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15 14:25:07
Name 손금불산입
File #1 2025_10_15_국제_금.png (32.5 KB), Download : 277
File #2 2025_10_15_국내_금.png (72.0 KB), Download : 277
Subject [일반] 금 1돈 85만원까지 올라 (수정됨)




0002770638-003-2025101408480636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96/0000724087
금 한돈 80만원 돌파…전문가들 “조정 있어도 더 오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70638
국제 금값 치솟자 국내 투자도 급증…‘김치 프리미엄’ 경계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96/0000724077
"결혼반지도 못사요" 공급 마비…종로 금시장 ‘패닉'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배경은 채권에 대한 대안자산으로 금이 활용되고 있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통상 투자자들은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일종의 보험 성격으로 미 국채를 사들였지만, 이제는 금이나 다른 대안을 찾고 있는 것이다. 금 가격이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자, 가계나 기업 등 리테일 자금까지 붙으면서 금에 대한 수요가 더욱 집중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해외 투자은행(IB) 업계에선 국제 금값이 상승세를 지속하며 온스당 5000달러에 도전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반면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역사적으로 수년간 이어진 금값 랠리에 늘 뒤따랐던 가격폭락을 언급하며 금 투자에 대한 위험을 경고했다.



국내 금 1돈 시세
2024년 01월 02일 32.6만원
2025년 01월 02일 48.3만원
2025년 06월 02일 55.3만원
2025년 10월 14일 85.0만원

금 값이 미쳐날뛰고 있네요.

1돈에 50만원까지 올랐을 때도 돌반지해주기 부담스럽다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이제는 거진 100만원까지 올라버렸습니다.

이미 산 금을 싸게 샀다고 안심해야하는건지, 앞으로 사야할 금이 너무 비싸다고 걱정해야하는건지

개인적으로는 투자 헷지용으로 금 현물을 꾸준히 모으고 있는데 정작 수익률이 헷지는 커녕 주력 사업 수준으로 찍혀버리니 당황스럽네요.

올해 여름만 해도 너무 올랐다는 말이 많았는데, 그 말 이후로 그 이전 상승률을 그 따위 수준으로 부를만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당장 보름 사이에만 25% 가까이 올랐으니 이게 금인지 잡주인지 코인인지...

트럼프 등 세계질서가 안정적이지 못한 것에 대한 효과인가 싶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5/10/15 14:27
수정 아이콘
어딜 b-2따위가 비비려 드는가
JANE DOE
25/10/15 14:27
수정 아이콘
김프가 20퍼던데 공급이 왜 이렇게 문제 생긴거죠
Hydra이야기
25/10/15 14: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코스피 나스닥 금 은 비트코인 강남아파트 (+환율)
자산중 급등하지 않은 게 없습니다
원화가치 화폐가치가 실시간으로 녹고 있는 거라고 봐야죠
Jedi Woon
25/10/15 14:28
수정 아이콘
말 그대로 햇지용으로 현물 금 ETF 들어 갔었는데 이게 방파제 역할 이상을 하고 있습니다.
예상보다 너무 빠르게 오르고 있어서 든든한 마음이 생기다가도 걱정되는 마음도 함께 생기고 있습니다.
Pelicans
25/10/15 14:34
수정 아이콘
금은 신이야 ace KRX 금현물 etf가 연 수익 예상 90퍼가 넘는 미친 상품이 되고 있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5/10/15 14:34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금계좌 열어보니 몇 년 전에 사둔 게 +99%로군요. 조금만 더 오르면 100프로 찍어보겠네...
수량이 워낙 적어서 큰 돈은 아니지만...
탈리스만
25/10/15 14:36
수정 아이콘
겁나네요 원화 가치가 이렇게 폭락하고 있으니.. 에휴
복타르
25/10/15 14:36
수정 아이콘
김프 꺼지기전에 국내 금현물 etf 를 정리하고, 국제금으로 옮겨야할지 고민되네요...
유료도로당
25/10/15 15:05
수정 아이콘
퇴직연금으로 금에 투자하고있는데 (ACE KRX금현물) 이거 팔고 다른 증권계좌에서 GLD를 사야하나 싶기도 하네요...
지구돌기
+ 25/10/15 17:32
수정 아이콘
국제 금가격에 연동되는 국내 ETF도 있습니다
유료도로당
+ 25/10/15 17:44
수정 아이콘
아 그렇네요 [KODEX 금액티브]같은 상품이네요. 흐흐 퇴직연금부분은 그냥 그걸로 대체해야겠습니다. 지금 보니까 금 김프가 18.5%정도 되네요..
25/10/15 14:37
수정 아이콘
금 가격도 내려갈 때는 살벌하게 내려가긴 하는데 국제 정세를 보면 10년 안에 내려갈 일이 있을까 싶긴 합니다.
회색사과
25/10/15 14:39
수정 아이콘
신종 보석상 손해 계산 문제 나오겠네요. 

