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4/07/27 01:22:36
Name optical_mouse
Subject 재정 안좋은 팀을 위한 재정 배분을 위한 방안
토론 게시판에는 처음 글을 쓰는 군요.

사실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11개의 프로 팀 중 제대로 된 스폰서를 가진 팀은 몇 안됩니
다.

대기업 - sk, ktf , 큐리텔(sg패밀리가 가기로 결정 났죠.)
중  - 한빛, 슈마(그나마 다른 팀 찾고 있죠.), 삼성(기업 자체는 크지만, 큰 지원이 아니라서), 헥사트론
없음 -소울, kor, pos , 플러스

7개 팀(sk,ktf등)은 기업의 후원을 받기에 제외하면, 나머지 4팀은 후원사가 없기에 전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각 선수들의 출연료 등을 나누어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십만 원이 채 안되는 출연료와 기타 상금으로 생활하기에 상당히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그것을 저를 비롯한 여러분들이 잘 알기에 팀창단 루머 기사에 눈이 계속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루머는 루머일 뿐 이루어진 것이 별로 없습니다.

솔직히 지금이라도 4개 팀 중 2정도라도 창단하면 좋겠지만, 가능성은…….

그래서 한 가지가 생각났습니다.
아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미국의 mlb나 nba등에서는 각팀의 연봉을 정해 거기를 넘으면 '사치세'를 부과하여 그 돈을 걷어 재정이 어려운 몇 팀에서 나누어 줍니다.

예를 들어 총연봉제한이 1억 달러면... 양키즈가 1억5천만 달러의 계약을 했다면, 5000만 불의 10%인 500만 불을 사무국에서 걷어 재정 안 좋은 팀 몇 팀에게 나누어줍니다.
이번에 받은 팀이 미네소타와 몬트리올, 플로리다 등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여간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이렇게 재정이 안 좋은 팀에 대한 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지금 스타게임계에서 이런 것을 바로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은 다른 방안입니다.

즉, 결승전 같은 곳에서 입장료를 받아 그것을 재정 안 좋은 팀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0원씩만 입장료를 받아도 1만 명만 받으면 1000만원입니다. 만약~~~ 실행한다면 온겜에서 실시할 테니 1만 정도는 충분히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다가 엠겜까지 실시하면 1년 동안 팀리그, 개인리그를 합치면~~~ 상당한 돈을 모일 것입니다.

물론 문제점은 있습니다.
1. 입장료 받는 게 가능한가?
이제까지 공짜였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1000원이 별것 아니지만, 공짜에 길들여있던 사람들이고 스폰서의 입장에서도 팬 모이기는 것을 바라는데 입장료로 인해 결승관중이 작아지는 것을 바라지는 않을 것입니다.
더욱이 그 입장료가 전혀 자신들과 관련 없기 때문입니다.

2. 입구에서 받아야 하는데 야외에서 어떻게?
점점 추세가 관중을 많이 모을 수 있는 야외에서 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물론 겨울이 되면 추우니 체육관 같은 곳에서 하겠지만 말입니다.
이런 야외에서 입장료 받는 것이 가능할까?
분명히 어려울 것입니다. 줄로 제대로 막고 거기에다 감시하는 인원까지 배치해서 한다면……. 그것은 그냥 허황된 생각이 될 뿐입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죠. 사람을 쓰거나 무언가를 설치하려면 분명히 '비용'이라는 것이 듭니다.
분명히 돈 듭니다. 거기다……. 제일 큰 문제는 관객도 귀찮아한다는 것입니다. 그냥 빈틈을 찾아 몰래 들어가는 일도 빈번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줄서서 돈까지 내고 들어가는 사람들은 더욱…….

3. 중립적인 기구가 필요하다?
위에서 예를 든 사치세 경우에는 mlb 사무국등 권위 있는 기관이 부과하여 객관적으로 나눠주기에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만약 한다면 한국프로게임협회가 해야 될 텐데 과연……. 협회가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여러 가지 잡음이 많이 날수 있는데 그런 것을 덮을 능력이 가능한지 말입니다.

