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8/20 00:40:12
Name 스타카토
Subject 유...유리가 액체라고요????
유리는 고체입니까 액체입니까???

지금 당연히 액체다!!!라는 말을 들었는데.....
상당히 큰 문화컬쳐를 받아버렸습니다....

만약 진짜 액체라면...
저같은 초보자들에게도....알기 쉽게...설명이 가능할까요...?????


개인적으로.....정말....충격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위원장
12/08/20 00:42
수정 아이콘
흠... 상온에서는 고체 아닌가요?
Demon Hunter
12/08/20 00:43
수정 아이콘
유리의 내부는 액체입니다.
12/08/20 00:43
수정 아이콘
-유리-

유리는 물질 구조상으로 보면, 일정한 비율로 결합된 금속이나 비금속의 산화물이 열로 인하여 화학반응을 일으켜, 원자가 불규칙한 망목상(網目狀)으로 연결된 물질을 말하는데 겉보기는 고체이지만 고체 특유의 결정구조를 가지지 않으며, 일정한 녹는점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유리를 아스팔트 등과 같은 무정형 물질로 보며, 물성론적(物性論的)으로는 극단적으로 점도가 높은 액체(과냉각 액체)로 본다.

아주 단단한 푸딩같은거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유리는 오래되면 흘러내려서 윗유리보다 아랫유리가 두텁게 되죠
아침커피
12/08/20 00:43
수정 아이콘
유리는 액체입니다. 실제로 지은지 오래된 건물의 유리 같은 경우는 위쪽보다 아래쪽의 두께가 두껍습니다. 유리가 아래로 흘러내린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올빼미
12/08/20 00:44
수정 아이콘
오래내버려두면 아래쪽이 두꺼워진다라는건데....전 걍 고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2/08/20 00:44
수정 아이콘
눈으로는 절대 자각하지 못하고 있지만
실제론 서서히 녹고 있는 액체인걸로 압니다.
12/08/20 00:44
수정 아이콘
진짜인가요? 여기 유게 아닌가요? 헐...충공깽이네요.
지나가다...
12/08/20 00:47
수정 아이콘
처음 알았습니다...
핫타이크
12/08/20 00:47
수정 아이콘
와 오늘 좋은거 배워갑니다.-_-
기물파손
12/08/20 00:48
수정 아이콘
아니 이게 무슨소리야!!
스타카토
12/08/20 00:50
수정 아이콘
저...저만 문화컬쳐를 받은게 아니었군요........
많은 분들이 설명을 주셨지만...잘 이해는 안되긴 한데....
음..그럼 유리가 작은 충격에 깨지는건...액체의 어떤성질일까요?
어린시절 과학만화에서 유리컵은 아주 미세하지만 쥬스나 우유에 유리가 녹고있다고 했는데....그것도 액체의 성질이라서 그런가요?
뭐...하여튼 여러가지 의문이...머릿속에 멤도네요...\
윗분말씀대로 정말 충공깽이네요...
12/08/20 00:52
수정 아이콘
저도 액체로 알고 있습니다.
12/08/20 00:53
수정 아이콘
나는 왜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았는가.
12/08/20 01:09
수정 아이콘
무....무섭네요
그래도 기체가 아니라서 정말 다행입니다.
피피타
12/08/20 01:12
수정 아이콘
헐 액체군요;
소녀시대김태연
12/08/20 01:13
수정 아이콘
오오..
Tristana
12/08/20 01:15
수정 아이콘
유리는 소녀시대입니다. 하고 싶었는데
액체였군요 헐
Love&Hate
12/08/20 01:18
수정 아이콘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굳이 액체다 라고 할것은 또 아니라고 봅니다.
그냥 애매한 물질이다 정도겠죠.
키스도사
12/08/20 01:37
수정 아이콘
http://mirror.enha.kr/wiki/%EC%9C%A0%EB%A6%AC#s-2

"투명하고 단단한데 잘 깨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냥 고체거니 생각하기 쉬우나, 분자 간의 점성이 강하여 결정을 이루지 못한 채로 굳어 버리므로 일반적인 고체와는 달리 액체에 가까운 면도 있다. 액체 상태의 것을 과냉각했기 때문에 과냉각 액체로 보는 게 타당하나, 그냥 비결정질 고체라고 이해하는 것이 속 편하다."

그리고 흘러 내리는 것에 대한 이야기는

"굉장히 오래된 건축물의 유리창이 위쪽 부분은 얇고 아랫부분이 두꺼운 이유가 이것 때문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은 당시 유리 가공기술이 후져서 그렇다. 그 당시에는 급랭하는 기술이 전무했기 때문. 건축가가 바보가 아닌 이상 두꺼운 부분의 유리를 밑으로 가게 지었을 것이다. 유리를 혹은 의도적으로 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일부러 한 쪽을 두껍게 만들었다고도 한다.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르면 유리가 흘러내릴 수는 있으나, 눈에 띌 정도의 변화가 있으려면 몇백 년에서 몇천 년은 걸릴 것이다. "