A는 24년 말 자녀의 돌 때 B로부터 1돈짜리 돌반지를 선물받았다.
그로부터 1년 뒤
B의 자녀 돌잔치에 A는 받았던 돌반지를 다시 B에게 선물하였다.

A의 손익는 얼마인가

1) 0원  
2) 40만원

——————————————————————
자매품 

A는 1년 전 자녀의 돌잔치에 B로부터 1돈 반지를 선물 받았다. 
1년이 지난 지금 B자녀의 돌잔치에 A는 몇 돈 반지를 선물해야하는가. 

1) 1돈 
2) 반돈 
은하전함
25/10/15 14: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 부동산이니 환율이니 물가니 지금 이런게 중요합니까?

코스피가 오른다니까요?
주가가 호황이라니까요?
lifewillchange
25/10/15 14:46
수정 아이콘
이거 일반글...
자칭법조인사당군
25/10/15 14:48
수정 아이콘
진짜 똥오줌 못가리시네...
복타르
25/10/15 14:53
수정 아이콘
그.. 잠깐 외출하셔서 기분전환도 하고 그러세요...
FastVulture
25/10/15 14:54
수정 아이콘
현생이 얼마나 힘드실까
cruithne
25/10/15 14:58
수정 아이콘
그...에휴...힘내십쇼.
철판닭갈비
25/10/15 15:02
수정 아이콘
토닥토닥
프리스크
25/10/15 15:04
수정 아이콘
뿌지직 뿌지지직
레지던트이블
25/10/15 16:11
수정 아이콘
40대 이상이시죠?
맥심골드
25/10/15 14:47
수정 아이콘
괴리율이 20퍼에 육박하면 조금씩 차익실현을 해야죠
허저비
25/10/15 14:47
수정 아이콘
...라고할때 살걸
우울한구름
25/10/15 14:48
수정 아이콘
안오르는 건 진짜 월급뿐인가......
cruithne
25/10/15 14:58
수정 아이콘
+원화가치....
스터너
25/10/15 14:51
수정 아이콘
Krx월요일날 팔고 후회막심 입니다. 김프가 이렇게 까지 붙을거라곤 생각 못했네요.
25/10/15 14:52
수정 아이콘
금 가격이 이렇게까지 오르는게 결코 좋은 현상이 아닌데요... 뭔가 큰일이 일어나기 전조증상인 것 처럼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25/10/15 14: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2달전에 한돈을 58만에 구매하면서 비싸다고 생각햇는데 85만이라니.. 이젠 금사기가 무섭기까지하네요
벌점받는사람바보
25/10/15 14:59
수정 아이콘
현금비중을 더줄여야 하나..
VictoryFood
25/10/15 15:00
수정 아이콘
금 > 코스피 > 미장 순으로 수익률이 높습니다?
완전연소
25/10/15 15:08
수정 아이콘
금에 몰빵한 계좌를 보면 매일 수익이 연봉 단위로 나네요.
돈복사가 되서 좋긴 하지만 이게 맞나 싶기도 하고 언제 팔아야 하나 고민도 많이 되네요.
덴드로븀
+ 25/10/15 16:49
수정 아이콘
소고기 먹고 싶을때 1g 어치 팔기...?

