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07/02/17 16:26:53
Name  내 
Subject [유머] 새뱃돈의 설움...

필자는 친척들이 많았다.
그래서 설이 항상 즐거웠다.
새뱃돈 받는 시간이 되면 그 엄숙한 긴장감이란..
과연 큰아버지들께서 어떤식으로 돈을 분배하실까...
친척동생과 횽아들 끼리의 긴장감이 감돌았다.

그런데 필자는 참 난감한 나이였다.
필자는 중2였지만 덩치가 컸다.
위로는 고3 아래로는 촏.잉들..

필자는 고등학교 그룹에도..촏.잉 그룹에도 속할 수 없는
정말 어이중간한 나이였다.
그래서 필자는 촏.잉들과 횽아들 사이에서 항상 갈등했다.
촏.잉들과 놀기에는 내가 너무 성숙했고
횽아들과 놀기에는 내가 너무 어렸다.

하지만 이런건 아무렴 어떠냐 싶었다.

세뱃돈 받는 시간...

고3 횽아들은 5만원씩 받아갔다.(큰아버지 한분당!!!--!!)
필자는 3만원이였고 촏.잉들은 1만원이였다.
필자는 특별히 슬프지 않았다. 이제 몇년후면 나도 고등학생이고
그러면 몫돈을 받을 수 있을꺼라 생각했다.

하지만 큰 오산이였다..

횽아들은 대학교에 들어가면서 더이상 설에 시골에 오지 않았다.
나는 그 새빨간 촏.잉녀석들과 같은 취급을 당했다.
다 3만원으로 통일되버렸다.

그래서 필자는 고등학교 진학후 설에 시골에 가지 않았다...


문어다리1.. 새뱃돈때문에 서러웠던 기억 있으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글루미선데이
07/02/17 16:28
수정 아이콘
후후 독자에 외가 사촌중에선 1빠로 태어난 덕분에 후후후후....후후후후
하루빨리
07/02/17 16:32
수정 아이콘
매해 우리집에서 설지내는데, (할머니 살아계시고, 할머니 제주도에 계셔서, 제주도에서 가장 맏이인 우리 아버지집에서...)

사촌누나가 공부하러 서울가서 작은 아버지 서울행...
부산 큰아버지는 안내려오신다고 함

새뱃돈 걱정보단 사람이 예년보다 적어서 심심하네요...
하루빨리
07/02/17 16:34
수정 아이콘
올해에는 카탄을 할 수 있을까 기대했는데.... (카탄 대여섯번 했나? 확장팩은 새거인 채로 있음 ㅠ.ㅠ)
07/02/17 16:48
수정 아이콘
거짓말이 아니고 진심으로... 설에 2만원 넘게 받아본적이 없습니다.... 저를 포함해서 사촌형,누나들 모두요.... 그래서 세뱃돈 관련해서는 늘 서러웠던 기억...ㅠ,.ㅠ
영웅토스리치
07/02/17 16:49
수정 아이콘
이글보니 정말 저의 과거가 생각나네요..저보다 한살어린 사촌여동생이 만원받구 저 5천원 받았습니다...대신,남자?란 이유로 이모할머니집에 인사드리러 가게되서 5만원을 받았지만요 ㅡ.ㅡ;
닥터페퍼
07/02/17 16:50
수정 아이콘
허허. 저희 외할머니께서는 30살도 만원 1살도 만원 만원으로 대동단결-_-
귀여운호랑이
07/02/17 16:59
수정 아이콘
세배 드릴 친척이 없습니다. 물론 세뱃돈도 없습니다--;;
라캄파넬라
07/02/17 17:33
수정 아이콘
20대 중반.. 이미 세뱃돈은 안받고 있고... 오히려 돈을 번다는 이유로(과외)
사촌동생에게 용돈 주게 생겼습니다...(밑으로 20살 차이까지 총...11명!!)
07/02/17 17:41
수정 아이콘
으흐흐.. 저희 집안은 애가 둘이나있는 33살에 누나도 새뱃돈을 아직 받기에...향후 몇년간은...-_-
하리하리
07/02/17 17:43
수정 아이콘
주위에 친척들이 바글바글해서 3~40만원 많게는 100만원도받는애들이 부럽습니다 ㅜㅜ 진짜 친척들이 너무많아서 같은날에 다 모이지도못하는애들은 설지나고나면 지갑이 빵빵해지는데..저같이..친척이 많이없는 사람은....
싱클레어
07/02/17 17:52
수정 아이콘
저는 매년 아버지 20, 큰아버지20 이렇게 40만원만 받고 있지 말입니다..
07/02/17 17:56
수정 아이콘
제 경우.. 복잡한 사정상 세뱃돈은 부모님께만 받았습니다.
FC Barcelona
07/02/17 18:33
수정 아이콘
군 전역이후 처음맞는 설인데
과연 줄지 모르겠네요 아직 학생이라서 줄거 같기도 한데
제가 3번째인데 1.2.4 는 이미 직장인들 괜히 끼여서 못받을지도 제길
박준석
07/02/17 18:35
수정 아이콘
전 예전에 대학교 떨어져서 재수하던 시절, 시골에 가니 고등학교 졸업했다고 세배돈 0원 받았습니다.(물론 세배는 했죠 >.<) 마침 고스톱판에 자리가 하나 비어서 그날 3만원 따고 돈 한푼도 안쓰고 왔던 기억이 나네요^^*
발업까먹은질
07/02/17 19:18
수정 아이콘
3살차이는 5천원 차이 2살차이는 아무 차이 없는...
하이맛살
07/02/17 19:32
수정 아이콘
세뱃돈 많이받으시네요..........
큰집에서 제사지내고 성묘하러가서 한7집정도 돌아다니면서 세배하면 한 7~8000원정도 받는데.................
착한밥팅z
07/02/17 20:05
수정 아이콘
친가에서도, 외가에서도 제가 나이가 가장 많습니다. 쏟아져 들어오던 새뱃돈들이, 경기가 안풀리면서........
07/02/17 20:08
수정 아이콘
저는 친가에 친척이 고모한분이라 제 생에 가장 많은 세뱃돈을 받아본게 3만원 -_-;;
대부분 분들의 어린시절이 그렇듯이 이것역시 제 수중으로 바로 오지도 않죠 -_-
불타는 저글링
07/02/17 20:12
수정 아이콘
흠.. 세뱃돈이라?
작년이였나... 5천원 짜리가 새로 나와서 저의 세뱃돈은 한사람당 5천원!
근데 올해는 천원으로 될것 같은 기분이 드는군요. 천원 vs 만원~ 어떤것을 주게 될까?
왠지 한국은행에서 세뱃돈 전략으로 이런 시기에 새 지폐를 내는것이 아닌가 의심돼네요
07/02/17 20:38
수정 아이콘
수능 끝나고 시골 내려갔을때
3000원 주신분은 있었음
BluSkai-2ndMoon
07/02/17 20:41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천원 신권이 인기라고 하던데.....

