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09 09:03:50
Name 바람돌돌이
File #1 20251009.png (540.9 KB), Download : 321
File #2 20251009_2.png (478.0 KB), Download : 318
Subject [정치] 내 아파트가격은 오르지 않았는데, 왜 아파트 가격으로 시끄러울까? (수정됨)




그림 두개가 있는데, 두개 모두 서울 시내에 1000세대 이상 대단지들의, 지하철역에서 멀지않은 (엄밀하게 따지진 않았지만, 지하철역에서 1km 이내) 아파트 단지들의 가장 거래가 많은 30평형대의 6년간 실거래가를 표시한 시계열 그래프입니다.

위쪽 그래프들과 아래쪽 그래프들이 모양이 완전히 다릅니다.
위쪽은 한강변이 아니고, 아래쪽은 거의 다 한강변입니다. 아래쪽 그림에 속한 단지중에 하나만 한강변이 아니거든요.
서울에 많은 아파트들 중에, 비싼 것만 비싸지고 있고, 다수의 아파트들은 6년전 최고치보다 아직 아래에 있습니다.
최고가를 회복하러 가는 것 처럼 보이기도 하고, 7월 이후에 눌린 것 처럼도 보이는데, 아무튼 이러한 아파트들은
6년전에 비해 가격상승이 크지 않습니다. 6억의 대출 제한이 의미가 있는 곳은 가격상승이 눌렸고, 어차피 가격이 높은 곳은
계속 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올해 코스피가 50%가 넘게 올랐고, 4월 관세빔 이후로 미국 S&P도 30%가 넘게 올랐고, 금도 50%가까이 올랐는데,
아파트 가격은 일부 자산성이 있는 곳들만 올해 20-30%가올랐죠.
한강변이 아닌 곳은 6년간 가격이 오히려 떨어진 곳이 많습니다.

부동산이 오를거라고 생각하던 사람들이 많았는데, 둔촌주공 무순위까지 가고, 장위 자이나 래미안 라그란데 무순위나 미분양났을 때 산 사람 거의 없습니다. 그때 산 사람들 지금 4-10억 정도 벌었겠네요. 오를 거라고 고민이면, 살 수있는 기회가 온다는 예시입니다.

아무튼 30평대라도 서울 내에 역세권 구축중에 아직 10억이하의 가격도 많습니다. 6억 대출 받는 사람들이 못살만한 가격은 아닙니다.
6억 대출과 전혀 상관없는 곳은 그림의 반포, 잠실 쪽이죠. 거긴 돈을 좀 많이 벌어야 살 수 있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동닉으로
25/10/09 09:07
수정 아이콘
다들 폭등한 곳들만 보고 있으니까요.
바람돌돌이
25/10/09 09:11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런식으로 따지면 올해 주식 중에 코스피나 S&P 지수가 아니라 폭등한 주식 위주로 보면 5배 10배 간것도 많이 있어요. 잡주가 그런게 아니라 큰 기업들도 그렇게 갔거든요.
유동닉으로
25/10/09 09:24
수정 아이콘
주식은 그냥 가나 보다 하는데, 부동산은 집값의 옥석이 갈려지는 순간 안 오른 곳들은 왜 우리는 안 오르냐 라고 욕하고 오른 곳 소유주들은 만족하나, 오른 곳들로 향할 사다리가 차지고 있다고 무주택자분들이 주로 욕하죠.
바람돌돌이
25/10/09 09:30
수정 아이콘
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왜 내주식만 안가냐. 전체 시장이 테마성으로 움직이면, 자기주식이 안오르거나 떨어지면 똑같은 거죠. 다만, 투자한 금액의 단위가 다를 뿐인 것 같습니다. 주식투자금으로 월급의 반을 원리금으로 빌려서 30년간 갚아가면서 하진 않으니까요.
여수낮바다
+ 25/10/09 13:20
수정 아이콘
주식은 참여 안해도 수익을 덜 벌고 배아픈 거로 끝나는데
부동산은 참여 안하면 내집마련을 못합니다
보금자리가 없어지는 거에요
자가 보유를 못하면 전월세로 지내야 하는데 보통 민주당 집권기에 이것도 함께 올랐죠

집값이 오르면 유주택자의 출산율은 소폭 오르고 무주택자의 출산율은 내려갑니다. 가임기엔 보통 무주택자이기에 총 출산율은 감소합니다
우리나라 집값 하락기였던 이명박 때 출산율이 오른 것엔 이 영향도 꽤 있었을 겁니다(물론 유일한 이윤 아니겠죠)

부동산이 오르는 정책을 만드는건 여러모로 정말 망국적인 짓입니다
민주당이 이번엔 3연벙하지 말고, 이전 집권 때와 다른 길을 걷는다는 신호를 빨리 시장에 보내면 좋겠습니다
여수낮바다
+ 25/10/09 13:13
수정 아이콘
노무현 문재인 때도 첨엔 강남만 오르고, 곧 버블세븐이니 뭐니 하며 퍼지고, 이어서 서울 다 오르고 경기도 오르고 했죠

매번 그 과정에서 민주당의 온갖 반시장적인 정책들이 더 부추겼고요
이번 민주당 집권기엔 안 그러길 빕니다

근데 그러려면 민주당이 돈을 마구 풀지 말아야 하고, 반시장적으로 다주택자를 악으로 보는 정책을 내지 말아야 합니다. 

시장참여자들은, 민주당이 그런 길을 걸으리라 안 볼 테니, 패닉바잉을 하는게 합리적 판단일 거고요

엔비디아가 오를게 예상되는 호재가 생기면, 그 호재가 실현되기 전에도 다들 미리 삽니다
민주당 집권이 예상되는 시점부터, 이미 그 “호재“는 예견된 거였습니다
3연벙 당하기 싫으면, “이번엔 민주당이 제정신 차리겠지“에 안 거는게 맞을 겁니다
유동닉으로
+ 25/10/09 13:2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요새 지방/서울 노도강 지역은 집값 안정화라고 아우성이며, 밑에 다주택자 규제 풀면 지방 집값 올라가면서 서울집값 안정화라고 하던데 어느 장단에 맞추어 드려야 합니까?

+ 그리고 이명박때 본격적으로 도입한 정부보증 전세시장이 반시장주의 그 자체인데요.
여수낮바다
+ 25/10/09 13:46
수정 아이콘
아 네 노무현 문재인 때도 첨엔 그랬습니다
시장참여자들은 다 기억합니다

다주택자 때려잡자! 돈 팍팍 풀자! 하는 민주당 마인드가 더는 안 보일 거라 시장이 신뢰할 때까진, 이번에도 3연벙이구나.. 싶습니다
한방에발할라
25/10/09 09:12
수정 아이콘
까놓고 말해서 집값이 오른 건 사실이지만 현 정부 집권한 뒤에는 코스피 투자자가 부동산 투자자들보다 압도적으로 수익률이 좋을 겁니다. 인버스나 곱버스 산 게 아니라면 말이죠. 친구가 대선 전에 코스피 지수추종 etf에 돈 다 박는 거 보고 아직도 국장을 믿냐고 한마디 했지만 제가 그냥 경알못이 됐기 때문에...
25/10/09 09:35
수정 아이콘
사실 부동산은 대출이 기본이라서 레버리지 2배 3배투자나 마찬가지죠. 부동산 상승률에 x2,x3 정도가 실제 수익률이긴 해요.
25/10/09 09:14
수정 아이콘
커뮤에서 정치성 글댓글을 많이 작성하는 사람은 기실 정치에 그닥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그러니 해당 주제도 뭔가 알아서 글댓글을 작성하는게 아니죠.
호응이나 추천을 받을 방법이 정치성글댓글밖에 없어서 그래요.
부동산 채널을 운영중인데 저걸 알고나서 마음이 편해짐.
25/10/09 09:21
수정 아이콘
지방사람 입장에선 주변에 마이너스 피인 아파트도 있어서 집값 상승 토픽 볼 때마다 서울, 수도권 일부 집값만 집값인가 싶더군요
미뉴잇
25/10/09 09:33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서울 수도권 일부만 그런거죠.
여러 채 가지고 있으면 다주택자는 범죄니 머니 하면서 종부세로 압박하니 지방 아파트는 수요가 별로 없죠.
25/10/09 09:39
수정 아이콘
지금와서 다주택 규제 해제하면 더 서울로 몰릴 거라 글쎄요. 지방은 일자리가 없으니 수요가 없는 건데요.
유동닉으로
25/10/09 09:53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지금 다주택/종부세 푼다고 부자들이 지방 아파트로 돈 돌릴 거라고 기대하시는 건 아니죠?
제가 부자라면 다주택 풀어주고 종부세 낮춰줘도 우리 모두가 사고 싶어하는 서울의 입지 좋은 아파트를 여러채 사려고 하지 지방 아파트를 사줄 거 같지 않은데요.
바람돌돌이
25/10/09 09:54
수정 아이콘
지방 부자가 자기 집 안팔고 서울 집을 추가로 더 살 수 있게 하겠죠. 지방은 매물은 주니까 가격이 덜 빠질거구요. 서울 사람이 지방에 5억짜리 집을 사서 30억짜리 집의 수익률을 맞추려면 5억짜리 상승률이더 커도 3채씩은 사야 될겁니다.
미뉴잇
25/10/09 10:04
수정 아이콘
늦었으니 잘못된 걸 알아도 하지 말자는게 맞을까요?
최소한 지금처럼 서울 아파트 사려면 세금문제때문에 지방아파트는 매도해야 하는 상황보다는 나아질 것 같은데요.
유동닉으로
25/10/09 10:08
수정 아이콘
지방에서 서울 아파트 구매할 정도의 부자분들이면 각 지역별 최상급지에 등기친 상황이여서 지방 3~4억대 매물이 좋아질 거 같지는 않네요.
표묘표묘묘표표
+ 25/10/09 12:17
수정 아이콘
지금은 지방 아파트 팔아서 서울 아파트 사고 있어서, 지방돈을 서울이 다 빨아먹고 있습니다.
+ 25/10/09 13:34
수정 아이콘
게임이론 아시잖아요?
지금 뭔 똑똑하고 선의의 정책을 새로 펼쳐도 양극화 심화와 똘한채만 오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지난번 수요대책은 적당히 괜찮았어요. 상승률을 좀 둔화시켰죠.
하지만 공급에 뾰족한 대책이 없는한 절름방이였고...
25/10/09 09:26
수정 아이콘
왜 서울아파트만 말씀하시나요 지방은 오히려 떨어진곳도 많은데
바람돌돌이
25/10/09 09:28
수정 아이콘
제 말이 그겁니다. 떨어진데가 많아요. 서울 중에서도 한강변 위주로 오르고 있는데, 전체 부동산을 이야기하고 있으니 좀 이상해서 찾아본겁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09:32
수정 아이콘
그리고 그래프 잘 살펴보면, MDD가 30-40% 가까이 됩니다.
몽키매직
25/10/09 09:38
수정 아이콘
다들 시선은 내가 사는 아파트가 아니라 내가 가고 싶은 아파트로 고정되어 있으니까요.
주식시장 분위기 좋을 때마다 어김없이 주식이 수익률 더 좋다는 글들 올라오는게 20년도 넘은 반복적인 패턴인데...
국장탈출은 지능순이라는 말이 나오던게 6개월도 안되었습니다. 분위기 안 좋을때는 처참하죠.
그냥 부동산 보다 주식이 사이클이 훨씬 짧은 시장이고 주식시장 좋은시기만 딱 잘라서 보면 너무 좋아보이죠.

