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보고 싶은 인터뷰들을 모아놓은 공간입니다.
Date 2012/03/17 20:48:11
Name kimbilly
Subject 마이크 모하임, "스타2의 e스포츠 확대에 있어서 올해가 중요한 해가 될 것"


마이크 모하임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공동설립자 겸 CEO가 국내 사업 점검차 방한해 용산 e스포츠 상설경기장에서 열린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준 Play-Off 1차전"과 목동 곰TV 스튜디오에서 열린 "2012 GSTL 시즌1 - 8강 패자전" 경기를 현장 관람했습니다.

2012 GSTL 시즌1 의 8강 패자전이 시작되기 전 취재진과의 간단한 인터뷰를 통해 이번 방한 목적과 올해 진행될 블리자드의 각종 계획에 관해 이야기 했습니다.

▼ 이번 방한의 목적은 무엇인가?
- 올해 블리자드에서는 매우 바쁜 한 해를 보낼 것이다. 여러 게임의 출시 일정과 더불어서 자체적으로 블리자드가 주관하는 배틀넷 월드 챔피언십 토너먼트을 지금 준비 중이다. 29개 국가에서 예선전을 진행하고, 4개 대륙에서 준결승을 치르고 아시아 국가 중 한 국가에서 결승전을 치를 준비해야 하는지라 정말 바쁠 예정이다.

▼ 2010년부터 곰TV를 통해 스타크래프트2 GSL 이 개최되고 있다. GSL의 성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 GSL은 스타크래프트2의 최고 선수들의 집이고 그들이 활약하는 장이라고 할 수 있다. GSL에서 출전하는 선수들이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활약해 실력을 보일 수 있어서 의미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스타크래프트2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올해 GSL을 시작점으로써 점점 더 스타크래프트2의 e스포츠를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곰TV의 제작 능력은 뛰어나다. 그러한 곰TV의 제작 능력과 선수들의 실력, 뛰어난 게임으로 뭉쳐서 e스포츠의 한해를 만들 것이다.


▲ 마이크 모하임 CEO는 용산 프로리그 현장에서 디아블로3 발매일을, 목동 GSTL 현장에서 이번 GSTL 결승전이 열릴 라스베이거스에서 만나자는 치어플을 직접 작성했습니다.

▼ 이번 방한을 통해 한국의 스타크래프트2 지적 재산권 문제의 변화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 있었다.
- 스타크래프트2는 e스포츠를 위한 게임이다. 개발 초기부터 프로게이머들의 피드백을 반영했고, 방송사에서도 방송을 잘할 수 있도록 초기에 기획했다. 이에 대한 선수들의 열정 또한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스타크래프트1 프로게이머들도 스타크래프트2를 하고 싶어 하는 욕구도 직접 들어서 알고 있고, 현재 스타크래프트1 리그를 운영하고 주관하는 한국e스포츠협회와 온게임넷에서도 스타크래프트2를 방송하기 위한 열정을 알고 있다. 스타크래프트2의 e스포츠가 점점 확대되는데 있어서 올해가 중요한 해가 될 것이고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방한으로 결정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기대를 해 주었으면 좋겠다.

▼ 디아블로3 의 발매일자 발표 이후 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한국으로 출발을 하기 전 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 개발자들과 미팅을 했는데 잘 되고 있다는 소식을 받았다. 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 내부 테스터들도 게임의 수준이 뛰어나다고 자부하고 있다. 아직 출시일자는 나오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마무리를 잘 해서 발매되면 기대 이상의 게임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 배틀넷 월드 챔피언십 토너먼트가 아시아 국가에서 열린다고 들었다. 한국에서 열릴 가능성은 어느정도 되는가?
- 최종 결정은 안되었지만 어쩌면 올해에는 중국이 될 확률이 높다. 최근 중국의 e스포츠 발전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렇게 될 확률이 높다.

▼ 한국에서 최근 리그 오브 레전드가 큰 인기를 얻고 e스포츠로 성장하려 한다. 블리자드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는가?
- 나는 스타크래프트2 를 자주 시청하기 때문에 리그 오브 레전드를 자주 시청하진 않았다. 리그 오브 레전드가 전체 e스포츠 발전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와 비슷한 게임인 블리자드 도타가 개발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는 언제쯤 공개 할 예정인가?
- 열심히 준비를 하고 있다. 부분 유료화에 스타크래프트2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중이다. 블리자드 도타에 대한 회사 내부의 열정이 강하다. 빨리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


▲ 마이크 모하임 CEO 는 목동에서 진행된 GSTL 현장에서 신용카드를 꺼내 관객 전원에게 피자를 쏘는 이벤트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 배틀넷 월드 챔피언십 토너먼트에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투기장 토너먼트가 동시에 개최된다고 들었다. 이에 대한 계획은?
- 조만간에 배틀넷 월드 챔피언십 토너먼트의 국가별, 지역별 예선전에 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가까운 시일 내에 발표를 하도록 하겠다.