저의 경우에는 뭐, 나이를 먹어가면 먹어갈수록 금액이 늘어나던데요. 작년에는 25만원이었나? 암튼, 그랬을겁니다 ;
_ωφη_
07/02/17 22:33
수정 아이콘
다른건 상관없는데
고모들와서 지금까지 돈한번준적없으면서 자기 애들은
우리부모님한테 한 10만원씩 받아가게 하는거보면
짜증나긴하져.. 고모들 넘싫어.
信主NISSI
07/02/17 22:49
수정 아이콘
다른것보다 전 세배돈 다합쳐서 2만얼마... 그것도 부모님 두분에게 2만원 다른 친척들 다합쳐서 몇천원... 그리고선 친구들을 30~40만원 받았다는 애들보면...
아빠가출근할
07/02/18 00:58
수정 아이콘
전 어릴때부터 한해 5만원이상 받아본 역사가 없습니다... 시골 큰아버지들께서는 농사를 지으셔서 항상 천원씩만...

친구들 30만원 40만원 받았다고 펑펑 돈쓸때 전 죽어라 알바했었죠..ㅠㅜ
나름 인생경험을 많이 쌓은 덕분에 지금 취직은 잘한거 같습니다....
전 언제나 설이 슬펐어요.... ^^;
07/02/18 04:13
수정 아이콘
저도 사촌동생들에겐 만원짜리 여러장 팍팍주시는 부모님과
만원 한 장 주는 삼촌들 보면..속이 쓰립니다 ㅡㅡㅋ
pErsOnA_Couple
07/02/18 10:28
수정 아이콘
설날 세뱃돈이 로또당첨으로 생각하는 풍토를 고쳐야 합니다!
(세뱃돈 줄 나이가 되니까 이러고 다닙니다. -_-;)
№.①정민、
07/02/18 11:38
수정 아이콘
저도 곧잉으로 나눠서 받다가 이번에 대학생돼서 기대 하고 갔는데 .......... 너무 적게와서 촏잉이나 대딩이나 다 똑같이 주더군요 -ㅁ-
hyungiloveoov
07/02/18 12:05
수정 아이콘
저기 제목을 새뱃돈→세뱃돈으로 수정해주셧으면하네요;
완성형폭풍저
07/02/18 16:39
수정 아이콘
대학교 졸업하니 초등학교다니는 동생이 세배를 하고 돈을 강탈해가는..;;;
OpenProcessToken
07/02/18 20:30
수정 아이콘
설에 새배하는게 기껏 새뱃돈이나 바라고 하는겁니까?
가정교육이 참 거시기한 집안 같군요.
물론 어린맘에 새뱃돈. 바라는건 당연지사지만.
새뱃돈이 짜다고 설에 새배하러 안간다뇨..
새배의 본질부터 파악하세요.
발업까먹은질
07/02/18 21:32
수정 아이콘
OpenProcessToken// 글 쓰신 분이 잘햇다는건 아니지만 님 말투부터 고치는게 나을듯...가정교육까지 들먹거리면 서로 기분 나쁘잖아요;
구경플토
07/02/18 23:58
수정 아이콘
세배를 '수금'이라고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더군요.