그리고 지급 비싼 건 더 비싸지고 싼 건 안 오르고 하는 건 다주택자 규제가 1차적인 원인이라 당분간은 계속 이럴 겁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09:46
수정 아이콘
다주택자가 같은 권역에 집을 사는 건 단순히 투자 수요입니다. 대도시권에서 주택이 부족할 때는 그런 수요는 없애고 봐야 하는게 주택정책적으로 맞습니다. 해외 대도시들도 마찬가지의 방향으로 정책을 합니다.
그리고 부동산도 MDD가 40%입니다. LTV생각하면 실질적으로 디폴트인데, 실물자산이 있으니까 버틴거죠.
주식이 한국주식만 있는 것도 아니고, 요즘 개미투자자들은 해외투자 투자금도 많죠. 그리고 주식 수익률이 좋은게 아니라 비 한강벨트 아파트 수익률이 처참한거죠. 6년전 가격도 회복을 못했으니까요. 6년간 물가 오른 것만 20%가까이 될텐데, 저정도 수익률이면 투자하기 좋은 건 아니죠.
몽키매직
25/10/09 09: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주택자에 대해서 뭔가 잘못 생각하고 계신 부분이 많은 것 같은데, 공급 실수요비를 정확하게 1로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고 이상적이지도 않아요. 임대 공급을 없애고 모두가 자가에서 사는 유토피아를 만들지 않는 이상.... 해외 대도시 중에서 우리나라 비슷하게 하는 곳들은 도심 가격 통제 안되고 있죠. 미국 같은 경우에도 블루 스테이트들이 주택 가격 통제가 더 안되는 게 같은 이유입니다. 그런 정책을 제발 따라 하지 말라는 거에요.

다주택자 관련 또 짚어야될게, 꼭 상급지 다주택자만 있던게 아닙니다. 지금 시장이 상급지 쏠림이 일어나면서 하급지 박살나는 이유는 상급지 갈아타기 할 때 기존 주택 매도가 사실상 반 강제이기 때문이에요. 상급지 매수 = 하급지 매도 로 즉시 치환됩니다. 부동산 같이 사거ㅣ고 팔기가 편하지 않은 시장에 버퍼가 전혀 없어요... 그래서 하급지 일수록 기한 내에 매도해야되는 급매 비율이 높아지고 하방압력을 끝없이 받아요...
바람돌돌이
25/10/09 09:56
수정 아이콘
원인 결과를 뒤집어 놓고 있는거죠. 가격 통제가 안되서 수요를 억제하는 겁니다. 블루스테이츠가 대도시이고, 이민자들이 많이 오고, 신규수요가 큰 도시일 뿐이고, 공화당원들이 사는 시골은 부동산 수요자체가 별로 없어요.
몽키매직
25/10/09 09:59
수정 아이콘
??? 레드스테이트도 대도시 들이 있습니다. 텍사스도 도심 가격은 많이 오르긴 했습니다만 샌프란 등 블루스테이트 도시에 비하면 훨씬 양반입니다. 어설프게 건드리려다가 조진 케이스들이 맞아요. 그짝 동네도 우리와 똑같은 진통 겪었습니다. 그런 식으로 렌트컨트롤 하면 집값 통제 안된다 경고하는 사람들 무시하고 규제 진행했고 결과는 동일하죠.
유동닉으로
25/10/09 10:0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텍사스는 레드 스테이트중에서도 소득 최상위권이잖아요. 일자리도 몰리고 자원도 풍부하고 한국은 지금 서울 노도강만 해도 집값 안 오른다고 아우성이던데요. 다주택자 규제 풀어도 서울 상급지/하급지에서 버퍼 일어나면서 서울 상급지의 가격이 떨어지고 서울 하급지의 가격이 오르는 효과는 있어도 지방 아파트가 살아날 거 같지는 않은데요.
몽키매직
25/10/09 10:08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텍사스 도심이 서부 캘리포니아 도심보다 상승은 했을 지언정 정도가 덜하다고요.
결국 규제를 한 쪽과 안 한 쪽을 비교하는 거지 않습니까.
유동닉으로
25/10/09 10:09
수정 아이콘
몽키매직
25/10/09 10:12
수정 아이콘
뛰었죠. 제가 아니라고 했나요? 서해안 la 나 샌프란시스코와 비교하면 양반이라고 얘기한 건데요...
유동닉으로
25/10/09 10:18
수정 아이콘
몽키매직 님// LA 는 원래 많이 비쌌지, 코로나 시기에는 오히려 그렇게 많이는 안 올랐을 걸요
카레맛똥
25/10/09 09:40
수정 아이콘
지금 가격 오르는게 결국엔 똘한채 메타, 갈아타기 수요 때문인데 정부 정책은 엉뚱한 곳을 짚고 있으니 시장 참여자들 입장에선 불안감과 문재인 정부의 헛발질을 반복한다는 학습 효과 때문에 패닉 바잉 하는 경향도 큰거 같습니다.
25/10/09 09:40
수정 아이콘
규제때문에 오른다고 하는데 막상 규제가 풀려서 시작한 상승장이죠.
카레맛똥
25/10/09 10:30
수정 아이콘
오세훈이 토허제로 군불떼고 계엄 이후에 민주당 정권에 대한 예측심리로 오른 부분도 있죠.
그러나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에 정책 효과들도 무시 못한다고 봐요.
바람돌돌이
25/10/09 09:41
수정 아이콘
그래프보면, 2023년 이후로 상승률은 그대로 입니다. 신정부가 뭘 해서가 아니라 이전 정부가 풀어놓은 것들이 지속되고 있는 거죠.
25/10/09 09:42
수정 아이콘
이때도 지적하던 거였죠. https://pgr21.net/freedom/99470
공포의 Reviewer 2
25/10/09 09:50
수정 아이콘
분명 반포랑 잠실이 이렇게 탑클래스는 아니었는데 언젠가부터 한강뷰 프리미엄까지 붙으면서 천상계로 가버리네요. 선택을 잘못한 죄!가 너무 큽니다 ㅠㅠ
조랑말
25/10/09 10:01
수정 아이콘
'전고점보다 낮으므로 아파트 가격이 많이 상승한게 아니다' 라는 논리는 얼핏보면 타당해보이지만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그리 와닿지 않는 표현입니다. 문재인 정부 전고점이 말도 안 되는 수준이었는데 다시 거기까지 쫓아가는 상황입니다.