▼ 디아블로3 출시 발표와 함께 많은 유저들이 한정판에서 구매를 하고 싶어한다. 한국에서 한정판의 판매처와 수량은 어느정도 되는지?
- 한국에서는 여러 컨텐츠에 대한 심의등의 부분이 있어서 이에 대한 모든 준비가 된 후에 발표를 할 예정이다. 한정판의 세부 내용물, 판매처, 수량에 대해 확실히 공지를 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3/17 20:54
수정 아이콘
군단의 심장이 지금쯤은 나왔어야 했어요... GSL과 스타2판이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데 공개할만한 정보 다 공개한지가 언젠데 디아3과의 조율때문에 변화를 주지 못하는게 안타깝네요
一切唯心造
12/03/17 21:00
수정 아이콘
우리 사정에 맞춰서 확장팩을 발매할 필요는 없죠
한국이야 스타1을 더 많이 보니까 인기가 없는 것 처럼 보이지만
해외소식을 보면 제자리걸음만 하는 것 같지도 않고요
12/03/17 21:01
수정 아이콘
용산은 사람이 많아서 차마 피자를 못돌린건가요...
JuninoProdigo
12/03/17 21:08
수정 아이콘
GSL은 누군가가 피자를 돌리는 게 문화입니다. 요즘 스타 프로리그에서는 구단측이 사은품을 주는 경우는 많지만 뭔가 특정 음식을 사는 경우는 잘 없죠. GSL은 사람이 많을 때도 피자 돌리고, 우승자가 피자 돌리고 그래요.
그럭저럭하루
12/03/17 21:16
수정 아이콘
곰tv는 원래 피자 잘쏴요..
곰tv제작진들이 피자쏴달라고 시킨거겠죠.. 온게임넷은 가만이있던거고..
12/03/17 21:02
수정 아이콘
스1을 맹목적으로 빠는 유저는 아니지만 이번 방한을 통해
블리자드 입장에서 온게임넷이 스2를 중계해야 되는지 안해도 되는지 확신이 섣을 것 같습니다.
JuninoProdigo
12/03/17 21:37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이 맡아주면 다 흥행이 되나요? 진심으로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온게임넷에서 HD방송 하기 전까지는 그냥 안 하는 게 나아요. 물론 케이블TV라는 엄청난 장점이 있지만, GSL은 전세계 최정상 선수들이 모이는 리그입니다. 스타1만 계속 다룬 온게임넷은 HD방송마저 아직 시작하지 못할 정도의 자금력인데 반해, 곰TV는 2010년부터 계속 흑자죠. 팬들이 그렇게 원하는 스타리그 몇달째 못 열려서 쩔쩔 매고 있는데 반해 GSL은 1년에 개인리그 5번, 팀리그 3번을 열죠. 그리고 유저 입장에서 선수들의 플레이, 해설진의 수준, 옵저버의 게임 연출 능력 모두 만족스럽죠. 괜히 온게임넷에서 중계했다가 또 스2 재미 없다는 이야기는 듣고 싶지도 않네요.
12/03/17 21:58
수정 아이콘
뭔가 문제를 다르게 생각하신 것 같은데
마이크 모하임과 스2 관련쪽에서 일하시는 분들 입장에선
온게임넷이 적자고 곰tv가 흑자인게 중요한게 아닐 것 같습니다;
그럭저럭하루
12/03/17 22:10
수정 아이콘
Galaxy님 저도 JuninoProdigo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온게임넷에서 굳이 스2를 해야되는지도 의문이고.
온게임넷에서 한다고 국내에서 흥행이되는것도 아니고 유저들이 판단해야될문제죠.
tv에 자주노출되고 스1게이머들이 스2넘어가면 시너지 효과가있긴합니다.
지금 곰tv에서 하고있는 GSL시스템은 거의 완벽합니다. 온게임넷이 스2한다면 못하면 더못했지 GSL보다 뛰어나진 못할겁니다.
해설진부터 넘사벽이라고 생각해요.. 특히 안준영해설의원은 대단하다고 생각하고
국내에서는 GSL을 자신들이 안본다고해서 너무 과소평과 되는 경향이있는거같습니다.
저도 최근에는 스2보다는 LOL쪽에 더 관심있지만 GSL하나만큼은 인정해줘야된다고 생각해요..
곰TV가 아닌 온게임넷에서 스2열렸다면 글쎄요... 스2 상황이 더 안좋아졌을거라고 생각해요.
가장좋은건 양대리그겠지요.. Galaxy 님이 GSL을 너무 과소평가하는거같아서 써봤습니다.
12/03/17 22:17
수정 아이콘
GSL을 과소평가하진 아니고
국내에서 게임과 리그에 대한 대중성과 흥행성을 성장시키는데 있어서 온게임넷이 곰TV보다 낫다고 생각해서 쓴 댓글입니다.
전 그냥 온게임넷이 스2 중계하는 것도 좋겠다 싶어서 쓴것인데
갑자기 제가 쓴 댓글을 온게임넷과 곰TV의 대립구도로 생각하시니 씁쓸하네요.