발업까먹은질럿님, 세뱃돈 적게 주니 세배 안간다는 글을 보고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습니다. 세배가 '수금'인가요?
OpenProcessToken
07/02/19 03:03
수정 아이콘
// 발업까먹은질럿
가정교육이 잘못됬다는것이 바로 이럴때 쓰는 말인데. 어떤 표현을 쓰겠습니까?
정말 저런건 가정교육이 잘못된겁니다.
명절때 친척 어른들 뵙고 인사드리는것.. 이건 한국인이라면 기본중의 기본입니다.
명절이 아니라도 기회되면 수시로 찾아뵙고 인사드려야 하는것이 당연하거만. 새뱃돈이 맘에 안들어서 안간다?,.. 이건 평소에 가정교육을 얼마나 못받았는지 고스란히 나오는겁니다. 제대로 가정교육을 받았다면. 절대 쪽팔려서도 저런글 못쓰죠.
글쓴이가 조카뻘 되 보여서 쓴소리 한번 해봤습니다.
 내 
07/02/19 09:13
수정 아이콘
세뱃돈때문에 시골 안갔다는건 약간 오버가 더해진거고
올해는 고삼이라 못갔습니다 가정교육 잘못받아서 정말 죄송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408 [유머] MSL 결승예고 동영상... [55] 이즈미르7734 07/02/17 7734
37407 [유머] 새뱃돈의 설움... [34]  내 7572 07/02/17 7572
37406 [유머] 공군 훈련병 1천 5백명 합동세배 [16] Copy cat5923 07/02/17 5923
37405 [유머] 위피디 가로되... [14] charcoal7316 07/02/17 7316
37402 [유머] 온게임넷 '부스걸' 동영상. [121] sylent14309 07/02/17 14309
37401 [유머] 언어영역을 풀다보면은 [16] Daylight5560 07/02/17 5560
37400 [유머] 간만에 레드얼럿 [15] PoCket4940 07/02/17 4940
37399 [유머] 하이로우를 하다가 대박 [18] 카트맨5474 07/02/17 5474
37398 [유머] 스타리그 다음시즌 우승은.. [31] sinjja5646 07/02/17 5646
37397 [유머] 이건 베어벡의 저주??? [3] EnFanT3242 07/02/17 3242
37396 [유머] 마재윤 선수의 최근전적. [31] 테크닉파워존7451 07/02/17 7451
37394 [유머] '부스걸'입니다. [108] 하루빨리12258 07/02/17 12258
37393 [유머] 저글링 없는 럴커는 웁니다. (이윤열 특공대로 럴커 잡는 영상) [28] 김영대6230 07/02/17 6230
37391 [유머] 온게임넷이 팀 단위 리그 명칭을 '팀 리그'라 하지 않고 '프로리그'라 칭한 이유 [16] Needs5436 07/02/17 5436
37390 [유머] 마본좌 숭배... [5] 소현5046 07/02/17 5046
37388 [유머] 마본좌를 이길수 있는 유일한 방법.. [5] 요환이형...5768 07/02/17 5768
37387 [유머] 마본좌는 요즘 고민이 많습니다. [2] 백야5333 07/02/17 5333
37386 [유머] 징크스고 뭐고 봉자씨 앞에는 없는거다. [9] 비오는날이조5410 07/02/16 5410
37384 [유머] 마폴레옹과 세이비어 14세의 불후의 명언! [12] 이즈미르5597 07/02/16 5597
37383 [유머] 마재윤 선수 이제는 자신감마저 넘치는군요 [40] Daylight7871 07/02/16 7871
37382 [유머] 세이밥 VS 카카로트 [14] 푸른날개5004 07/02/16 5004
37381 [유머] 향후 처두션의 행보. [7] 백야4049 07/02/16 4049
37379 [유머] 어색하지가 않아 [15] 그래서그대는5666 07/02/16 56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