이상이 제가 생각하는 방안과 그에 따른 문제점이었습니다.
더 상세히 가면 또 다른 문제점을 발견할 수도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방인이 그래도 현실성이 어느 정도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창단을 기다리기엔……. 솔직히…….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것 같아서 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보안 점은…….
온겜과 협회가 힘을 합쳐야하는 것이 가장 선결일 것입니다.
그리고 물론 스폰서에 대한 설득도 해야 될 것입니다.
또한, 입장료는 최소한 비용으로 관중들의 불만을 최소화하면서 몰래 들어가거나 안내는 사람은 좀 무시를 하고 받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위에 쓴 대로 제가 생각하는 방안은 이런데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제가 생각한 방안이 가능할까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어떤 보안 방법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turn Of The Panic
04/07/27 01:33
수정 아이콘
확실히 입장료 걷어서 팀들 후원하면 좋겠죠... 입장료 중 일부는 그런 목적으로 새로 만든 협회의 운영비로 쓴다던가.. 이런 식도 생각해 볼 수 있겠구요.. 그럼 더 철저하게 입장료를 징수할 수 있을 테구요.... 예를 들어 20~30%는 협회의 운영비, 나머지는 팀을 후원하거나 아예 선수들의 출연료를 조금 올리는 방식으로 후원할 수도 있겠구요...
그리고 저 만의 예상입니다만 입장료를 1000 원 이런식으로 너무 낮게 잡아버리면 기존 스포츠 계와 마찰이 있지 않을까요... 저만의 예상이긴 합니다... 뭐, 야구나 축구도 공짜로 들어가는 사람들 많기는 하던데...
Return Of The Panic
04/07/27 01:36
수정 아이콘
예~ 전에 현 SKT1 팀이 4U 팀 시절일 때 ( 스폰서가 아직 없을 때 ) 임요환 선수의 팬 카페에서 46만 ( 당시 그 정도였던 걸루 기억합니다. ) 팬들이 1000원씩만 모아서 ( 반만 모여도 합치면 2 억 3천입니다. 허걱.. ) 4U 팀 스폰서하자는 약간 농담(?) 섞인 얘기가 있었던 걸루 알고 있습니다. 물론 그런식으로의 후원은 좀 힘들겠지만, 중계보러 오시는 팬 분들이 선수들을 생각하신다면 천원~이천원 정도의 입장료는 충분히 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Return Of The Panic
04/07/27 01:39
수정 아이콘
한 해에 약 세번 정도씩 있는 개인, 단체리그 결승전에서 2~3만 명이, 한 리그에서 3~4 번은 있는 지방투어에서 5천 ~ 1만명이 천원 정도 씩의 입장료를 낸다면 분명 큰 돈이 될 것 같군요..
信主NISSI
04/07/27 02:02
수정 아이콘
공감하기 힘드네요... 우선 입장료를 받으면 그만큼 관람객수가 적어지죠. 수가 적어지면 스폰서의 지원도 적어질 수 있습니다. 지금 온겜에서 무료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입장료 수익으로 얻어지는 이득보다 스폰서에게 지원받는 것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또, 팀을 지원한다는 것도 무리가 많다라고 생각합니다. 입장료를 받기 시작하면서(전 이것에는 전혀 반대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재정이 어려운 팀을 위해 사용된다고 이야기한다면 그 과정또한 투명해야합니다. 팬들은 그 입장료 수익에 대해서 자꾸 의문을 품게될 것이고, 온겜은 이득도 안되는 일에 답답하기만 하겠죠.

개인적으로는 대회들 자체가 단순히 스폰서만 받는 것이 아니라 대회자체를 통해서 수익을 얻고, 마우스등의 컴퓨터 용품과 유니폼등의 의류품목, 몇몇 악세사리 품목들의 수익을 얻어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협회에서 이렇게 수익을 얻고, 그것을 재정이 어려운 팀에게 돌렸으면합니다. 만약에 수익을 얻기 힘들다면 아쉽지만 팀이 해체되는 것도 발전의 일환이라 생각됩니다. 구조조정처럼 말이죠.

여담입니다만, 스폰이 없는 팀의 운영비는 감독님의 사비와 선수들이 얻는 출연료와 상금, 그리고 몇몇 개인의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 약소팀을 살리기 위해선 다른 것보다도 상금이 커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04/07/27 02:17
수정 아이콘
늘 신주군과 반대의견인 연*^^*입니다.
(신주군의 의견은 태반이 방송국 편의를 대표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관점이 다르다는 이야기죠....)

제가 보기엔 입장료 수익이 나야한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봅니다.
부산 광안리에서의 일만도 그렇고 메가 스튜디오의 상황도 그렇습니다.
입장료의 문제는 실제로는 메가스튜디오와 결승전 관람환경을 보다
쾌적하고 즐거운 것을 바꾸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봅니다.

