인이 18렙일때 솔바론이 가능할까요?? [18] 바알키리2708 12/09/13 2708
146198 프야매]각 구단 꽤 강한 연도덱 뭐뭐 있나요?? [29] 여자친구2157 12/09/13 2157
146196 신천지교회에 대해 아시는분 계시나요? [30] 매콤한맛2158 12/09/13 2158
146195 엑셀로 하는 축구 시뮬레이션(?) 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3] dokzu2518 12/09/13 2518
146194 삼성은 왜 아몰레드를 쓰는건가요 [12] 아레스2432 12/09/13 2432
146193 성격적 모태솔로 모여랏 !!! [17] dsfsdfdsf2500 12/09/13 2500
146192 현직 공무원이신분께 질문하나 있습니다. [8] 라울4224 12/09/13 4224
146191 일본 홈페이지에서 물건을 사고 싶습니다. [4] workbee1294 12/09/13 1294
146190 [디아3] 야만용사 한손무기 질문 드릴께요 [6] 리드1329 12/09/13 1329
146189 lol 요즘에 랭에 버스가 그렇게 많은가요?? [13] 꼬미량1873 12/09/13 1873
146188 핸드폰 요금제 관련 질문입니다~ [1] 타니1515 12/09/13 1515
146187 연애 질문 입니다. [9] 코병장2089 12/09/13 20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