저희집도 얼마전에 전고점 뚫었는데 제가 가고 싶은 동네는 천상계로 달아나네요...광장, 상수도 다 20억이 넘어버렸습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10:06
수정 아이콘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내가 살때는 최저점, 내가 팔때는 최고점이어야 되니까요. 금리가 아직 3.5%대인데, 이게 2.5%가 되면 더 올라가겠죠.
조랑말
25/10/09 10:10
수정 아이콘
투자 논리가 아니라 정말 '집이 필요한' 의미의 실수요자입니다. 노도강은 아직 싸다고 주장하시는 분이 몇 분 계시던데 부동산 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세대가 보기에는 대단히 부담스런 가격이죠. 미미삼이 아니여도 5~6억대인데 이거 문재인 집권 전에는 2~3억 하던 매물들입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10:12
수정 아이콘
거의 10년 전과 비교하면, 그때보다 소득이 2배가까이 늘었는데, 집값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죠. 부동산은 원래 신규진입할 때 부담스럽습니다. 갈아타기할 때도 부담스럽구요.
조랑말
25/10/09 10:15
수정 아이콘
소득이 2배 이상 늘었다는게 어떤 기준인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우리회사 신입 연봉이 1억은 안 넘어서요.
바람돌돌이
25/10/09 10:20
수정 아이콘
저희 회사 신입들 연소득이 2배쯤 늘었거든요. 그런데도 다른데 비해서 작다고 불만이 많더군요. 2015년에 4-5천정도였던 것 같은데, 지금 7-8천 정도 되던데요.
25/10/09 10:29
수정 아이콘
신입들 단순 근로소득이 7-8천이란 말씀이신가요? 그건 일반적인 예로 들기엔 최고 수준의 엘리트 직장같습니다.
조랑말
25/10/09 10:32
수정 아이콘
4~5천에서 7~8천이면 2배가 아닙니다.
2015년 당시 4천이면 엔트리급 대기업으로 보이는데 그 집단이 대한민국 전체 소득증가의 바로미터라 될 수는 없고, 바람돌돌이님께서도 상식적으로 잘 알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집값이 3배 늘었다고 주장하면서 10년 전 그라시움 6억 시세 들이밀면 동의 안 하실거잖아요. 본문에서 '전체적으로 볼 때 부동산 폭등은 아니다' 라고 주장하시면서 댓글로 '우리회사 신입 보면 소득 2배 증가함' 이라고 하시는건 솔직히 악의적인 논점흐리기로 보일 지경입니다. 물론 민주당정부 지지자로서 왜 그런 스탠스를 가지시는지 이해는 합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10:37
수정 아이콘
조랑말 님께서 '우리회사 신입'을 기준으로 하셨잖아요? 그 기준을 제가 말한게 아니죠. 집을 살만한 경제력을 가진 사람들의 소득이 크게 증가했고, 소득 뿐만 아니라 그 계층은 자산도 크게 늘었죠. 중위 소득으로 따져도 10년이면 40%가까이 늘었습니다. 소득 증가율보다 자산증가율이 큰건 저금리 상황에서 당연한거죠. 돈이 돈을 벌게하라는 말이 나오는게 그래서인데요.
조랑말
25/10/09 10:51
수정 아이콘
아뇨 바람돌돌이님께서 '소득 2배 늘었다' 고 주장하셔서 당장 우리회사만 봐도 아닌데? 한겁니다. 본인께서 최초에 주장하신 소득 2배 늘었다의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셔야죠.

소득 증가를 주장하시다가 자산 증가로 슬쩍 말 바꾸는건 주장의 신빙성을 약화시킬 뿐입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10:56
수정 아이콘
조랑말 님// 자산이 소득을 만들어내니까요. 뭐 됐습니다. 제가 말하는 바를 이해하는 분은 이해하실 거고, 맞다 틀리다를 따질거면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 주택을 사는 수요자들의 소득을 의미하고자 했는데, 제가 너무 간단하게 써서 그런 것 같네요.
달푸른
25/10/09 11:29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저희 회사 신입들 연소득이 2배쯤 늘었거든요. 그런데도 다른데 비해서 작다고 불만이 많더군요. 2015년에 4-5천정도였던 것 같은데, 지금 7-8천 정도 되던데요.] 라고 써놓으시고선 이런 식으로 말을 돌리신다고요? "저희 회사~ 다른데 비해서 작다~"라는 식으로 대놓고 근로 소득 뉘앙스로 적으셨잖아요. 그냥 잘못 썼다고 인정하고 수정하심 될일 아닌가요? 괜한데에서 오기를 부리시네요.
새벽바람
25/10/09 10:38
수정 아이콘
정출연같은 경우 박사 신입 기준 5500에서 6500으로, 20프로도 안올랐습니다... 좋은 곳 다니시는 것은 알겠지만 너무 잘 나가는 곳의 극단적인 예를 가져오신게 아닐지요...
25/10/09 10:32
수정 아이콘
최저시급이 10년전보다 딱 2배되긴 했습니다. 통화량도 2배정도 늘었더군요.
25/10/09 10:39
수정 아이콘
1인당 gdp로 봐야지 최저시급가지고 집살게아닌데 의미가없죠
바람돌돌이
25/10/09 10:43
수정 아이콘
gdp는 개인 소득과 별 상관이 없습니다. 대만이 1인당 gdp가 우리나라랑 거의 같은데 월급은 절반 조금 넘죠.
25/10/09 10:44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 근로자 평균급여가 10년 사이 2배가되었다는 근거부탁드립니다 최저시급으로 집살거아니니 최저시급말구요
바람돌돌이
25/10/09 10:47
수정 아이콘
자경 님//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1343 고가 주택을 사는 주 소비자인 의사들 소득이 2배가 올랐습니다.
제가 대한민국 근로자가 10년새 평균급여가 2배가 되었다고 했습니까?
괜히 이런거 따져봐야 의미 없으니 그냥 2배가 안되었다고 합시다. 제가 틀렸네요. 이제 되셨나요? 그게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소득이 크게 늘었습니다. 그리고 자산가격도 크게 늘었습니다. 100%인지, 70%인지가 중요하신건가요?
25/10/09 1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바람돌돌이 님// 중위소득으로 따지면 40~50프로쯤 상승했는데 그걸 100프로상승이라고 거짓말을하는데 그걸지적을 안해요?그리고 고가주택을 의사만사는게아닌데 의사소득 증가글 들고오는건 대놓고 호도하는겁니까? 진영논리면거짓말대놓고하고 음모론타령해도되나요?
그리고 그렇다치긴뭘쳐요 소득이 10년간 2배가까이 됐다매요
유동닉으로
25/10/09 10:50
수정 아이콘
자경 님// 억대 연봉자들 비율은 확실히 3배 정도 늘긴 했습니다. 평균 연봉은 말씀하신 정도로 한 50% 정도 는 거 갖고요.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09/2015120902608.html
http://klsi.org/bbs/board.php?bo_table=B03&wr_id=2631#:~:text=%5B%EC%9D%B4%EC%8A%88%ED%8E%98%EC%9D%B4%ED%8D%BC%202025%2D05%5D%EA%B7%BC%EB%A1%9C%EC%86%8C%EB%93%9D%20%EC%B2%9C%EB%B6%84%EC%9C%84%20%EC%9E%90%EB%A3%8C%20%EB%B6%84%EC%84%9D(2015~23%EB%85%84)%EF%BB%BF%EC%9E%91%EC%84%B1%EC%9E%90:%20%EA%B9%80%EC%9C%A0%EC%84%A0%20(%ED%95%9C%EA%B5%AD%EB%85%B8%EB%8F%99%EC%82%AC%ED%9A%8C%EC%97%B0%EA%B5%AC%EC%86%8C,%EC%9D%B4%EC%83%81%EC%9D%B4%EB%A9%B4%20%EC%83%81%EC%9C%84%201%25%2C%201%EC%96%B5%201200%EB%A7%8C%EC%9B%90%20%EC%9D%B4%EC%83%81%EC%9D%B4%EB%A9%B4%20%EC%83%81%EC%9C%84%E2%80%A6
조랑말
25/10/09 10:53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의사가 부동산 시장의 주소비자인가요? 주택매수자 중 의사직군 비중이 도대체 몇 프로이길래 그런 주장을 하실까요?


소득이 2배 늘어서 집 값 2배 늘어난게 당연하다고 주장하셨잖아요. 그래놓고 이제와서 '의사 소득 2배다', '우리 회사 신입 연봉 2배다' 하시니 웃음이 나오죠. 본문에선 서울 전역 그래프 나래비 하시다가 소득은 선택적으로 가져오시니...
25/10/09 10:55
수정 아이콘
유동닉으로 님// 제가알기론 1억이상 받는사람 숫자가 10년새 2배좀 넘었을겁이다 근데 제가지적한건 10년새 소득이 2배되었다는건 걍 대놓고하는 거짓말이라는겁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10:57
수정 아이콘
조랑말 님//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353464 그렇다는 말은 여기저기서 많이 나옵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10:58
수정 아이콘
자경 님// 옳은 지적을 하셨습니다. 훌륭하네요.
유동닉으로
25/10/09 11:00
수정 아이콘
자경 님// 그 1억 이상 받는 사람이 2015년에 2.5% 수준인데 지금 8% 가까이 되어서.. 바람돌돌이님이 말씀하신 처음 표현 자체가 본인들 신입연봉이 2배 뛰었다 였는데 돈 많이 받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다는 문맥에서 말씀주신 거면 대충 일맥상통하고 평균 연봉이나 소득 자체가 2배 되었다는 틀린 문장이 맞긴 합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4449
조랑말
25/10/09 11:01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링크해주신 기사에 제시된 '고소득 전문직의 주택구매 유형' 은 제가 여쭤본 '주택매수자 중 의사직군 비중이 얼마나 되느냐' 에 대한 답이 전혀전혀 될 수 없습니다.
25/10/09 11:03
수정 아이콘
유동닉으로 님// 처음표현이 10년사이소득 2배가까이입니다 처음 댓글타래보고오세요
조랑말
25/10/09 11:04
수정 아이콘
유동닉으로 님//

신규진입자에게 부담스럽다는 주장에 반론으로 제기된거라, 틀린 문장으로 보입니다.