문제는 이 입장료를 거두는 기관인데 온겜넷과 같은 방송국이
여기에 관여한다는 것은 확실히 문제가 됩니다.
제가 생각하는 방식은 입장료 수익은 게임 주관사가 거두고,
협회와 방송국이 나누어 가져야 할 겁니다.
현재 스튜디오가 방송국 지분이니까요.

이와 별개로 전부터 논의되던 스타토토,
그리고 입장료문제는 실현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일에 방송국이 개입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생각하구요.
다만 게임방송국의 특수한 입지상(방영권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죠)
오히려 지분을 나누어 가져가야하는 입장이지 않는가..라고
생각해봅니다. 물론 일을 추진하는 것은 협회가 되어야 하는 것이
수순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추진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약소팀을 구제할 수 있는 것은 상금도, 입장료 수익도, 토토도 아니라
"스폰서"입니다. 즉 시장규모가 커져 진정한 프로팀이 되어야 하지
상금액수로 팀이 제대로 굴러가기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좀더 발전하면 팀이 지역연고의 자신의 구장을 가지고,
그 구장에서 게임을 하고 수익을 챙겨가는 야구 스타일이 될 때,
입장료 수익을 구단의 수익으로 챙겨갈 수 있겠지요. ^_^;;;

약소팀을 구제하기 위한 하나의 모델로 대전 시티즌같은 모델은
정말로 어려울까요. 정말로 힘들까요? 이건 제 호기심입니다.
삼삼한Stay
04/07/27 05:29
수정 아이콘
부산한빛스타즈 ^^
입장료 받아야된다에 올인
帝釋天
04/07/27 07:58
수정 아이콘
않좋은 (x) ㅡ> 안좋은(o)
아직은 시기상조가 아닐까요..
거룩한황제
04/07/27 10:33
수정 아이콘
저도 입장료에는 동의를 합니다. 결승전에서 받는 것도 좋지만, 메가 스튜디오에서도 받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면 적어도 자리차지 하는것은 많이 줄겠네요.
(하지만 그렇다고 문제점이 없는것은 아닙니다. 간혹 가다가 '내 돈 내고 내가 소리 지르는데 무슨 상관이냐'라고 말을 하는 XX들은 정말로 답이 없을지도...)
미나리
04/07/27 11:35
수정 아이콘
입장료를 받으려면 블리자드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자기들이 만든게임으로 다른사람이 이익을 본다면 블리자드의 입장에서는 별로 좋아하지 않을뿐더러 옳은 일도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그렇게 쉽게 결정될 일은 아닌것 같습니다. 차라리 좀더 시간을 가지고 스폰을 구해보는게 나을듯 합니다(그게 벌써 몇년째양...)
04/07/27 12:34
수정 아이콘
이런 식의 이야기는 여러번 나왔죠. 결승전에서의 입장료 문제..
저번에 이런식의 이야기가 나왔을때 어떤 분이
입장료를 받으면 블리자드측과 법적으로 문제가 생긴다고 한게 생각나네요.
마젤란 Fund
04/07/27 13:13
수정 아이콘
프로게임은 자본주의 시장메커니즘하에서 돌아가는 유형입니다.따라서 시장자율에 맡겨놓는것이 가장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인위적인 가위질은 형평성이나 기타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많습니다.우리나라에서 대개의 프로시장은 가장 먼저 정부(행정부)주도하에 탄행하였습니다.정부관련부처가 주도하고 거기에 관련기업들이 어느정도의 타당성검토(?)를한후 따라들어간것이죠.현재 게임시장은 정부주도가 거이 없다고 봐야 하겠죠.완전히 시장자율적으로 탄생했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현재상황에서 가장 최선의 방안은 정부주도하에 프로게임시장을 확실하게 재편시키든가 아니면 현재 스폰서가 없는 구단들이 통합을 통한 스폰서확보가 최선이라 생각합니다.관련기업측에서도 뭔가 성적이 상위권에 나오는 구단을 선택하려하지 밑에서 빌빌거리는 구단을 선택하려 하지는 않을거 아닙니까?따라서 몇몇구단의 통합을 통한 강력한 구단탄생이 가장 필요한 상황이 아닌가 사료됩니다.
信主NISSI
04/07/27 14:03
수정 아이콘
제 의견이 왜곡된 것 같습니다. 전 입장료를 받는 의견엔 찬성입니다.(사실 적극적입니다.) 단지, 그 돈을 제정이 어려운 팀을 보조하는데 쓰는 것이 반대라는 것입니다.

