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9/11 21:17
저도 그런의문을 가진적있었는데... 폐물질이라할까요 매연이라던가 기타등등물질들의 처리가 쉽다는군요. 정확히는 도시한가운데서 매연나오는거 보다 발전소라는 도심에서 먼거리에있는데서 발생하는 매연이 좋다라는거죠.
12/09/11 21:31
자동차에 공기정화장치 다는 것 보다 발전소에 공기정화장치 설치하는게 더 쉽지 않을까...
뭐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기는 화력발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다른 대체방법이 있으니까 일단 전기자동차 개발. 태양광 등의 차세대발전방식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 진짜 친환경이 됨. 이 수순이 아닐까 싶네요.
12/09/11 21:30
전기야 태양열, 태양광, 수력, 풍력 등으로도 만들어 지니까요. 화력이랑 원자력으로 만들어지는 전기가 대부분이긴 합니다만.. 대체 에너지 개발이 진행되면 전기 자동차가 언젠간 진정한 친환경이 될 수도 있겠지요. 핵융합 발전도 얼마나 오래걸릴지는 몰라도 결국에는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되구요.
12/09/11 21:33
일단 전기 생산하는데 석유만 쓰는게 아니고..
전에 어디서 봤는데 지금 수준에서도 압도적으로 전기자동차가 환경 오염이 적다는 계산이 있더라구요.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해서 조금 조심스럽게 답변 달아 봅니다.)
12/09/11 21:43
지금 당장은 화력과 원자력으로 대부분의 전기가 만들어지고 대체에너지가 상용화 되기에는 아직 한참 남았으니
전기자동차 개발이 너무 빨리 되어 버리면 오히려 전기대란이 발생할수도 있겠네요
12/09/11 22:04
상용화가 멀었다기 보다는 가성비가 안 좋다고 하는게 맞지 싶습니다. 풍력, 수력, 태양열 이미 상용화 되서 쓰고 있는 지는 오래예요. 대부분은 시설 투자비를 고려했을때 그냥 석탄 석유 태우는게 더 싸게 먹힌다고 보는 거지만요.
12/09/11 22:23
엔진에 비해 모터는 부품 수가 적어서 전기 자동차가 발전하면 일자리가 줄어 든다던데,
회사는 좋겠지만, 사회적인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요?
12/09/11 22:57
그리고 효율이 다릅니다. 어찌되었든 자동차는 석유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면서 달리는건데, 대부분이 열로 큰 효율없이 빠져나갑니다.
하지만 발전소에서 만드는 전기는 아무레도 효율이 자동차 엔진과는 비교 불가능 수준이죠. 아 물론 전기가 오는과정에서 손실되는거 까지 합치면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이 두가지만 봐도 같은양의 에너지를 만든다고 했을때 적은 석유를 더 적은 석유를 사용한다면 지금보다 친 환경이 맞습니다
12/09/12 00:33
전기차가 상용화 된다면 전력 피크타임 때 충전된 전기자동차가 전력을 역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의 양수발전소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죠.
그리고 발전을 화석연료로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친환경이 맞습니다. [m]
12/09/12 02:50
단순히 온실가스 배출이나 매연등의 기준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안전성과 성능및 다이나믹스 인포테인먼트 연결성 단순성 배출저감 TCO/연료등 기능적인 면과 원재료비, 에너지(유틸리티), 노동관련 비용, 자본적 지출등 비용적인 측면에서 앞으로의 환경보호강화나 인구증가율 정체, 이동성 증가, 메가시티 출현, 기술 복잡성 심화등과 같은 메가트렌드에 관련하여 비교해봤을 때 현재 가솔린 차량에 비해 보다 친환경 적인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