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11 02:51
저러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비생물학적(nonbiological) 방법"도 있습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추가 연구와 실험실 구축, 무엇보다 저 샘플을 지구로 가져와서 규명을 해야한다고 하네요. 비생물학적으로도 저런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하니 생명체의 증거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고 봅니다.
25/09/11 09:52
https://youtu.be/t9G36CDLzIg
[Mars Sample Return: Bringing Mars Rock Samples Back to Earth] 2022. 11. 18. 이거 하고 싶은건데 내돈 드는거 아니니까 NASA 화이팅!
25/09/11 20:52
애초에 이번에 저렇게 공개한 이유가 "화성 생명체 분석하게 시료 가져와야 하니까 돈 쓴다고 뭐라하지 마라" 이거죠 크크크
연구비 타려는 노력..
25/09/11 08:44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618635?sid=104
[NASA "퍼서비어런스, 화성에서 잠재적 생명체 흔적 발견"] 2025.09.11. NASA는 당초 이 로버가 채취한 시료를 2030년대 초반에 지구로 회수할 계획이었으나, [비용 급증으로 회수 작업이 지연되며 현재 그 시기는 2040년]대로 미뤄진 상태다 <1줄 요약> NASA : 제발 예산 더주세요
25/09/11 09:17
태양계에서도 생명이 발생한 곳이 두개 이상이라는게 사실이라면 우주전체에는 널려있다는 소리죠.. 그런데 왜 고등문명의 흔적은 코빼기도 안보일까요. 암흑의숲 가설이나 대여과기 가설이 맞다는 뜻일수도 있죠. 그렇다면 인류의 미래가 그렇게 밝지는 않다는 겁니다..
https://youtu.be/UjtOGPJ0URM?si=v9IouwLG8oHgeT2Z
25/09/11 09:24
(수정됨) 인류가 이미 여과기를 넘어섰거나, 아직 맞닥뜨리지 않았다는 논의도 존재하며, 만약 앞으로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여과기를 맞이한다면 인류 역시 멸망할 수도 있다: 기술적으로 더욱 발전하는 순간 새로운 재앙적 사건이 발생해 인류 전체가 소멸하거나 문명이 몰락. 이거 완전 터미네이터 매트릭스..
25/09/11 09:38
여과기를 못넘었다-->페르미 역설해소 및 인류멸망 (거의)확정?
여과기를 넘었다--> 인류가 럭키비키 젤나가 or 냉혹한 어둠의 숲?
25/09/11 10:52
왕래는 못해도 들여다볼수는 있으니까요. 우리 은하만 해도 항성이 수천억개에 행성은 그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등문명이 하나도 안보이는게 단순히 인류의 관측기술이 부족해서 그런거라면 그래도 다행?이고 정말 하나도 없거나 이미 멸망해버린거라면 인류 미래에 시사점이 있다고 생각하는거죠.
25/09/11 10:56
직접 탐사 하지 않는 이상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광년 차이때문에 동시대에 문명의 흔적을 제대로 파악하는 건 거의 불가능해요.
그리고 일단 최소한 인류 산업시대 수준은 되야 몇십, 몇백광년 거리에서 뭔가 실마리라도 찾는게 가능합니다. '우가우가'하고 있으면 직접 탐사 하지 않는 이상 알기가 쉽지 않죠.
25/09/11 17:45
(수정됨) 네 뭐 현대 기술수준에서는 전부 가설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니까요. 고등문명이면 대규모 에너지 사용 흔적이나 행성 대기구성물에 흔적을 남겼을거라고 추측하고 열심히 찾고 있는거 같은데 수확은 없는거 같습니다.
25/09/11 11:40
인간의 탐사기술이란게 정말 허접한 수준이거든요.
별에서 생명이 사는게 아니라 행성에서 생명이 살텐데... 현재까지 인간이 찾은 외계행성이란게 겨우 6000개 밖에 되지 않습니다. 외계로는 가장 가까운 별로도 나가보지도 못했고요. 그 정도 기술로 수만~수백만 광년 떨어진 곳의 외계 생명체를 어떻게 찾아요.
25/09/11 17:54
성간 식민활동이 가능한 문명 수준이면 행성 하나가 아니고 몇만년만에 은하를 꽉 채울수 있다는 소리도 있지만 선생님 말대로 아직 기술부족으로 모든 게 가설단계긴합니다. 코앞에 있는걸 못볼수도 있는거고요
25/09/11 13:11
화성 문명은 암흑의 숲 이론대로 2차원 벡터 포일 맞고 광속 속도로 전멸 하였습니다.
인류도 3차원에 산다고 착각하지만 사실은 2차원 백터포일 안에 찌그러진 2차원 내에 있으며 가끔 지나가는 광속 우주선에서 관찰 당하며 비웃음 당하고 있을지도,,,,,.
25/09/11 09:53
25/09/11 10:59
https://youtu.be/t9G36CDLzIg
[Mars Sample Return: Bringing Mars Rock Samples Back to Earth] 2022. 11. 1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81362?sid=105 [트럼프에 발목 잡힌 화성 샘플 회수 임무, 어떻게 될까] 2025.07.09. 백악관 2026년 예산안 초안 : 화성 샘플 귀환 사업(MSR)은 예산이 과도하게 초과된 상태라 폐기 예정 예상 MSR 프로젝트 비용 : 최대 110억 달러(약 15조 1천억 원) 그래서 빠꾸먹었...ㅜㅜ
25/09/11 11:1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01049?sid=105
['얼음별' 생명체 찾아…유로파클리퍼, 29억km 여정 떠났다] 2024.10.16. NASA, 목성 위성 탐사 무인우주선 발사 6조원대 예산 투입…2030년 4월 궤도 진입 예정 "거대한 지하바다 존재 탐색…거주 가능성 살필것" 아직도 5년을 더 가야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