수익을 내서 그 수익을 통해 상금을 키워, 프로게임시장을 크게해야한다는 것이죠. 일단 협회주도하의 게임팀리그가 없는 이상 팀은 단순히 '스폰서' 개념에 머물뿐이지 '구단주'가 나올 순 없을 것 같습니다. 스폰서가 많이 생기면 좋겠지만, 상금을 올리고, 좋은 성적을 거둬 상금을 가져갔으면합니다. 그렇게 게임시장이 커지고 나면, 말그대로의 프로게임협회의 창설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청보랏빛 영혼
04/07/27 14:10
수정 아이콘
음... 임장료를 받는 일은 꽤나 복잡할 것 같습니다. 스튜디오 마다 매표소 같은게 있어야 하는건가요? 입구 봉쇄시키고 사람들을 배치시키게 된다면 그만큼 돈이 들 것 같은데요...
그것보다는 스타토토가 좀 더 확실 할 것 같은 느낌이네요.
발행기관이나 여러가지 복잡한면이 있을 것 같지만 우선 실행만 되고 나면 반대하는 사람들도 별로 없을 것 같고... 스타리그의 흥행성도 좀 더 좋아질 것 같습니다.
재정적 어려움을 격는 팀에게도 좋고, 재미있고 잘하면 돈도 벌수 있으니 팬들 입장에서도 반대할 이유가 없고, 스타토토 때문에 이목이 집중된다면 홍보 잘되는 스폰서 입장에서야 더 더욱 좋고, 스타토토가 진행된다면 스포츠 신문 한면 정도는 스타리그가 차지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구요.
설마 스타토토를 한다고 해서 블리자드측이 태클을 걸지는 않겠죠. 스타크래프트에 돈을 거는게 아니라 우리나라 선수들한테 거는건데 말이죠.
법적으로는 잘 모르겠지만 제 생각에는 스타토토가 진행되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信主NISSI
04/07/27 14:11
수정 아이콘
예를 하나 들어보죠. 위에 예시된 스폰서가 없는 4개팀이 해체된 후에 2개팀으로 융합된다면 프로게임리그가 더 재밌어질것 같은 가요, 그 반대인가요... 또, 그런 팀이 2개가 생겨난다면 스폰서를 구하는게 쉬울까요, 어려울까요... 팀 두개가 하나로 합쳐지면, 그만큼 팀에 소속하기는 힘들어 질 것이고, 그렇게 떨어져나가는 프로게이머들도 발생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것으로 인해 재미가 있어지고, 그로인해 시장이 커진다면 더 많은 프로게이머들이 생겨날 수 있겠죠.