전 곰TV가 GSL을 하는 것을 중단시키고 온게임넷이 그걸 뺏어야 한다는 식의 댓글을 쓴게 아닙니다.
곰TV도 중계하고 온게임넷도 중계할 수 있다고 봅니다.
JuninoProdigo
12/03/17 22:1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전세계 유저들에게 미치는 파급력에 있어서도 GSL>온게임넷인데요. 물론 한국 시장을 따지자면 온게임넷이 GSL보다는 우위지만, WCG 당시 온게임넷이 별로 파급력을 끌어오지는 못했거든요. 열심히 준비했겠지만, 개선이 필요한 화질, 밸런스 안 맞는 래더맵 고집 등이 문제가 있어서, 당시 안 맞았던 밸런스와 맞물려서 스2 재미없다는 반응만 올라왔죠. 곰TV와의 독점계약을 종료할 만큼 온게임넷이 중요하지는 않아 보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곰TV는 블리자드에게 가장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온게임넷-케스파는 그냥 같이 일하는 사이정도고요.
12/03/17 22:20
수정 아이콘
아니 왜 계속 대립구도로 생각하시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전세계적으로 곰TV가 파급력이 더 쌘지 몰라도
e스포츠에서 만큼은 강국인 한국에선 온게임넷이 곰tv보다 낫다고 생각한겁니다.
그리고 온게임넷이 스2 중계를 하는 순간 곰tv에서의 스2 중계는 막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은 추호도 하지 않았습니다.
JuninoProdigo
12/03/17 22:25
수정 아이콘
같이 하면 좋죠. 그런데 온게임넷이 스2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 같지도 않습니다. 아직 HD 방송도 못 하고 있고요. WCG 때의 기억이 강해서 그런지 그냥 안 하는 게 나아 보입니다. WCG 중계가 스2 판을 커지게 한 것도 아니고요.
12/03/17 22:28
수정 아이콘
네 사실 블리자드에서 중계권을 주어도 lol 때문에 온게임넷이 중계할 것 같진 않긴 합니다.
그럭저럭하루
12/03/17 22:26
수정 아이콘
전 곰TV가 더 낫다고 생각하는데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다른가봅니다.
물론 같이하면 좋지만 둘중하나 선택하면 무조건 볼필요도없이 곰TV입니다.
12/03/17 23:20
수정 아이콘
온겜을 옹호하는 것은 아닌데요.
곰TV가 대회 많이 열고 흑자임에는 블리자드의 후원이 크지 않나요? 상금의 많은 부분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요.
그럭저럭하루
12/03/17 23:29
수정 아이콘
그건 당연한거죠,
라이엇게임즈나 블리자드는 e-스포츠에 상당히 투자하고있죠
온게임넷도 라이엇게임즈 아니였으면 LOL리그 못열어요. 곰TV도 마찮가지로 스2리그 못열구요.
사티레브
12/03/17 21:16
수정 아이콘
다 잘됐으면좋겠어요
스타도 스타2도 디아3도 lol도 온겜도 곰티비도
12/03/17 21:18
수정 아이콘
결국 온겜과 케스파 문제가 해결된 건 아무것도 없군요. 이번 방한은 디아블로3 홍보와 배틀넷 월드 챔피온쉽 개최 문제로 온 곳 같은데, 배틀넷 월드 챔피온쉽 방송 프로듀싱을 곰티비가 할 것 같네요.
그럭저럭하루
12/03/17 21:19
수정 아이콘
wow투기장 광팬으로써 월드챔피온쉽 wow가 열리면 재미있을거같군요.
추억의 게이머 오마멀은 군대갔다는 소리가있던데.
신예terran
12/03/17 21:26
수정 아이콘
하루만에 해결하고 가긴 힘들겠죠;; 현장 답사하고 대책을 세울것 같네요.
마이너리티
12/03/17 22: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Esports 발전을 위해 기간산업육성이나 간접자본활성화 차원에서 스1도 신경 써줬으면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물론 스2나 블리자드도타도 흥했으면 하구요.
JuninoProdigo
12/03/17 22: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스1 배틀넷 유지만으로도 충분히 신경쓰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출시된지 15년 된 게임이에요. 그리고 스1 게이밍이 흥할려면 새로운 신인들이 계속 해서 나타나야 경쟁 구도가 생기면서 다시 흥하는데 그러기도 이제는 어렵고요. 기간산업육성이나 간접자본활성화 같은 말은 잘 이해가 안 됩니다. 부가 설명이 없으면 오해할 것 같네요.
마이너리티
12/03/17 23:23
수정 아이콘
단순히 배틀넷 유지정도면 그냥 올드게임이 유저들을 위해 서비스 유지하는 수준이죠.
그리고 스1이 아직 배틀넷마저 없앨정도로 유저수가 적은 게임도 아니구요.