[거의 10년 전과 비교하면, 그때보다 소득이 2배가까이 늘었는데, 집값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죠. 부동산은 원래 신규진입할 때 부담스럽습니다] 가 원댓글입니다. 의사소득, 1억이상 급여소득자 비중이 2배 늘었으니 부동산도 2배 뛰는게 맞다고 주장을 바꾸긴 했는데 이것도 그리 설득력 있어 보이지는 않네요
바람돌돌이
25/10/09 11:05
수정 아이콘
조랑말 님// 그러세요. 의사가 아니라 전문직이라고 바꾸면 되요?
바람돌돌이
25/10/09 11:05
수정 아이콘
자경 님// '주택을 매수자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10년 사이소득이 2배 가까이로 바꾸면 되겠어요?
25/10/09 11:06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근거를 가져오셔야죠 또 의사 전문직운운할거같은데 그사람들만 집사는게 아닌데 그건 아예틀린말이구요
바람돌돌이
25/10/09 11:09
수정 아이콘
자경 님// 근거는 시장에 도는 소문입니다. 됐나요?
25/10/09 11:10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예 근거가 빈약하군요
조랑말
25/10/09 11:10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돼요.
달푸른
25/10/09 11:31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와.. 이 댓글은 그야말로 짜치는군요...
그냥 본인 주장의 근거가 부족함을 솔직히 인정하는게 그리도 어렵나요? 본인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 같아요? 어휴...
25/10/09 10:40
수정 아이콘
말도안되는 소리하시네요 2015년 2025년1인당 gdp는 보고하시는말씀이신가요?
+ 25/10/09 12:35
수정 아이콘
20억 살고 싶은 실수요자...
맞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실수요자와는 거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본문에서 말하는 대상과는 거리가 있을거구요.
아웃라이어에 가깝겠죠.
조랑말
+ 25/10/09 13:01
수정 아이콘
20억대 집은 제 얘기입니다(그리고 못 삽니다. 살고 싶을 뿐...)

서울 노도강 4~5억짜리도 실수요자에게는 충분히 무겁고 부담되는 가격이라는 의미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5/10/09 13:25
수정 아이콘
"실수요자" 라면 그 가격으로 대출 받아서 살 수 있지 않나요?
뭐 옛날 생각하면 당연히 못 사는 겁니다만... 그런 생각 하는 사람은 어차피 못 살테니 실수요자에서 빼야죠.
물가가 떨어질 일은 없으니 오른 가격을 받아들여야죠.
조랑말
+ 25/10/09 13:27
수정 아이콘
매수 가능합니다.

댓글 타래 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살 수 없다' 가 제 주장이 아닙니다. 글쓴이께서 주장하신 '아파트 가격 별로 안 올랐다' 가 실수요자 입장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소리라는게 제 의견입니다.

탐랑님 말씀대로 오른 가격을 받아들여야죠. 제가 지적한 부분은 '부동산 안 올랐다' 라고 주장하는 부분입니다.
25/10/09 10:09
수정 아이콘
주식은 등락이 심하고 가격이 싸서 지금이라도 사면 되는거고, 부동산은 그게 안되니까요. 둘을 동일하게 비교할 순 없을거 같습니다.
집값이 이번정부 들어서 확연히 올랐는가? 에 대해서는 좀 지켜봐야겠네요.
비공개
25/10/09 10:10
수정 아이콘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으니 난리인 거겠죠.

서울의 50프로에 달하는 무주택자, 상대적으로 자산이 작아진 지방 유주택자 등

본인들 처지에 맞는 나홀로아파트, 빌라는 충분히 접근 가능한데 집값 문제라고 하는 건 그냥 배아파리즘이 가장 크다고 봅니다.
조랑말
25/10/09 10:12
수정 아이콘
무주택자 입장이었던 저로서는 배아파리즘이라는 말이 대단히 불쾌하게 들리긴 합니다. 절박한 생존의 문제였고 얼마나 좌절했는데요. 니 처지에 맞는 나홀로아파트, 빌라나 살아라가 솔루션인건 좀 악의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물론 비공개님께서 그런 의도를 갖고 작성하신 댓글은 아니겠습니다만, 단순히 배아파리즘의 문제로 보실건 아닙니다.
Quantumwk
25/10/09 1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댓글이 표현한 '배아파리즘'에 입각한 정책을 가장 적극적으로 밀어 붙이던게 민주당 정권과 그 지지자들이었는데 이제 이쪽에서 '이런거 가지고 민주당 비판하는 건 배아파리즘 아니야?'라는 얘기가 나오는 군요.... 기본적으로 진영논리에 입각한 방어이지만 그래도 이런식의 얘기가 무려 '민주당 및 그 지지자들'로부터 나올 수 있다는 거 자체가 우클릭한 영향일수도 있고 민주당과 그 지지자들이 이제 기득권화가 되었다는 반증일 수도 있긴 하겠네요.
비공개
25/10/09 11:05
수정 아이콘
저는 남의 자산 가격 잡히길 바라는 심보가 더 악의적으로 느껴지네요.

반대로 니 월급 반토막났으면 좋겠어라던지 니가 갖고 있는 노도강 구축아파트도 너무 고평가야 30프로 정돈 더 빠져야 해 그게 사회 정의지라고 하면 기분 나쁠 거잖아요.

생존의 문제라면 사실 상급지 아파트 가격보다 전월세 가격이 문젠데 전세 죽이기 똘똘한 한채로 전월세 공급자인 다주택자도 죽였고 토건족 찾으면서 공급까지 막아버렸으니 서민들 생존권이야 말로 대위기네요. 모든 정책 방향이 주거비 상승이라 솔직히 이게 더 걱정입니다.
조랑말
25/10/09 11:10
수정 아이콘
문정부 시절 당시 무주택자 포지션이였어서 단순히 배아파리즘으로 볼 게 아니다 정도의 스탠스입니다. 저도 퐁락이들 싫어하고 누가 우리집보고 고평가니 뭐니 하면 긁힐거 같아요ㅠ

서민들 생존권 위기에 깊게 공감합니다. 현금가치가 아무리 폭락한다지만 커피값 아껴서 지출 방어 최대한 해보려고 합니다.
미뉴잇
25/10/09 11:20
수정 아이콘
그냥 배아파리즘이 아니죠.
원래 나홀로아파트,빌라 살 정도인 사람이 갑자기 아파트를 보는 것도 아니고 분명 문재인 전에는
대기업 정도 다니고 노력하면 대출 받고 해서 서울 아파트 충분히 입성 가능했는데 폭등시켜놓고는
'배아파리즘이다!' '니들 처지에 맞는 나홀로 아파트 알아봐!' 이러는거에요
비공개
25/10/09 11:37
수정 아이콘
문정권때 폭등이 지지자들의 배아파리즘에 화답한 결과죠. 규제 나올 때마다 물개박수치던 지지자들이 아직도 생각나네요.
+ 25/10/09 12:17
수정 아이콘
엠팍의 전설로 남은 이고상 그분은 어찌되었을런지...
25/10/09 10:21
수정 아이콘
아직 정권초인데 집값을 잡을 거라는 기대감은 지지자들도 없나 보군요.
다들 폭등 예상하고 있나 봅니다.
Quantumwk
25/10/09 10:23
수정 아이콘
문재인때 괜히 집값 잡는다고 하다가 지지율 날리고 정권도 내준 경험이 있어서 '서울-수도권 상급지는 어쩔 수 없는거다. 이런거 가지고 민주당한테 불만가지지 말고 꼬우면 주식해라'라는 논리로 가는 듯 합니다. 정치적으로는 더 영리한 접근은 맞는데 이런 논리가 민주당과 그 지지자들로 부터 나온다는 거 자체가 좀 재밌고 신기하긴 하네요.
25/10/09 10:26
수정 아이콘
지난 몇년간 규제를 해제할 때 이미 상승장 오겠구나 예상하고 있었는데요. 금리 상승장에서 주식 오르는 거랑 다른게 없죠. 규제가 바뀌고 금리가 올라서 환경이 바뀌기 전까진 상승세는 이어지겠죠.
일각여삼추
25/10/09 10:42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러기에는 배당소득세 감세부터 잡음이 너무 많았아서 유능한(?) 행정가(?) 가면은 많이 벗겨졌다고 봅니다.
여수낮바다
+ 25/10/09 13:27
수정 아이콘
대장동 말아먹고 백현동 말아먹고 그것만으로도 꽤 무능한데 말이죠