라고 하네요
一切唯心造
12/08/20 01:43
수정 아이콘
유리가공품 만드는 것을 보면 비눗방울 불듯이 바람을 넣어서 형태를 만들더군요
아주 높은 온도에서는 액체로 존재하는 것 같아요
Cherry Blossom
12/08/20 01:48
수정 아이콘
상당히 장시간(아마 몇천 년은 지나야 할 테지만요)이 지난 유리의 경우 줄줄 흘러내린다고 합니다.
흐르는 속도가 미친 듯이 느릴 뿐이죠.
내일은
12/08/20 02:06
수정 아이콘
유리는 액체라는 것은 중학교 물상 시간에 물질의 상변화 배울 때 함정으로 많이 내지요.
12/08/20 03:13
수정 아이콘
헐....문화컬쳐도 아니고 충격쇼크네요
12/08/20 03:18
수정 아이콘
중간에 누구 하나라도 낚시 쩌네요 이랬으면 반대로 확 기울었을 거 같은데... 그만큼 충격적인 사실이네요.
Since1999
12/08/20 04:01
수정 아이콘
다른 검색은 안 해봤고
여기서 나온 설명만 종합해 봤을 때 유리 위쪽 아래쪽 두께가 다른 것은 유리가 액체라는 증거이다는 아니라는 거네요.
답을 내려면 고체와 액체의 정의 부터 제대로 봐야 할 거 같은데요?
단순히 사전적 정의라면 고체로 봐야 할 것 같고... 과학적 정의도 검토해야 할 거 같은데
12/08/20 10:04
수정 아이콘
뭐죠... 재료역학시간이나 고체역학시간에도 분명히 다루었던 재료인데
제가 알기로는 유리는 분명히 비결정질 고체라고 배웠는데 ;
honnysun
12/08/20 10:42
수정 아이콘
amorphous 고체 아닌가요? 충격인가?
반대칭고양이
12/08/20 10:46
수정 아이콘
1. 유리는 흐르는가?
선풍기 괴담과 비슷한 널리 알려진 도시전설입니다. 구글에서 glass flow 로 검색해보면 논문 및 화학자들의 견해를 볼수있습니다.
유리는 상온에서 절대로 흐르지 않습니다.


2. 유리는 액체인가?
이건 분류상 문제입니다. 플라스틱, 고무, 딱딱한 엿 등등이 고체라고 생각된다면 유리는 고체입니다.
액체는 아니지만 고체라고 하기에도 좀 그렇다면 유리도 그렇게 분류하면 됩니다. 고무나 딱딱한 엿을 액체에 가깝다고 느껴진다면 유리도 액체로 부를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고체의 정의를 어떻게 하는냐에 따라 답이 달라집니다. 대체로 화학자들은 비결정질 고체 라는 명칭으로 부릅니다.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고체란 흐르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는 물질이고, 그러한 의미에선 유리는 고체입니다. 전문가가 아닌 이상 이런걸로 고민할 필요 전혀 없습니다.
미래권력
12/08/20 12:41
수정 아이콘
Glass is an amorphous (non-crystalline) solid material.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701 안드로이드 쿼티 자판에서요. [1] 1748 12/08/20 1748
143700 남자 노래중에 정말 애절하고 슬픈 노래가 뭐 있을까요?? [34] 유안2990 12/08/20 2990
143699 LOL 실행 오류 질문입니다 -_-; [3] elixer2241 12/08/20 2241
143698 [LOL] CS가 잘 늘어나지 않는데요. [11] 물키벨2104 12/08/20 2104
143696 아이폰 컨트리락 해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대발1497 12/08/20 1497
143695 수강신청 못해서 교수한테 메일 보낼때 뭐라고 쓰나요;;? [10] 에휴존슨이무슨죄17333 12/08/20 17333
143694 [LOL]트리스타나 선Q마는 어떤가요? [6] legend1764 12/08/20 1764
143693 대학 등록금을 카드로 납부할 때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5] ddooo1606 12/08/20 1606
143692 lol 방학이 주는 피해를 느끼시나요? [47] 임금2123 12/08/20 2123
143691 IEM 결승전 vod볼수있는 곳 있을까요? [5] 아레치1538 12/08/20 1538
143690 편입시 동일과목 학점 인정여부가 궁금합니다 [3] 제갈양1766 12/08/20 1766
143689 Windows 폴더에서 바탕화면 파일을 찾는방법.. [2] 괴도키드3224 12/08/20 3224
143688 다크나이트라이즈 vs 도둑들 vs 바람과함께사라지다 vs 알투비 [12] 순두부2130 12/08/20 2130
143687 가방 추천부탁드릴게요 [2] 자판1305 12/08/20 1305
143686 아래 현대카드 m3 질문글을 보고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1] 완성형폭풍저1655 12/08/20 1655
143685 가장 리메이크가 힘든 한국가요는 뭐가 있을까요~ [13] 에휴존슨이무슨죄2151 12/08/20 2151
143684 lol 입문입니다.조언 부탁드려요 [5] elixer1634 12/08/20 1634
143683 유...유리가 액체라고요???? [33] 스타카토7272 12/08/20 7272
143682 천천히 썸(?)을 하자는 여자아이.. [13] 아마안될거야4164 12/08/20 4164
143681 다크나이트 or 라이즈 ost 많이 들어보신분들~ [1] 고마유1309 12/08/20 1309
143680 자존감을 극복하고 싶습니다. [5] 나이스후니2089 12/08/20 2089
143679 LOL 미드 서폿 바리에이션을 넓히고 싶은데 챔프좀 추천해주세요 [13] 갓의날개1769 12/08/20 1769
143678 예비군 날짜 질문입니다. [3] 화잇밀크러버1540 12/08/20 15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