이런의미에서 보조적인 장치가 아닌 직접적으로 단지 스폰서가 없다는 이유로 지원하는 것은 꼭 옳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대를꿈꾸며..
04/07/27 14:27
수정 아이콘
너무 앞서가는게 아닌가 십네요.. 무엇이든 처음에는 헝그리한법이죠 99년부터 스타리그가 생겼다고 치고 현재 2004년 까지 생각지도못한 선수들의 억대연봉 그리고 프로리그에다가 대기업들의 스폰서 차근차근 이뤄져 가는것입니다.스타를 사랑하시는분들은 결승전 입장료 천원이 아까운돈은 아닙니다.하지만 기업들에서 스타의 홍보효과를 깨닫게 되면 스폰서로 나서지 않을까 십네요..물론 확실한 홍보효과를 내줄수 있는 선수들이 있어야 하겠지만요..그리고 사치세 말도 안돼는 일이죠...사치세를 내면 T1의 스폰서가 예를들어 pos를 도와주는게 아닐까요?
04/07/27 14:29
수정 아이콘
한 가지 궁금한 게 있습니다. 입장료를 걷는 것이 블리자드와 마찰이 생긴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지금 돈을 받고 블리자드의 스타 크래프트를 하는 선수들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분명 블리자드의 스타 크래프트를 함으로써 이익이 발생합니다. 더군다나 스타 크래프트를 중계함으로서 얻게 되는 부수적인 광고 수입들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이런 것들을 종합하다 보면 결국 스타 크래프트로 이익이 나고 있는 게 사실인데, 단순히 입장료에 한할 수 있는 문제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입장료란 공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자는 차원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목적은 스타 크래프트 경기 관람이지만, 좀더 쾌적하고 편안한 공간에서 경기 관람을 하자는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닌가 생각되거든요.
원래 논의에서 벗어나는 질문이 아닌가 싶지만, 원 글과 관련된 답글을 보고 있으려니 문득 이런 의문이 떠오르는군요.
04/07/27 15:04
수정 아이콘
입장료 부분에 대해서는 제 의견은 Artemis님과 동일합니다.
보다 쾌적한 좌석, 쾌적한 관람에 대한 욕구의 상승을 반영하라는 겁니다.
특히나 메가스튜디오의 방문은 집에서의 관람을 포기하는 것이니까요.
축구나 야구는 입장권을 구매하지 못하면 당연히 중계를 보잖습니까.
이것이 토토화 되면 경마식으로 마권발매소에서 집단 관람할 수도
있겠고...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이와 별도로 스폰서가 없는 가난한 팀의 존속에 대해서
정말이지 신주군과 정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요새의 추세는 스폰서 있는 팀에서 훌륭한 선수를 모으고
선수를 챙길 수 있다보니 스폰 없는 팀은 선수를 보내주고...
자연적으로 말소가 될겁니다. 팀 통합같은 꿈같은 이야기는 실현불가능이죠.
가난한 팀의 존속은 시장의 발전방향을 어디에 놓고 보는가에 따라서
판단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중심으로 한
e-sports시장을 거대 팀이 소수 존재하는 판도를 구축하는 가,
아니면 소수 팀과 거대팀이 혼재하는 구도를 유지하는 것의 문제죠.
어떤 것이 더 재미있을 것 같은가와 관리하기 쉬운가, 방송일정짜기 쉬운가는 분명히 구분되야합니다.
비방송일정과 긴 페넌트레이스가 재미없었을 수도 있지만,
비방송경기에도 몰려간 팬들과 문자중계에 열광한 사람들이 있으니까요.
단순히 방송에 나가야하고, 방송에 편리해야 하기 때문에 리그구상을 하는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현재 성장하기도 바쁜 게임계가 서둘러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것 같아 매우 갑갑해보입니다. 이건 정말 별개의 이야기죠.
optical_mouse
04/07/27 15:29
수정 아이콘
그대를 꿈꾸며님
저는 단지 사치세는 예로 들었을 뿐입니다. ^^; 다시 한번 읽어주세요.
한자(한자는 모름 ;;)님과 artemis님이 깨우쳐 주셔서 글자를 좀 고쳤습니다. 또 이상한게 있으면 쪽지 보내주세요.
그럼...
그대를꿈꾸며..
04/07/27 16:28
수정 아이콘
예로든건 저도압니다.^^불가능하다는 것이죠.. 너무 앞서간다는 느낌이 확실히 드네요..
04/07/27 17:09
수정 아이콘
예전에 기욤선수와 임요환선수 특별전할때 임장료 받고 했죠 그때도 성공적이었고 마이큐브때도 VIP석 돈주고 살 수 있었습니다 이게 참 좋더군요 킁킁 확실이 입장료를 받아야지 자리뺏기나 자리 맞기등이 안되고 좋죠 킁킁
optical_mouse
04/07/27 17:22
수정 아이콘
일단 이 방안도 실현될 가능성이 별로 없다는 것은 저도 압니다. 저도 돈~에 관해 모를정도가 아니기 때문이죠. 그래도 솔직히 스폰서 없는 팀들이 이런 상태로 있었던것이 한두해가 아니기에 한번 생각해 보았고, 앞으로도 가능성이 별로 없기에 글을 적어 보았습니다.

냉정히 생각해보면 앞으로도 가능성이 별로 없는게 사실이니까요.
만약 생각있어도 go같은 어느정도 검증된 팀과 계약하지 가능성만보고 계약할 가능성은 제로죠. 그게 현실... 이죠.
그래서 한번 이런 생각을 해봤습니다.
클레오빡돌아
04/07/27 19:52
수정 아이콘
이야. 이런 방법도 있었군요.
개인적으로 적극 찬성입니다.. (사치세부과)
그러나.. 입장료 걷는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듯 하네요..
信主NISSI
04/07/27 22:37
수정 아이콘
연누님. 제 의견이 많이 오해된 듯합니다. 전 방송사의 편의를 위한 의견은 전혀 없었습니다. 리그진행의 수월성과 불방경기 반대의견은 제 의견이지만, 위에서 쓴 것은 그것에 연유된 것이 아닙니다. 현재 12팀에서 11팀으로 줄어든다고 해도 위의 주장을 할 것입니다.