그냥 유능호소인 같아요
25/10/09 10:30
수정 아이콘
2017년에도 강남집값만 오른다로 시작했는데 결국 전국이 다 올랐죠. 2025년이후는 어케되는지 궁금하긴합니다. 시즌2일지 아닐지
카레맛똥
25/10/09 10:34
수정 아이콘
집값 올리는 주체가 갈아타기 수요자들이라 사실 어느정도 퍼지긴 할겁니다.
강남이 오르면 잠실이나 반포에서 갈아타려는 사람들도 자기 매물 올리고 그 밑에 마포 성동에서 잠실 반포 가려는 사람들도 덩달아 올리고 또 그 밑에서 마포 성동 가려는 매물도..
이게 해소되려면 정부에서 이리이리 공급해 줄테니 조급해 말아라 라는 확실한 시그널이 있어야 되는데 아직 정책적으로 잡을 수 없는 수요만 잡으려 하고 공급 시그널이 없으니 불안심리도 커지는 듯 싶어요.
일각여삼추
25/10/09 10:44
수정 아이콘
기본주택인지 임대주택을 공급해준다고 하는데 국민이 설국열차 꼬리칸 주민들인지 아나 봅니다. 수요분석이 전혀 안 돼요.
25/10/09 11:44
수정 아이콘
임대주택 공급 이야기 나올때마다 하는 이야기지만 그래서 그 임대주택을 55m^2이나 59m^2로 공급이 가능하겠냐가 문제죠. 저게 방3화2 나오는 사이즈 최소선이라...그걸 10만단위로 공급이 가능하다면야 잡을수 있겠는데 실현가능성은 뭐...
일각여삼추
25/10/09 10:30
수정 아이콘
벌써부터 부동산 방어글 여러개 올라오는거 보니 앞으로 올 폭등이 무섭긴 한가 봅니다. 너무 걱정 마세요. 이제 서울 몇몇만 오릅니다 하고 쉴드를 못 칠 정도로 수도권 상급지 전체로 불씨가 옮겨붙을겁니다.
Quantumwk
25/10/09 10:33
수정 아이콘
민주당 집권 20년 준비한다는 얘기가 돌정도의 상황에서 윤석열같은 사람에서 정권을 내주게 된 가장 큰 원인이 부동산이니 선제적으로 여론전을 펼치려는 듯 합니다. 그래도 문재인때보다는 논리가 차라리 낫긴 합니다. 정책기조는 여전히 비슷하지만.... 근데 이런 논리가 민주당 및 그 지지자들로부터 나온다는게 놀랍고 재밌긴 합니다.
25/10/09 10:36
수정 아이콘
대출 규제 풀면 금리 인하 기조와 맞물려서 폭발할 것은 자명한데 규제 때문에 오른다고 주장하니 그렇죠. 규제 때문에 오른거면 토허제 해제 했으면 내려갔어야 하는데 말이죠.
일각여삼추
25/10/09 10:38
수정 아이콘
네, 그런 생각으로 규제 안 풀어서 결과가 빨리 나오면 좋겠네요. 다행히도 이 정책에 대한 채점표는 몇 년 안 걸려서 나옵니다.
25/10/09 10:41
수정 아이콘
막상 규제 해제할 때 다시 올 상승장을 경고하면 다들 조용하더군요.
일각여삼추
25/10/09 10:43
수정 아이콘
윤석열은 국회 때문에 규제 제대로 풀지도 못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주택임대사업자 관련은 법률사항이라 제대로 건드리지도 못했어요.
25/10/09 10:43
수정 아이콘
막상 풀 수 있는 규제는 다 풀었다고 생각하는 데요. https://pgr21.net/freedom/99470
일각여삼추
25/10/09 10:45
수정 아이콘
아뇨 재건축초과환수제도 못 풀고 재개발도 못 풀고 뭘 풀었다는건지...
25/10/09 10:46
수정 아이콘
언제 될지도 모르는 재개발보단 세금이나 대출이 훨씬 큰 규제이죠.
일각여삼추
25/10/09 10:47
수정 아이콘
winpark 님// 대출 잠시 풀고 거래 제대로 활성화되기 전에 탄핵됐어요. 거래량 보면 아실 겁니다. 그리고 이재명 되고 나서 바로 묶었잖아요. 탄핵된 12월 이후에 오히려 많이 올랐습니다.
25/10/09 10:48
수정 아이콘
탄핵되었어도 해제된 규제가 효과를 보려면 1년은 걸리니 그렇죠. 전세나 대출 세금 등이 일단위로 하는 것도 아니구요.
25/10/09 10:4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미 상승세는 23년부터 지속되었는데요.
바람돌돌이
25/10/09 10:49
수정 아이콘
그냥 그래프 보세요. 윤석열 때 떨어지고 윤석열때 올라서 그대로 가고 있습니다. 그나마 미국이 5%넘는 고금리였는데, 이젠 3%대로 가니까, 저금리로 갑니다. 더 오를 겁니다.
일각여삼추
25/10/09 10:50
수정 아이콘
winpark 님// 기울기를 말한건데요. 저는 탄핵 되자마자 사고 싶은 지역 째려봐서 잘 압니다. 2-3억이 우습게 올라갔습니다. 이재명 효과죠.
25/10/09 10:51
수정 아이콘
그런 식이면 그 난리에서 탄핵으로 정리되면 무슨 자산이든 오를만 한데요. 주식이나 환율도 영향 받았었구요.
바람돌돌이
25/10/09 10:52
수정 아이콘
일각여삼추 님// 그러니까, 누가 원인이고 인과가 어찌되는지 명확한데 이재명이 효과를 내기에는 너무 이르지 않아요?
25/10/09 10:52
수정 아이콘
그리고 부동산이 단기간에 추세가 바뀌는 것도 아니고 길게 보셔야죠. 주식이면 모를까
일각여삼추
25/10/09 10:54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아뇨 저도 이재명 될 게 확실해지자마자 갈아타야겠다고 마포 째려봤는데 수십년 학습효과를 가진 사람이 저밖에 없을 리는 없죠.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바람돌돌이
25/10/09 10:59
수정 아이콘
일각여삼추 님// 그러면 탄핵되기 전에 사면 좋았겠네요. 재밌는 이야기네요. 이재명이 당선되기 전에 이재명 효과라고 하니.
일각여삼추
25/10/09 10:59
수정 아이콘
바람돌돌이 님// 자산 정리하느라 시간 걸려서 놓쳤습니다. 아디오스! 민주당 정권 들어서기 직전에 현금화해놔야 한다는 천금 같은 교훈을 얻었습니다. 시간 1년은 줄 줄 알았는데 반 년도 안 주더라고요.
바람돌돌이
25/10/09 11:07
수정 아이콘
일각여삼추 님// 탄핵되고 대선까지 2달이 있었는데요? 탄핵 되고 올랐는데, 12월 계업때 바꿨어야 되지 않겠어요?
25/10/09 10:44
수정 아이콘
하고 싶으신 건 시행령으로 다 했는데 말이죠.
25/10/09 10:47
수정 아이콘
다들 전문가는 아니니 같은 단어도 의미를 혼용해서 쓰고 헷갈리기도 해서 그렇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대출규제를 지금 풀면 단기간 가격은 급등합니다. 댐으로 물을 막았다가 터트리는 것과 같죠. 대출규제, 취득세 등의 수요측에 대한 규제는 금리 급등기인 22년에 푸는게 맞았고, 토허제도 풀고 임대차 3법도 개정했어야 했습니다. 댐을 철거할거면 물이 적을 때 하는건 상식이죠.

규제 때문에 오른다에서 규제에 해당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공급규제 입니다. 공급규제가 10여년간 에스컬레이션 되면서 강화되고, 공사비도 증가하는 요소만 늘어나니 공급량이 줄어드는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죠.

규제 때문에 오른다는 것은 1. 가격 하락기에 규제를 해제하지 않아서 상승기에 쓸 카드가 적다는 의미, 2. 공급을 제한하는 규제.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네요.
사상최악
25/10/09 10:40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잡을 수가 없습니다.
여수낮바다
+ 25/10/09 12:13
수정 아이콘
우파 때마다 잡히거나 물가상승률 수준으로 오르고, 좌파 때마다 폭등한지 30년이 넘었습니다

(민주당은) 부동산은 잡을 수가 없습니다
유동닉으로
+ 25/10/09 13:49
수정 아이콘
우파 때마다 한국은 심각한 경제/정치적 위기를 겪었으니 그런 거 아닐까요?
다람쥐룰루
25/10/09 10:43
수정 아이콘
비싼 집이야 100억에 거래하든 1000억에 거래하든 그사람들 맘이죠 세금이나 다 내라고 하면 됩니다.
강남에서만 출퇴근이 가능한 직장이라는건 없고 굳이 서민들이 그 아파트 사고파는걸 쳐다볼 이유도 없다고 봅니다.
그냥 3기신도시나 제대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25/10/09 11:31
수정 아이콘
3기신도시는 기대하시면 안 되는게 이번에 민간 토지매각 없이 전부 LH 시행으로 바꿨어요. 근데 21년에 투기 이슈로 LH 직원 감원을 시행했죠. 일할 직원은 줄었는데 일감을 몇배로 늘려서 제때 제대로 지어진다는 보장이 없어졌어요.
일각여삼추
+ 25/10/09 12:14
수정 아이콘
가장 기대받던 교산신도시부터 유물 쏟아지는 중입니다. 지정 때부터 백제 유물 나올 거란 말이 많았는데 현실이 되었죠.

