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08 17:40
후기에 보니....
동생은 초코렛폰 디자인으로 LG를 살리고있고, 형은 A/S사건으로 LG를 잡고있고.... ㅡ.ㅡ 뭐 이런 아이러니한 사건이!
06/12/08 17:46
백색 가전은 L 전자가 우위에 있지 않나요?
S 전자가 핸드폰이랑 반도체를 워낙 많이 팔아서 수익이 좋지만.. 백색 가전은 L 모 전자가 우위로 알고 있습니다.. 요새 L 전자 낭패겠군요.. 파워콤 할당에.. 지원서 관리 부실에.. A/S 문제에..
06/12/08 17:46
제친구가 S사의 SVC(전 그냥 SCV로 부릅니다..) 내수시장은 L사가 앞서있는게 사실입니다. 예를 들면 디오X가 지X보다 소음이 덜 합니다...주부들 사이에선 인식이 그렇습니다.특히 어른들한테 갈수록
06/12/08 17:49
그런데 AS는 삼X이 좋다는 인식입니다. 예전에 칼라티비 한참 출시할때 고장률이 장난아니였답니다. 그때 삼X 회장님께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고치라는 명을 내려 어느 브랜드들보다 써비스가 좋았답니다. 그 인식이 굳어 AS의 최고는 삼X이라는 이미지가 생긴것이구요
06/12/08 17:51
거참 AS의 신뢰성을 무기삼아 마케팅을 하던 기업들의 행태가 교묘하게 AS 형태를 둘러싸고 돈 더 받아먹을려고 하는 수작을 부리다니요.
참 개탄스럽군요.
06/12/08 18:02
요즘 비용적인 측면으로 에어컨 특히 에어컨 문제 입니다. 개인적으론 엘지가전을 선호하나 회사에어컨이 삼성인 관계로 삼성AS를 불렀습니다. 에어컨 작동이 안된다고 기사 와서 하는 말이 모더(모터)가 나갔답니다.싸구려 30만원짜리 에어컨의 모터는 17만원정도? 암튼 2년된 제품 인데
당황스러워 퇴근하던 제친구 SCV를 불렀습니다. 에어컨 전문은 아니지만 대략 살펴 보더니 냉매가스 나가는 곳이 너무 꽉조여 놨다고 니퍼로 살살 돌려주니 정상 가동되었습니다. 친구가 말렸으니 망정이지 그때 난리 날뻔했습니다. 친구가 대신 미안하다고 하더군요 결국은 정직원들이 아닌 출장시마다 받는 외주업체들이 문제인거 같습니다. 이번엔 엘지만 걸렸지만 모두 반성하는 계기 였으면 합니다. 삼성쪽도 이미 보고서 올라갔겠죠
06/12/08 18:05
이것을 계기로 a/s부분에 대해서 철저한 심사 내지 감사라도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평소에 대기업은 그래도 서비스가 좋잖아! 이런 인식으로 많이들 생각하는데..이건 한방 먹은 기분이군요. 여기서 일단락 될게 아니라..정책 쪽에 근무하시는 분들이 신경좀 써줬으면 합니다. ㅇ_ㅇ
06/12/08 19:09
80년대에 삼성이 기를쓰고 LG를 따라잡으려 했지만 안되어서 삼성은 AS를 강화하는쪽으로 방향을 바꿨습니다. 그래서 삼성 AS는 좋게 된거죠.
06/12/08 21:05
삼성이 백색가전 중에서 따라잡은게 거의 없죠..
TV야 사치품 쪽으로 이긴거고;; 굳이 있다면... LG가 폭탄 밥솥을 만들어서 삽질한 밥솥..? -_-;; (근데 삼성이 밥솥이 있긴 있는겨?) 아, 그리고 가습기 살 때 보니 둘 다 1위는 아니지만 삼성>LG로 선호도가 구성되어 있더군요. 암튼 대체적으로 LG쪽이 가전에 있어서의 선호도는 거의 절대적입니다. 드럼세탁기를 따라잡으려고 애쓰는데.. (한가인씨 홧팅!!!) 일단 사러가보면 비쌉니다. -_- 그러나, 말 그대로 AS는 전 그룹 차원에서 삼성이 LG보다 훨씬 좋은 거 같습니다.
06/12/08 21:32
삼성이 백색가전에서 LG를 능가하는 부분은 CF 모델입니다.
월화수목금토일 하우젠 은나노~ 한가인 만세 건강한 김치는 소리가 납니다~~ 이다해 만만세
06/12/08 22:30
한때 L모전자 모델을 고모연예인이 해서 EX트엔 L모전자의 광고 스탠드나 포스터가 붙지 않는다는 루머가 생각나네요.
어찌되었든 L모전자 이미지 많이 망가진듯.
06/12/08 22:43
삼성 하드 쓰다가 성격 버린 저로써는 삼성제품에 잔고장 많다는데 동감합니다. 이건 뭐... 하드 교환해주면 뭐합니까 데이터 몽땅 날아 갔는데 말이죠 ㅡ,.ㅡ
06/12/08 22:52
그를믿습니다님//
삼성 스토리지가 외국 하드 생산 업체를 인수한 이후로는 엄청 좋아졌던데요;; 저랑 친구들도 일부러 삼성꺼 찾아서 용산에 없는 물량 헤멘 적도 있습니다. 물론 하드 유행이란게 2,3달이면 또 바뀌니 그새 어떨런진 모르겠습니다.
06/12/09 00:44
삼성도 그리 좋지많은 않던데요. 제 친구 두명이 삼성as센타에서 일하거든요. 핸드폰이랑 프린터쪽.. 그래도 lg보단 낫네요. 그리고 삼성하드는 심하게 잘 고장나더군요. 데이터복구는 18만원정도 달래고..;
06/12/09 01:25
전 LG파워콤 억지쓰는거 보고 아주 기가 질렸습니다.. 지들이 잘못해놓고 위약금 내라고 바득바득 우겨서 아예 소비자보호원 신고해버렸더니 찍소리 못하더군요.. 진짜 LG짜증납니다
06/12/09 09:32
삼성 하드 많이 좋아졌습니다. (2)
지금 사용하는 제품까지 삼성 하드만 한 6년? 7년 그동안 8개 정도 썼는데, 옛날에는 확실히 쓰다보면 육두문자 남발 가능이었는데 요즘 쓰는 물건은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기본적인 성능 뿐만이 아니라 소음같은 성능외 문제도 만족스러워 졌더군요.
06/12/09 13:36
삼성 MP3 플레이어를 가지고 있는데 이상하게 여기 이어폰만 꽂으면 2개월을 채 못버티고 이어폰 한쪽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겁니다. 벌써 4개째 갈아치우고 도저히 못버텨서 이건 이어폰 문제가 아니라 기기자체에서 뭔가 문제가 있다 싶어서 AS기사한테 따졌으나 상식이 없는 저로선...낭패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