제가 바라는 바는 eSPORTS가 게임의 흥망에 따른 순간적 유행이 아닌 지속성을 가진 스포츠란 점을 보이기 위해서라도
블리자드같이 스1으로 높은 수익을 거둔 업체라면 어느정도 책임감을 가지고 지속적인 패치나 업데이트를 통해 게임의 생명력을 연장시키는 것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스1정도의 게임이 단순히 배틀넷 유지만으로 할 도리 다했다고 생각하는 건 심각하게 개발사 중심의 생각인거 같아요.
솔직히 우리나라엔 블리자드에 한해서 지나치게 개발사 위주로 생각을 하는 유저들도 많은 거 같구요.
12/03/18 12:26
수정 아이콘
개발사위주의 입장이 아니라 바꺼놓고 생각해서 마니너리티님이 블리자드 사장이면 해주실껀가요?

1. 전세계에서 90% 한국인만 플레이를하고 있다.
2. 발매한지 14년이 넘어서 더이상 수익이 없다. 서버 유지비도 따로받지는 않는다.
3. 그게임의 후속작을 발매했다.
The xian
12/03/18 14:0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즐기는 사람들이 개발사 사정 따위 봐줄 당위성은 없다지만 이건 해도 너무한 소리로군요. e스포츠에 대한 팬심 때문에 그러려니 해도 이건 소비자로서의 요구를 한참 넘어선 발언이고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습니다.

스타크래프트1이 대한민국에서 유저수 적은 게임이 아니라는 것은 엄연한 사실입니다. 그러나 스타크래프트1이 올드게임이라는 것도 엄연한 사실입니다. 구 배틀넷 유지하는 게 하찮아 보이실지는 모르겠지만 PGR만 봐도 서버비 공으로 나오는 것도 아닌데, 배틀넷 유지하는 데에 드는 서버비는 그것보다 더 막대합니다. 수익은 커녕 금전적으로는 매달 돈 까먹는 구 배틀넷 게임에 대해서는 배틀넷 유지해주는 것만도 할 만큼 하는 겁니다. 어느 패키지 게임이 10년 넘게까지 새로운 운영체제나 CPU 최적화 등과 관련된 패치를 해주나요. 몇 없습니다. 멀티플레이 15년 이상 열어주는 게임도 몇 없습니다. 그런 패키지 게임이 몇 없기 때문에 블리자드에 대해 님이 말하는 '개발사 위주'의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겁니다.