http://m.hanam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65
다람쥐룰루
+ 25/10/09 12:19
수정 아이콘
뱍제 유물이 나왔으면 좋아할 일이라고 봅니다
집값을 위해 백제유물이 안나왔으먼 좋겠다고 생각할사람은 없겠죠
일각여삼추
+ 25/10/09 12:23
수정 아이콘
백제 유물은 좋은 일이죠. 그런데 고고학계에서 뻔히 나올 거라고 경고한 지역에 신도시 지정을 한 정책당국자들은 족쳐야죠.
다람쥐룰루
+ 25/10/09 12:26
수정 아이콘
아니요
신도시 개발계획이 없었다면 그냥 묻혀있었을 가능성이 높은 유물이기때문에 저는 오히려 잘했다고 봅니다. 한번 파보는게 훨씬 좋은일이에요
일각여삼추
+ 25/10/09 12:27
수정 아이콘
무슨 소리죠. 유물을 파고 싶으면 탐사 계획을 세워서 파야지 그걸 파겠다고 신도시 지정을 해요? 신도시를 기다리는 국민을 우롱하는 짓입니다.
문재인대통령
+ 25/10/09 13:20
수정 아이콘
그냥.. 정부 쉴드치려고 우기다가 나온 소리에요..
25/10/09 10:49
수정 아이콘
주식이 50퍼 올라도 그 상승 자기 풀시드로 다 먹는사람은 드문데
부동산은 보통 자기 가용자산에 레버리지까지 다 땡겨서 깔고앉기 때문에 50퍼센트가 오르면 그 상승을 +a로 먹죠
그래서 투자 고수거나 근로소득이 아웃라이어인게 아니면 웬만한 사람들은 중급지 이상의 아파트들의 자산상승을 못 따라갑니다
그래서 예전에 접근가능했던 아파트들이 접근 불가능해지고 여기서 박탈감이 들게 되고
이게 내가 사는 집이 그렇게 안 올라도 부동산이 시끄러운 이유입니다. 인간의 상승욕구가 존재하는 한 항상 시끄러울거구요
이재명 정부가 딱히 뭘 해서 지금 집값이 오르고 있다기보다는 그냥 돈 풀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기조. 돈 푸는 세계 정세,
민주당 정부에 세번을 속지 않겠다는 대중의 인식, 거기에 전혀 현실적이지 않아보이는 공급대책이 합쳐져서 집값을 올리고 있는걸로 보입니다.
대중의 인식이라는건 진짜 안 바뀌어요. 몇번의 상승장을 거치면서 부동산은 대한민국에서 신이 됐고.
이걸 바꾸려면 부동산에 대해서 상당히 전향적인 입장을 취해야 될 텐데 이재명 정부가 딱히 그러지도 않았고 앞으로 그럴 것 같지도 않습니다.
바람돌돌이
25/10/09 10:50
수정 아이콘
'민주당 정부에 세번을 속지 않겠다는 대중의 인식', '공급대책' 둘 다 아직은 가격 상승과 별 상관 없습니다. 한강 벨트 위주로 오르고 있어요.
25/10/09 10:52
수정 아이콘
그 한강벨트를 올리는게 영끌이든 뭐든 해서 매수가능한 사람들의 FOMO고 이 사람들에게 "민주당 정부"는 초침 단위로 다가오는 압박입니다. 제가 매수대기자라서 알아요
+ 25/10/09 12:02
수정 아이콘
그냥 눈가리고 아웅을하세요 크크 한강벨트 위주의 똘똘한 한채가 왜오르나요? 진짜 민주당 수호신 납셨어요
여수낮바다
+ 25/10/09 12: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노무현 때도 문재인 때도, 강남만 오르다 버블세븐처럼 좀 더 넓게 오르다 서울 전체 오르고 경기도 오르고 했어요

민주당의 정책 방향이 문제입니다

주식도 호재가 있으면 그게 구체화 되기 전에 미리 다 오르는데
왜 부동산은 아닐 거라 보십니까?

민주당이 집권할 거야! 가 이미 강력한 상승 요인입니다
실수요자 입장에서 얼마나 공포스럽겠어요? 또 문재인처럼 말아먹으면 내집마련을 못하고 벼락거지 될텐데

그러니 빨리 사야죠. 이재명 집권예상시점부터 바로. 
반도체 오를 거라 예상하면 삼전 하닉 사는 거고
민주당 집권 예상되면 부동산 사야 하는 겁니다
일각여삼추
+ 25/10/09 12:33
수정 아이콘
경부선 따라 분당, 광교, 동탄도 오르고 있는데요?
25/10/09 10:49
수정 아이콘
추석연휴 끝나고 주담대 제한 4억 이야기가 있던데...허허허
일각여삼추
25/10/09 10:52
수정 아이콘
인생에 도움이 안 되는 분들입니다. 갈아탈려고 하면 귀신같이 규제하네요.
미뉴잇
25/10/09 11:2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문재인 때 규제로 시장을 망쳐놓고서는 아직도 저러고 있네요.
신천지는누구꺼
25/10/09 11:07
수정 아이콘
알앤디 복지 국방예산 공무원 임금까지 모두 예산 올려주는 대통령.

다른 대통령들이 바보라서 못올린게 아닌데

아무튼 예산 올리면 역시 정부 일 잘한다 인식.