그런데 얼마를 넣으면 1일 수익이 그만큼 나오는건가요...?
지구 최후의 밤
25/10/15 15:22
수정 아이콘
나중에 돈 많이 벌면 금 1kg짜리 가져보고 싶은데 어째 내 월급 상승속도를 아득히 초월하네요.
츠라빈스카야
25/10/15 15:32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예전에 골드바 1킬로에 6천만원쯤 하더라 하던 기억 이후로 지금 보니 2억 2천이군요..;;;
장마의이름
25/10/15 15:42
수정 아이콘
리밸런싱 때매 강제로 파는데 아깝더라구요..
25/10/15 15:42
수정 아이콘
금의 형제인 은도 올해 많이 올랐습니다.
하이버리시절
25/10/15 15:53
수정 아이콘
절세 장점으로 KRX 금 보유중인데 김프가 너무 많아서 갈아타기가 정답인가 싶네요
25/10/15 16:28
수정 아이콘
현금을 일단 들고있으면 안됨
덴드로븀
+ 25/10/15 16:48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68475?sid=101
[뛰는 '금값' 위 나는 '은값'…얼마나 더 오를까?] 2025.10.15.
온스당 52달러를 넘기면서 마찬가지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1980년은 파동 사태 당시 기록했던 가격보다도 높은 수준인데, 올해만 80% 가까이 올라 같은 기간 금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답은 [은] 이다?
+ 25/10/15 16:59
수정 아이콘
김프 붙었을때 매도하고 꺼지면 다시 사야될거같은데 트럼프가 매일 새로운 변동성을 주니 금값이 매일 올라서 팔지를 못하네요.
빼사스
+ 25/10/15 17:13
수정 아이콘
20년 전에 어머니가 금 400만 원어치 준비하자는 거 200으로 줄인 나, 채찍 좀 맞자.
크낙새
+ 25/10/15 18:24
수정 아이콘
최근 은선물시장에서 백워데이션이 뚜렷해진걸보면 특별한 이슈가 없는 이상 앞으로 몇달간은 실물은을 구하기가 쉽지 않아 보이네요. 더구나 14년간 통곡의 벽이었던 1트로이온스 50달러선도 가뿐하게 넘은걸로 봐서 어디까지 갈지 예상도 어렵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8058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074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927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5662 4
105214 [정치] 미국주식, 금, 그리고 대치은마 아파트 [61] 사업드래군3827 25/10/15 3827 0
105213 [일반] 금 1돈 85만원까지 올라 [43] 손금불산입3605 25/10/15 3605 0
105212 [일반] 우리는 어째서 인문학 '따위를' 공부해야만 하는가 [40] 솔로몬의악몽2597 25/10/15 2597 22
105211 [정치] 범여, 3+3+3년 전세 개갱신 ‘임대차법’ 발의…시장선 "나라 말아 먹을 법" [240] petrus7476 25/10/15 7476 0
105210 [정치] 5선 이상민 의원, 별세 [29] 빼사스5020 25/10/15 5020 0
105209 [정치] 임대주택 이야기. 36m^2, 44m^2 [20] nearby2281 25/10/15 2281 0
105207 [정치] 수도권 15억 넘는 집, 이제 주담대 4억 이상 안 나온다 [10·15 부동산대책] [446] 윤석열10795 25/10/15 10795 0
105206 [정치]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관련 뉴스들 [95] 전기쥐6595 25/10/15 6595 0
105205 [정치] (아이디어) 주택연금을 받으면 종부세를 깍아주자 [18] VictoryFood2917 25/10/15 2917 0
105204 [정치] 왜 민주당이 집권하면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할까? [340] Hydra이야기15857 25/10/14 15857 0
105203 [일반] 스파르타 전사의 삶을 알아보자 [23] 식별5776 25/10/14 5776 16
105202 [일반] ??? : 전원 구조 준비 완료되었습니다 [57] 라주미안8354 25/10/14 8354 0
105201 [정치] [단독] 서울 전역+분당·과천, 부동산 규제지역 유력(오늘 중앙일보 1면) [355] petrus14964 25/10/14 14964 0
105200 [일반] 영포티론에 대하여 – 40대 남성은 20대 여성을 욕망해도 되는가 [135] 솔로몬의악몽8880 25/10/14 8880 11
105199 [일반] 댄스 필름 촬영을 이어오면서의 소회. [19] 메존일각3395 25/10/14 3395 25
105198 [정치] 12월 3일 계엄의 밤, 국무회의실 CCTV 대공개 [194] 빼사스10983 25/10/13 10983 0
105197 [정치] 이준석이 까이는 이유와 이준석을 까면 PGR 모두가 행복한 이유 [157] 유동닉으로8533 25/10/13 8533 0
105196 [일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용병대장의 최후 [2] 식별3641 25/10/13 3641 22
105195 [정치] 흥미로운 지점들 [289] 한강두강세강14158 25/10/13 1415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