그리고 eSPORTS가 게임의 흥망에 따른 순간적 유행이 아닌 지속성을 가진 스포츠라고 말하시는데 매년 새로운 버전의 게임으로 계속 WCG에 나오는 피파나 아스팔트 시리즈는 물론, 대한민국만 봐도 후속작으로 이어진 스페셜포스 리그 역시 지속성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후속작이든 전작이든, 선택에 따라 e스포츠 주체들이 잘 운영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면 될 일을, 굳이 게임 개발사에게까지 패치를 하라 뭐 하라 강요할 당위성이 무엇인지 모르겠군요. 구매한 이후 계속 돈을 내는 온라인 게임이면 일말의 당위성이라도 있겠지만, 수익은 고사하고 돈만 까먹는 패키지 게임에 언제까지나 패치를 해달라는 요구는 논리적 당위성이 없습니다. 게임은 공공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게임 나고 e스포츠 났지, e스포츠 나고 게임 난 거 아닙니다.
불쌍한오빠
12/03/18 00:44
수정 아이콘
스1만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없어져 버릴것같아 슬프네요
그럭저럭하루
12/03/18 01:01
수정 아이콘
어쩔수없죠 뭐.
누가 강제적으로 없애는것도 아니니.
케스파가 얼마나 더 힘쓰느냐에 따라 결정될거라고 생각해요.
문제는 만약에 스1이 끝난다면 그많은 게이머들과 관계자들은 어디로 가나 그게 걱정이죠.
스2는 이미 포화상태이고 LOL이 전망이 밝은데 AOS장르가서도 잘할수있느냐가 문제겠네요.
봄바람
12/03/18 11:55
수정 아이콘
스2 요즘 재밌더군요. 특히 플토대 저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알림] 인터뷰 게시판이 생성 되었습니다. [3] 메딕아빠 06/09/28 38030
127 2013 e-Sports Awards in PGR21 - 기타 부문 수상자 인터뷰 [2] kimbilly29165 14/01/01 29165
126 2013 e-Sports Awards in PGR21 -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수상자 인터뷰 [2] kimbilly28547 14/01/01 28547
125 2013 e-Sports Awards in PGR21 - 스타크래프트2 부문 수상자 인터뷰 kimbilly28927 14/01/01 28927
124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결승전 - 미디어데이 (+ 사진) [6] kimbilly29156 13/07/31 29156
123 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 출시 행사 - 본사 개발진 인터뷰 [13] kimbilly32188 13/03/11 32188
122 2013 HOT6 GSL Season 1 - 결승전, 미디어데이 [5] kimbilly28903 13/03/06 28903
118 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 시연회 - 게임 디렉터 더스틴 브라우더 화상 인터뷰 [7] kimbilly30844 13/01/22 30844
117 2012 e-Sports Award in PGR21 - 올해의 방송인 수상자 인터뷰 [7] kimbilly30964 12/12/30 30964
116 2012 e-Sports Award in PGR21 -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수상자 인터뷰 [9] kimbilly30951 12/12/30 30951
115 2012 e-Sports Award in PGR21 - 스타크래프트2 부문 수상자 인터뷰 [4] kimbilly29521 12/12/29 29521
114 2012 e-Sports Award in PGR21 - 스타크래프트1 부문 수상자 인터뷰 [9] kimbilly31075 12/12/28 31075
113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 Code S, 결승전 : 미디어데이 [15] kimbilly30422 12/07/25 30422
112 2012 HOT6 GSL Season 2 - Code S, 결승전 : 미디어데이 [7] kimbilly27873 12/05/16 27873
111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2 - 미디어데이 (+ 사진) [149] kimbilly34089 12/05/10 34089
110 스타크래프트2 e스포츠 공동 비전 선포식 - "이제 모두가 함께 합니다!" [58] kimbilly35565 12/05/02 35565
109 마이크 모하임, "스타2의 e스포츠 확대에 있어서 올해가 중요한 해가 될 것" [29] kimbilly32048 12/03/17 32048
108 2012 HOT6 GSL Season 1 - 결승전 <정민수 vs 박수호> 미디어데이 전문 [3] kimbilly29817 12/02/29 29817
107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 올해의 방송인 & e-Sports 공로상, 해설가 이승원 [3] kimbilly31402 11/12/31 31402
106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 e-Sports 공로상, 해설가 김동준 [1] kimbilly31908 11/12/31 31908
105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 올해의 스타1 게이머 & 테란 게이머, 이영호 선수 [10] kimbilly30324 11/12/30 30324
104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 올해의 스타1 프로토스 게이머, 김택용 선수 [2] kimbilly113205 11/12/30 113205
103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 올해의 스타1 저그 게이머, 신동원 선수 kimbilly119181 11/12/30 1191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