예산 자르면 정부 일 못한다 인식

국민들이 고쳐야합니다.
25/10/09 11:08
수정 아이콘
음...프랑스의 사례를 보면 그게 되려나요? 구제금융같은 충격이 오지 않는 한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25/10/09 11:34
수정 아이콘
재정 아껴썼던 대통령들은 전부 감방갔는데
돈 펑펑 쓰고 국가부채 역대급으로 폭등시킨 대통령은 지금까지 잘사는거보면
사실 그게 답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영혼의 귀천
25/10/09 11:40
수정 아이콘
허~ 누가 보면 재정아껴 써서 감방간 줄 알겠네요.
coffeetea
25/10/09 11:46
수정 아이콘
와... 이정도면 정치에 너무 과몰입 아닌가요...
우유크림빵
+ 25/10/09 13:06
수정 아이콘
지금껏 감빵 간 대통령 중 재정 아껴쓴 죄로 감빵 간 사람이 있었나요? 이건 대체 무슨 앞뒤 안 맞는 뻘소리인지...
정 주지 마!
+ 25/10/09 13:13
수정 아이콘
진짜 골때리는 댓글이네요. 크크. 그렇게 알뜰하게 나라 생각한 분들이었군요. 
+ 25/10/09 13:27
수정 아이콘
재정 아껴 쓴... 누구요?
네버로드
25/10/09 11:19
수정 아이콘
하도 부동산에 전국민이 관심이 많다보니까 결국 서울 집값 잡고 지방부동산 살리는 정답은 이제 다 알죠.
보유세 인상, 양도세 인하, 다주택자 규제는 폐지하고 주택 합산 가액으로 과세, 정부는 적절한 위치에 신축 공급
근데 이거하면 표 떨어지고 신축공급도 어려우니까 자꾸 뭐 딴 방법으로 해보려고 하는데 이제 사람들도 다 알아요 그렇게 해서는 어렵다는거
미뉴잇
25/10/09 11:23
수정 아이콘
참 답답합니다. 정치인들이 너무 정치를 근시안적으로 해요.
장기적인 안목으로 뭘 하고 이러는게 아니라 당장 자기 표 좀 얻을 수 있는 정책이면 돈이 얼마가 들던 하고
자기 표 잃을만한건 국민들에게 이득이 되더라도 하지 않죠. 우리나라가 못 살던 시절에 비해 지금 많이 발전했지만
정치인 수준은 오히려 퇴보한 것 같네요
우리아들뭐하니
25/10/09 11:26
수정 아이콘
표몰이에 미쳐서 시한부인 나라죠. 무주택인사람, 아픈사람, 지방 사람만 느낄 문제일꺼고 나머진 당사자가 되기전이면 먼이야기라 고칠의지도 없고 남탓만하니 이미 돌이키긴 늦었고 각자도생이죠. 베네수엘라가 주택가격과 주식이 몇만%올랐었다고 하더군요
25/10/09 11:26
수정 아이콘
뭐 근본적인 원인은 보유세에서 시작되는 거죠. 보유세가 충분히 높으면 세금 쪽은 규제를 풀어도 트레이드 오프가 충분히 되지만, 보유세 하나 올리는 데 저항이 커서 눈가리고 피해가는 거죠.
네버로드
25/10/09 11:33
수정 아이콘
보유세 올릴꺼면 근데 대신 취득세 양도세는 다 인하해주고 다주택자 중과세는 없애줘야죠. 문재인 정부는 불로소득은 안된다는 이상한 신념 때문에 모든 세금을 다 올려놓고 이상한 주택임대사업자만 풀어줘서 폭망했구요
일각여삼추
+ 25/10/09 12:29
수정 아이콘
문재인이 보유세 올려봤는데 실패했습니다.
+ 25/10/09 12:32
수정 아이콘
반발이 심하니 얼마 가지 못할 거라 다들 판단하니 실패한거죠. 그리고 효과를 볼 정도로 올리면 다시 돌릴려는 힘이 클거라 현실적으로 쓸 수 없는거다 봅니다. 결국 일관되게 정책이 시행되어야 효과를 발휘하는데 없어질 거라 생각하면 실패하는게 당연하죠.
일각여삼추
+ 25/10/09 12:34
수정 아이콘
일관되게 민주당한테 20년 집권을 시켜줘야 가능한 정책이라는 말인가요? 특정 정당의 사고 실험을 위해 이미 실패한 정책으로 국가 경제를 걸고 20년을 실험하라는 주장은 먹히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 25/10/09 12:36
수정 아이콘
정책의 효과를 보려면 일관되게 시행된다고 생각되는게 조건이니 그렇죠. 몇 년 안할 정책이면 시장에서 반응할까요?
+ 25/10/09 12:35
수정 아이콘
과장해서 10퍼씩 보유세 계속 낸다고 확신이 들면 누가 살까요? 결국엔 욕먹고 내릴 거라 생각하니 몇 년을 버티는 거죠.
일각여삼추
+ 25/10/09 12:39
수정 아이콘
10퍼면 그냥 재산몰수하는 법을 만들어서 뺏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위헌 나올 것 같기도 하고요. 2008년에 가구별 합산을 한 세율이 10%가 안 됐을 겁니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종부세를 둘러싼 가장 유명한 판결은 2008년에 있었다. 당시 헌재는 가구별 합산을 규정한 종부세법 규정들이 위헌이라고 판단했다. 결국 정부는 종부세법을 개정해 가구별 합산을 인별 합산으로 변경했고 해당 규정들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60117074170310
우리아들뭐하니
+ 25/10/09 12:47
수정 아이콘
10퍼는 말이 안되죠. 그냥 외국처럼 취득가에 1~2%하면됩니다. 같은집을 3억에샀으면 300만원 30억에 샀으면 3천만원 이런식이죠. 미국식이긴한데
+ 25/10/09 12:48
수정 아이콘
그래서 [과장해서]를 붙인거죠. 정책의 효과에 의문을 가지시니 비현실적인 예시를 쓴거죠.
우리아들뭐하니
+ 25/10/09 12:38
수정 아이콘
아뇨. 고가주택에 대한 패널티 식이아니라 전체 주택에 대한 취득가나 다른기준의 %로 하는식으로 단순화 해야죠. 고가에 대한 패널티만있으면 아래층의 주택을 패널티 직전까지올립니다. 그래서 당시 서울 아파트 가격이 특정가격까지 다 치솟았던거구요.
일각여삼추
+ 25/10/09 12:44
수정 아이콘
고가주택이라고 가격이 떨어지지도 않았습니다. 보유세만으로 부동산을 잡거나 유의미한 결과를 내는건 불가능합니다.
우리아들뭐하니
+ 25/10/09 12:49
수정 아이콘
저런정책은 유지못할꺼라 생각하고 버티는거죠. 워낙 복잡하고 정권마다 정권내에서도 고무줄같이 변하니 그냥 버티면 된다는걸 알아서그래요. 그래서 세금을 단순화해서 100년간 안변한다는 인식을 만들어야 효과가있죠.
일각여삼추
+ 25/10/09 12:51
수정 아이콘
왕정도 아닌데 100년간 안 변하는 세율을 어떻게 만드나요? 왕정이라도 왕 모가지 짜르고 바뀌기도 합니다.
우리아들뭐하니
+ 25/10/09 13:01
수정 아이콘
부가세 10퍼 이런건 잘안변하자나요. 그런 의미에요.
일각여삼추
+ 25/10/09 13:03
수정 아이콘
이미 정치적 화두가 되어 불가능한 이야기입니다. 부가세도 10%로 오래 유지돼서 가만히 있는거지 일본도 부가세 올렸다가 정권 뒤집혔어요. 자민당 집권 50년만인가 그랬을 겁니다.
우리아들뭐하니
+ 25/10/09 13:09
수정 아이콘
일각여삼추 님// 그래서 그냥 이대로 사는거죠. 의료도 연금도 이미 끝났고 죽은자는 말이 없으니 무관심하다가 자신한테도 닥치면 그냥 말없이 가면되는거죠..
우리아들뭐하니
+ 25/10/09 13:16
수정 아이콘
일각여삼추 님// 근데 50년이면 할만하네요. 같은 세율이 50년동안 안변한다? 불확실성이 줄어드는건 가격안정에 도움이되죠.
맥심골드
+ 25/10/09 12:15
수정 아이콘
양도세 취등록세 대폭 감면 다주택자 규제 폐지 다 풀어줘도 보유세 인상하면 개난리 칩니다.
장담합니다 크크크
네버로드
+ 25/10/09 13:42
수정 아이콘
당연히 주택보유자들은 세금 올리는데 난리 나겠죠. 그래도 정책의 방향 측면에서는 그렇게 하는게 논리적이라는 겁니다. 주택관련 모든 세금 다 올리면 그냥 집주인 너네들은 사회악이니까 세금 더내란거죠.
lifewillchange
25/10/09 11:22
수정 아이콘
이번 정부 인사들이 어디 아파트 샀는지가 궁금하네요. 문재인때는 리딩방 수준의 지역이었는데
미뉴잇
25/10/09 11:26
수정 아이콘
https://weekly.khan.co.kr/article/202510070700021
대통령실 고위공직자 3명 중 1명은 ‘강남 3구’에 부동산 보유

눈에 띄는건 강유정 대변인이 아크로리버파크 45평 소유자라네요
달푸른
25/10/09 11:35
수정 아이콘
한국 경제를 이끈다는 소위 F4들을 볼까요.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 서울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구 개포주공1단지)
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 - 서울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
이찬진 금융감독원 원장 - 서울 서초구 우면동 대림아파트 (x2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역삼래미안 (여긴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명했지만..)
25/10/09 11:39
수정 아이콘
다른 분들은 다 생각할 수 있는 범주 안인데 우면동 대림아파트 2채는 좀 신기하네요
럭키비키잖앙
25/10/09 11:42
수정 아이콘
자꾸 니들 눈이 높은게 문제다로 가르치려고 드네요.
자가 살 능력 없어서 전월세 사는 사람들도 많은데 부동산이 오르면 전월세 비용도 오릅니다. 
멀쩡히 오래 잘 살던 동네에서 먼 동네로 쫒아내놓고 능력도 없는게 좋은 동네 사려고 하는 니들 욕심이 문제다라고 하면 좋은 소리 못 듣겠죠? ^^*
+ 25/10/09 11:53
수정 아이콘
보아하니 또 실패하고 정권 내주겠네요.
+ 25/10/09 11:57
수정 아이콘
크크크 집값 내리길바라는 대다수 그 지지층들 바램과는 정반대로 민주당만 집권하면 폭등해서 와장창나는거 재미있긴함
김꼬마곰돌고양
+ 25/10/09 11:58
수정 아이콘
프레임이 너무 강하게 씌워졌네요.
그냥 윤정부 때 규제 풀어서 강남3구만 조용히 날아가게 하던게 나은거 같아요.
lifewillchange
+ 25/10/09 12:13
수정 아이콘
프레임이라기 보단 6.27 부동산 정책 나올때 모두들 예견하던 상황이었습니다. 이걸 정부도 모르진 않았을겁니다.
여수낮바다
+ 25/10/09 13:43
수정 아이콘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다 파멸적으로 오르고
김영삼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 다 내리거나 물가상승률 수준이라서


