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7/20 00:46
온게임넷은 케이블 채널을 기반으로 한 방송사입니다.
나이스게임티비는 인터넷방송을 기반으로 한 방송사입니다. 온게임넷의 방송 규격은 720x480(TV에서 볼땐 4:3으로 맞춰지니 일반적으로 640x480의 해상도), 평균 케이블 채널의 QAM비트 기준으로 4~6Mbps의 방송화질을 제공합니다. 디지털케이블 송출 기준입니다. 나이스게임티비는 아프리카, 다음팟 등을 이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해상도는 1280x720의 해상도부터 그 아래까지 왔다갔다 하며 최대 비트는 3000Kbps(약 3Mbps)의 방송화질을 제공합니다. 전자의 해상도는 실제로 출력되는 정상값의 화면 크기이고, 후자의 비트레이트는 그 장면마다 내보내는 비트의 양입니다. 비트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을 제공합니다. 비교를 위해서 설명드리면 비트가 높을 수록 같은 장면에서 복잡한 화면이 많아질때 덜 깨집니다. 비교요소로 사용되는 경우가 국내의 음악방송과 일본쪽의 음악방송이 같은 1920x1080 해상도로 제공되지만 한국은 15~19Mbps, 일본은 21~24Mbps입니다. 이때 차이는 뒤에 LED전광판이나, 조명쇼를 할때 깨짐이 얼마나 생기고 안생기고로 나오게 됩니다. 서론이 길었고 다시 돌아가면, 전자의 경우 온게임넷은 해상도에서 비트레이트가 3Mbps만 유지가 되어도 어느정도의 품질이 보장 가능하지만 LOL이라는 게임이 방송송출용으로 해상도를 줄이는 과정에서 왜곡이 나타나고, 중간 케이블 방송을 위한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나타나게 되어 방송채널상 비트는 3~6Mbps가 제공되지만 실제론 DVD를 보는 수준의 저급한 화질로 나오게 됩니다. 나이스게임티비는 그럴 필요가 없이 그냥 다이렉트로 나가기 때문에 손실이 없습니다. 문제는 온게임넷의 HD송출은 이 방송용 송출을 기준으로 최대한 비트레이트를 뽑아내서 내보내는(그러니까 정확히 말하면 케이블채널용 다운비트를 하기 전의 상태의 최종 방송 상태) 상태이다 보니 문제가 생기게 되고 상대적으로 화면이 떨어져 보이게 되는 현상을 가지게 됩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려면 온게임넷에서 해야 할 방법은 아예 방송 자체를 16:9 비율로 최소 1280x720 해상도를 맞추고 비트레이트를 3~5Mbps를 맞출 각오를 하고 원본 소스를 만들어야 하는데, 케이블채널의 생태구조와 E&M내의 HD채널 우선권 문제상 뒤로 밀려서 이 부분을 진행하고 있지 못합니다. 해결을 못하니 지금 억지로 16:9 방송을 하면서 선수들 픽밴과 현장 소개할때는 4:3화면을 보내다 경기가 시작할때 16:9로 비율 변경할 것을 권장하고 있죠. 근데 이러면 또 선수들 얼굴이 옆으로 쫙 늘어나요. 여러모로 총체적 난국입니다. 위에 답변중에 온게임넷이 다음팟을 사용하면 좋아진다는건 틀린 이야기입니다. 과거에도 일부 QAM능력자라고 말하는 디지털케이블을 다음팟이나 아프리카를 통해 방송하는 분들이 있었는데 그분들을 통해 볼경우 스타크래프트를 봐도 깔끔하게 보였었을 뿐인거죠, 다음팟에서 스타리그를 공식 중계하던 시절에도 마찬가지로 해당 지역 케이블의 디지털 소스를 그대로 던졌습니다. 온게임넷이 HD방송을 20일부터 시작한다고 하는데, 이게 제대로 되려면 1920x1080(미국형 HD), 1280x720(유럽형 HD) 수준은 기본으로 충족한 상태로 방송제작을 준비해야 하고, 이걸 최대한 손실 없이 내보낼 방법을 연구해야 하겠죠. 지금처럼 방송 송출되는걸 최대한의 비트 끌어내기로 한다면 지속적으로 욕먹을 각오를 해야 할 겁니다. 그리고 번외지만 아프리카, 다음팟 등은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패킷을 사용자들에게 보내고 다시 그 패킷들을 묶어서 하나의 거대한 내부 네트워크로 이용하는건데요, 이렇게 해서 최대한 서버에서 나가는 트래픽의 양과 부하를 줄이려고 시도합니다. 현재 외국의 트위치tv나 own3d, 유튜브는 그리드를 이용하지 않고 있구요, 현재의 온게임넷 HD는 그리드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것 또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결론은 온게임넷이 무리수를 가했단 느낌이 강하긴 한데, 아예 폐국을 해버리고 인터넷방송사업으로 전환하지 않는 이상 현재의 화질문제 해결방안은 내년에 어떻게든 E&M이 추가로 준비중인 HD채널 송출권을 가져와서 아예 HD방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문제가 될 것입니다. (카메라는 주먹만한 카메라도 HD해상도 다 지원합니다. 케이블내의 대역이 모자라는게 문제인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