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글쓰기이벤트 모음
14회차 - PGR21
13회차 - 여행
12회차 - 의료인
11회차 - 성탄절
10회차 - 추석
9회차 - 휴가
8회차 - 가정
7회차 - 인문사회
6회차 - 이해
5회차 - 추억
4회차 - 감사
3회차 - 지식
2회차 - 키배
1회차 - 자유주제
Date
2025/10/06 13:09:31
Name
럭키비키
File #1
Screenshot_20251006_125355_Samsung_Internet.jpg (700.3 KB) , Download : 129
File #2
Screenshot_20251006_125529_Samsung_Internet.jpg (582.6 KB) , Download : 127
Subject
[일반] 명절에 친척들을 뵜던 후기
1. 전에는 제사며 명절이며 큰집으로 가서 해야됬지만 몇년전 할아버지가 돌아가신후로 본가에서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본가로 가서 도와줄때 느낀것이 이젠 직접하는것이 줄었고 해놓은걸 사서쓰게 된거같더군요. 전날에 본가로 가서 집안일을 해야 했는데 근무날이라 가지못했고 전날저녁까지 계속 안오는 제가 불안했는지 아버지가 연락이 옵니다. 이른아침에 도착하려고 알람을 맞춰놨다며 아버지를 안심시킵니다. 아버지와 통화를 하며 이번에도 동생이 도와줬다는걸 알게 됬습니다.항상 고마움과 미안함을 갖고 있지만 표현을 안하게 되는 저입니다. 2. 항상 7시에 가도 어른들은 한두분 계시고 다 오실때까지 거실에 앉아있어야 하는게 불편했던 저입니다."결혼 언제하냐, 요즘 무슨일하냐, 월급 얼마버냐"등등의 q&a는 이제 좀 줄어들어서 좋긴 합니다. 7시 15분에 도착했지만 오신 친척은 두분뿐입니다. 이 상황에 익숙했던 저는 평소처럼 인사드리고 자연스럽게 작은방으로 향합니다.그러자 아버지가 절하라고 해서 뻘쭘해집니다. 3. 서있으면 되지않냐할수도 있습니다만, 서있으면 앉아있으라 하고 다리펴고 앉으면 편한 양반다리해라 하십니다. 근데 양반다리하면 자세가 구부정하고 다리가 저립니다. 마음도 가시방석이지만 몸도 가시방석입니다. 이럴때 항상 드는 생각은 양반다리가 한국인에게 안좋은거같은데 왜 이런문화가 안바뀌는건가 싶네요. 이게 조선시대때부터 그랬다고 하니까 전통은 지켜야된다는 생각도 들지만 동시에 다음세대는 좀 편하게 앉았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4.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저는 거실보다 작은방이 편하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다른 어른들 없어서 편하게 다리펴고 앉아있다보니 tv에서 축구를 하는지 대화주제가 손흥민에서 어느순간 김연경의 키로 바뀌는데 제 머릿속에 ??가 뜹니다. "내가 뭘 놓친게 있었을까,대화의 흐름이 왜 이럴까?" 고민합니다. 그리고 잠시 일어나서 한국남성의 평균키에 못미치는 제키를 보며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그게 이 양반다리의 문화때문에 그런거라는 변명거리가 떠오릅니다. 잠시후 친척이 들어오면 또 인사하러 일어나서 나가니 제시선에 tv에서 축구하는게 보이는데 관심사가 아니라 어느방송사며 무슨리그인지 알턱이 없습니다. 그 순간 다시 작은방으로 들어가는 저를 멈칫하게 하는 한소리가 들립니다. "어우 우리 조카 키 많이 컸네" 내 마음이 불편해도 친척끼리 싸움이 안나는게 어딘가 좋게 생각하는 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