프레임이 아니라 그냥 팩트입니다
+ 25/10/09 11:59
수정 아이콘
그냥 이분은 전 댓글부터 집값상승은 환상이고 지금 니들이 집없는건 근성과 노력 및 저금이 부족하다고 하시던분이라 참 전형적인 영포티같은 사람이죠
lifewillchange
+ 25/10/09 13:06
수정 아이콘
순수하게 이분이 어디사시는지가 궁금하네요. 노력과 근성으로 어디까지 살수가 있는건지 알고 싶기도 하고
통합규정
+ 25/10/09 12:02
수정 아이콘
피지알 추석 특선 부동산 정훈교육이 끝나질 않네요.
일각여삼추
+ 25/10/09 12:11
수정 아이콘
연말까지 폭등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책임소재 회피 들어가야죠.
은여우
+ 25/10/09 12:16
수정 아이콘
며칠사이에 부동산 정훈 교육글이 몇갠가요 크크크
맥심골드
+ 25/10/09 12:18
수정 아이콘
서울주택의 과반수가 넘는 60퍼센트가 아파트이지만 사람들 기준에는 부족한거죠. 아마 100퍼센트가 되어도 부족할 겁니다. 왜냐면 급나누기는 영원히 끝나지 않거든요.
+ 25/10/09 12:19
수정 아이콘
정훈교육이란 용어도 원래 여권 지지측이 반대편 공격할려고 쓰던 단어인데, 다 이렇게 돌아오네요 또...
오라메디알보칠
+ 25/10/09 12:30
수정 아이콘
여기는 4050이 많죠. 솔직히 돈도 없던 20대 시절이면 모를까 이제 돈도 벌고 자산도 축적한 그들에게 서울에 아파트가 아닌 빌라 다세대는 쓰레기니까요. 아파트 올리게 땅집 내놓고 거기에 분담금 내고 들어갈 돈 없으면 빨리 팔고 어디 지방으로 꺼지라는거죠.
+ 25/10/09 12:39
수정 아이콘
뭔 세뇌하는것도 아니고 집값올라도 우리탓아니야를 몇번째보는건지원
루카와
+ 25/10/09 12:48
수정 아이콘
몇달간 조용하다가 아주그냥 신나서 다 나오네요. 몇년전 대선때보는거같습니다. 지령이라도 받은건가?? '김건희 안 뽑아요~'
카레맛똥
+ 25/10/09 12:52
수정 아이콘
이런 댓글도 멀리서 관조하면 김어준 지령 받은것 처럼 보입니다
일각여삼추
+ 25/10/09 12:53
수정 아이콘
가까이서 봐도 그런 것 같습니다.
루카와
+ 25/10/09 13:16
수정 아이콘
네임드분들 다 잠수탔을땐 그립더니 막상 활동하는거보니 보통짜증이 아니네요 열심히 하세요~
일각여삼추
+ 25/10/09 13:17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민주당 덕분에 갈아타기 타이밍 놓친 당사자라서 우틀않 시전하는건 도저히 보고 넘기기가 힘듭니다.
오손도손
+ 25/10/09 12:55
수정 아이콘
선생님 지지율이 60퍼 근처입니다만??
일각여삼추
+ 25/10/09 12:56
수정 아이콘
[20년 집권 계획]
+ 25/10/09 12:55
수정 아이콘
지령을 대체 누가 주며 설령 지령주더라도 이런 시골사이트를 왜 작업을 해요 굳이 지령주는 쪽이있다면 힘이있는 여당쪽에서하지 다죽어가는 야당이왜;
루카와
+ 25/10/09 13:18
수정 아이콘
그래서 3년전 대선때 데자뷰처럼 겹쳐보이는거죠 저도 이해가안갑니다 이런 시골사이트에서 뭐 저렇게 열심인지말이죠
+ 25/10/09 13:27
수정 아이콘
알바라는 근거가없단얘긴데요;
+ 25/10/09 12:58
수정 아이콘
신나 보이세요?
제 눈엔 화나 보이는데
미뉴잇
+ 25/10/09 13:20
수정 아이콘
글.내용 상관없이 본인이 보기 싫은 모든 글에
쓸 수 있는 만능댓글이네여
루카와
+ 25/10/09 13:36
수정 아이콘
김건희 안뽑아요 댓글도 만능이었죠
+ 25/10/09 13:20
수정 아이콘
누구나 유리한 전장에서 싸우고 싶기 마련이죠.
그정도는 다 익스큐즈하는거죠.
개인적으론 문재인 때 논리를 똑같이 가져와서 똑같은 사람들이 그러는게 좀 웃기긴합니다.
그럴때마다
+ 25/10/09 13:24
수정 아이콘
오히려 본인이 더 신나서 이런 댓글 다는거같은데
루카와
+ 25/10/09 13:36
수정 아이콘
그럴리가요
편집자
+ 25/10/09 13:44
수정 아이콘
이런 피해의식들 좀 안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보수 정부일 땐 그 나름의 불만이 있는 거고, 진보 정부일 땐 또 그 나름의 불만이 생기는 건데 그걸 이야기한다고 무조건 지령 타령하는 건 도대체 무슨 사고방식인가요. 진보 정부는 무슨 단 하나의 실책도 없는 완벽한 집권세력인가요?
루카와
+ 25/10/09 13:51
수정 아이콘
피해의식같은거 없습니다~ 불만만 얘기하면 누가뭐랍니까? 대책없이 무조건 까기만하고 남의말 듣긴커녕 조롱만하는 네임드들 지적하는거죠. 그리구 진짜 지령받았단 얘기겠어요? 그정도로 잠수타고있다가 일제히 그리고 열심히 활동한단 뜻이죠. 아오 원래 이런글에 댓글안달았는데 괜히 말했네요 이제껏그랬듯 눈팅만하렵니다 즐건연휴 보내세요~
+ 25/10/09 13:09
수정 아이콘
원래 불리한 건 전 정권 핑계대는게 유구한 역사죠.
전 어차피 누가 정권을 잡든 부동산은 해결 못할거라 생각해서(지지율 포기하고 종부세 폭파 후 보유세 적용시키고 취득세, 양도세 완화하는 영웅이 나올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이번 정권에서 검찰 개혁만 좀 똑바로 완수해 줬으면 좋겠는데 하는 것 보니 그 것도 안될 것 같습니다.
문재인 정권은 부동산 정책 실패가 발목을 잡았는데 이번 정권은 검찰 개혁 실패가 발목을 잡을 듯 합니다.
+ 25/10/09 13:14
수정 아이콘
부동산 문제는 제도 아무리 고쳐봐야 표 때문에 다시 돌려놓는데 앞으로도 계속 이런 루틴일 거죠. 내려가는 분위기만 보여도 규제 다 풀고 수십 수백조 단위로 지원해줘서 살려놔서 부작용으로 23년부터 계속 오르고 있는 건데 말이죠. 토허제 해제도 계속된 규제 해제 과정 속에서 나왔구요.
+ 25/10/09 13:32
수정 아이콘
6.27대책을 보고 설마 했는데 9.7대책을 보고 나니 부동산정책은 문정부 시즌2가 확실해져서 그 이후로 난리도 아니고, 9월 계약된 건 아직 통계에 안잡힌 상황입니다. 연말에 보시면 대책 효과가 확실한 게 느껴질 거에요. 
+ 25/10/09 13:33
수정 아이콘
빌라 살면 죽는 병을 고치기 위한 프로파간다와
보유세 대통합 후 20년 유지...
정도가 아니면 집값 못 잡겠죠.

무엇보다 "집값 잡는다"의 구체적인 의미도 모두 다르게 생각하고 있을거라
논의가 어려운듯
카바라스
+ 25/10/09 13:33
수정 아이콘
딴건 그렇다치고 그래프를 보니 오세훈이 무난히 5선하겠군요.. 시의회는 민주당이 이길수 있으려나
편집자
+ 25/10/09 13:45
수정 아이콘
박주민이 민주당 후보로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만약 진짜로 박주민이면 오세훈이 당선될 듯합니다... 크크
허어여닷
+ 25/10/09 13:48
수정 아이콘
그냥 다 죽을 거 각오하고 금리 올립시다 솔직히 제일 확실한 게 그건데 그건 또 경제 경색 온다고 또 뭐라고 난리치겠네요

그냥 부동산 문제에 대해서는 다 거짓말쟁이들밖에 없다 생각합니다
+ 25/10/09 13:50
수정 아이콘
막상 하락장에서 반응보면 내가 사기 전에 오르면 안된다는 느낌만 들죠.
+ 25/10/09 13:49
수정 아이콘
거기에 내집값은 올라야되지만 그에 따른 세금증가에는 아주 난리를 치는것도 재미있죠. 부자들 때려잡네 난리를 치지만 정작 그쪽과는 상관없고 오히려 그들기준에 무임승차자로 여겨지고 언제든지 대체가능할것 같았던 저임금 노동자의 수급이 떨어져서 인구대책이 필요하네 이민을 받아야되네 이런소리가 나오는 시대인데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737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4576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8743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4997 4
105171 [정치] 내 아파트가격은 오르지 않았는데, 왜 아파트 가격으로 시끄러울까? [218] 바람돌돌이6520 25/10/09 6520 0
105170 [일반] 자본주의는 민주주의를 파괴할 것인가 [10] VictoryFood2502 25/10/09 2502 0
105169 [일반] [스포]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 복수는 딸의 것 [4] 사부작1277 25/10/09 1277 0
105168 [정치] 세상이 정상화 되었으면 좋겠다. [37] 푸끆이3591 25/10/09 3591 0
105166 [일반] 한글날입니다. 닉네임... 바꾸실래요? [41] 닭강정2252 25/10/09 2252 0
105165 [일반] [예능추천]사상검증구역: 더 커뮤니티 - 많이 뒤늦은 후기(스포 주의) [8] 석양속으로2612 25/10/08 2612 6
105164 [일반] 노스포) 달려라하니와 100미터.후기 [8] 왕립해군3830 25/10/08 3830 2
105163 [정치] 윤어게인이 아니라 알고보니 '황어게인' [50] 카린9669 25/10/08 9669 0
105162 [정치] 연성구데타(Soft Coup) [114] 방구차야8648 25/10/08 8648 0
105161 [정치] 냉장고를 부탁해 티빙 점유율 71% [140] Lz12782 25/10/07 12782 0
105160 [정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인터넷 보수의 아이콘으로 다시 떠오르는 이유 [199] 유동닉으로15512 25/10/07 15512 0
105159 [일반] (스포)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는 정치적인가? [20] 마스터충달5498 25/10/07 5498 7
105158 [정치] 추석맞이 뜬금포 이준석 한동훈 갈등 [93] DpnI12184 25/10/06 12184 0
105157 [일반]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후기(약스포) [18] 라이징패스트볼5137 25/10/06 5137 3
105156 [일반] 명절에 친척들을 뵜던 후기 [22] 럭키비키8375 25/10/06 8375 1
105155 [일반] 한일 미국ETF 투자 성향 차이 [50] 인간흑인대머리남캐6473 25/10/05 6473 0
105154 [일반] 추석맞이 쓸데 없는 사회적 화두 제시 [6] 차라리꽉눌러붙을4126 25/10/06 4126 1
105153 [일반] 용병대장이 일국의 영주가 되다 [2] 식별3569 25/10/06 3569 9
105152 [일반] 부동산·미장·국장·코인 - 2025년 연말, 어느자산 수익률이 높을까? [19] 유랑5721 25/10/06 57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