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04 19:03
물론 높은 교육열과 수준 높은 인재를 갈아넣은 게 성공의 한 축인 것도 맞습니다. 이전 글에서도 교육 수준을 다루기도 했고요.
다만 R&D 투자 자체와 방향성을 결정하는 건 인력의 질과는 다른 문제라 다루지 않았습니다.
25/08/04 18:39
수입규제와 관세로 국산차 시장을 보호한것 외에도 내수차별로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어쩔수 없이 국산차를 소비하는 중산층 소비자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도 필수라고 봅니다.
25/08/04 18:57
찾아보니 1980년대 초에 현대차의 내수 수출 비중이 8:2 정도였던 걸로 나오네요. 확실히 내수에서 어느정도 받쳐줘야 하는 건 맞는 것 같습니다.
다만 내수에만 너무 안주하면 브라질 사례처럼 기술 개발을 등한시하고 땅짚고 헤엄치기만 하다 망해버릴테니 추가적으로 기술 개발할 동인이 필요할듯 합니다.
25/08/04 18:48
그걸 한 나라가 시장규모가 되는
중국과 인도겠고 어쩌면 가능성이 높은 베트남이겠죠. 베트남의 경우 인구가 1억인 시장이라 충분히 가능하리라 봅니다.
25/08/04 18:59
중국은 막대한 내수를 통해 자체 경쟁시켜 성공한 사례라 딱 걸맞죠.
다만 인도나 베트남 등지는 소득이 너무 낮다는 게 문제입니다. 인구가 많아도 자동차 소비를 받쳐줄 소득이 있어야하는데 얘네는 아직 그 정도는 아니라서요. 사실 인도네시아 예시를 들긴 했지만 이쪽도 소득이 많이 낮아서 중진국이라 보기는 어렵죠.
25/08/04 19:04
저는 오히려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보다
베트남의 성공을 더 높이 보는게 두 나라와는 다르게 이미 고도의 관료국가였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또한 민족자체도 두 나라에 비해 단일 민족이라 한국과 매우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민족 성향과 각 민족에 대한 베타적인 차별화 정책이 자동차 산업을 발전 못시킨 게 큽니다. 말레이시아는 자본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이 화교였습니다만 2000년대 초까지 전문직에 대한 취업의 차별 정책 때문에 의사나 변호사가 되기 쉽지 않아 해외로 빠져 나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도의 부품 체인을 구성하거나 어려울 때 자금에 대한 흐름을 원활하게 해야 하는데 자동차 회사 가 어려울 때 말레이계 화교들의 도움이 거의 없다시피 했으니까요.
+ 25/08/04 21:14
(수정됨) 인도는 아직 못했을겁니다. 마루티 스즈키는 사실 스즈키 기술이나 다름없고,
타타자동차도 타 자동차 기업 인수로 승부를 걸었으나 실패, 마힌드라도 쌍용하나 제대로 활용 못했죠. 중국은 전기차 시대가 와서야 성공으로 달려나가고 있고요. 베트남은 가능성이 없다고 봐요.
25/08/04 18:51
가혹한 경쟁의 장점?이라고 봅니다
예전에 유게글보다가 계약학과 찾아 본 적 있는데 문과가 봐도 저 커리큘럼들 소화하면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겠더라고요
25/08/04 18:53
일단 어떻게든 성공하고 나야
소부장에서 국산 비중을 늘릴것인가 아니면 소부장에서 수입 의존 지속하되 해외진출로 체급 자체를 키울것인가 선택이 가능해지는거지 처음부터 우리는 기술이고 소부장이고 자립적으로 갈거다 이러면 답이 안나오는 느낌...
25/08/04 18:55
반도체쪽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운"이라는 요소도 무시하기 어려운듯 합니다.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보면 진짜 "하느님이 보우하사"라는 말 외에는 설명하기 힘든 일들이 겹쳐서 일어났거든요.
개인적으로는 분단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시행한 토지개혁, IMF로 엄청난 고통을 받았지만 그 덕분에 할수 있었던 산업구조개편, 적절한 시기에 일어난 민주화 등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중진국 함정을 탈출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전세계를 따져봐도 후진국이었던 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한 예가 극히 드물거든요.
25/08/04 19:02
오.. 예를 든 나라들이 상당한 내수시장을 갖춘 곳인데도 불구하고 실패했다는게. 정말 쉽지 않은 일이었나보군요. 신기하도고 우리나라가 자랑스럽기도 하고. 한때는 현대 기아 대우 삼성 쌍용에 아시아자동차까지..
25/08/04 19:09
(수정됨) 코라오 홀딩스 보면 어떤가요? 바이크지만 나름 효성스즈키 인수해서 KR모터스 만들고...
라오스가 중진국 탈출이냐 하면 말하기 힘들지만...
+ 25/08/04 20:05
직장인이라면 아침에 일어나서 정해진 시간에 맞춰 출근해야 한다는 게 '상식'인 나라가
독일, 일본, 한국, 중국 정도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 25/08/04 20:56
도요타가 현대보다 앞선건 픽업트럭쪽이죠
미쯔비시나 닛산이 차를 못만들어서 실패한게 아닙니다 고급차와 픽업트럭에서 도요타를 못이긴거죠(더하기 현지화) 미국은 픽업트럭 시장을 얻어야 진정한 승자가 됩니다 현대가 이제 가격에서는 동등하고 제네시스부터 아반테까지 라인업은 확실하니 픽업과 전기차에서 승부를 잘 보길 바랍니다 그리고 전기차는 중국이 진짜 무서운 속도로 이미 한국을 추월했습니다 이점도 잘봐야죠 (중국은 인구가 많을뿐 이미 중진국이 아니죠. 선진국의 의식이 없을뿐 단순 북경 상해 광저우 심천 충칭만 뽑으면 한국을 추월합니다 일본과 맞먹거나 넘는 GDP 국가급이죠 인구 1억5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