전 구조조정에 대해서 '적극적'인 의견을 낸 것이 아닙니다. 단지 '적극적'으로 보조하자는 것을 반대한 것입니다. 그냥 놔두는 것이 옳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파란만장도현
04/07/28 22:26
수정 아이콘
헥사트론팀 대기업 아닌가요? 연봉도 후하게 주는것 같던데..
kor팀화이팅~
04/07/29 01:06
수정 아이콘
선풍기 하나없어 팬티하나 입고 게임하는 팀도 있습니다...
겨울엔 추워서 떨고 여름엔 더워서 힘들고.
여러분들이 tv에서 보는 부러워하는 게이머들 반정도는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 게임을 한답니다..
Sulla-Felix
04/07/29 10:32
수정 아이콘
입장료의 선결조건중에 하나가 일단 블리자드와의 로열티 문제 입니다. 이것의 해결은 사실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입장료를
받을많한 공간입니다. 현재의 메가, 세중의 시스템으로는 불가능 하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지금이야 관객도 늘고 해서 관람문화 어쩌구 하지만
근본적으로 이 두 경기장의 컨셉은 지나가다 관심있으면 구경해라...
로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입장료문제의 선결조건은 전용구장의 건설이
라고 생각합니다. 동네 운동장에서 축구하는데 아무리 프로선수들의
경기라고 해도 입장료를 받을 수 는 없는 것 아닐까요? 협회와 관계자들
의 평균 연령도 낮고 권력도 미미하지만 대기업들의 자발적 투자가 늘어
나면 전용경기장 문제도 정부와 의논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생
각입니다. 특히 요즘은 지자체에서 여러 움직임이 활발한데 게임팬들도
명박시장님께 압박을 가해서 경기장을 건설토록 하는 게 어떨까 하는것
이 제 생각입니다.

병바기 나파효~ 경기장 지어주세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3 9월간 일주일에 4번씩 열리는 스카이 프로리그? 당연한 건가요? [16] 청보랏빛 영혼4861 04/08/26 4861
891 리그 일정 변경이 필요한가? [27] now4826 04/08/23 4826
890 EVER스타리그 신규멥 : 펠레노르 EVER. 그 벨런스? [15] 낭만토스6769 04/08/23 6769
889 여러분은.....듀얼토너먼트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7] 김도승4638 04/08/23 4638
888 [최종 결과]OSL 조편성을 맞춰라 ! 투표 결과 [12] EzMura5096 04/08/20 5096
887 [역시 투표 진행중] 슈마GO 의 팀리그 결승 전략 예상해 보기.. [39] Return Of The Panic7010 04/08/17 7010
886 WCG 예선 방식 변경 제안.. [16] 전유4786 04/08/13 4786
885 [투표 진행중]다음 OSL 조편성을 예상해 보자 ! o(^o^)o [100] EzMura7638 04/08/10 7638
882 스타크래프트 2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요? [26] 또띠7711 04/08/09 7711
878 어뷰즈 선수들의 사과와 자격 사퇴를 위한 서명 제안합니다. [119] darkzerg14273 04/08/03 14273
876 Gillette 2004 스타리그 결승전 스코어 맞히기 [78] Altair~★8087 04/07/27 8087
875 재정 안좋은 팀을 위한 재정 배분을 위한 방안 [26] optical_mouse6637 04/07/27 6637
874 듀얼의 조편성에 대해서(투명한 배정원칙 요구) [18] 信主NISSI7435 04/07/24 7435
872 [질문 대 모집] 한빛 소프트 팀 인터뷰! [83] 항즐이11991 04/07/20 11991
869 [맵토론]엠게임의 맵에 대하여. [28] Sulla-Felix11894 04/07/16 11894
868 <스타토토> 듀얼토너먼트 진출자 맞히기! [228] 발업질럿의인9630 04/07/16 9630
867 벌처를 쓰는 테란을 상대로 버로우의 효용성 [17] 信主NISSI8920 04/07/14 8920
866 듀얼토너먼트 대진표 작성원칙 변경에 관하여...... [12] Altair~★5777 04/07/14 5777
865 그랜드슬램? 메이저대회의 개념 정립이 다시금 필요하다! [19] 종합백과6980 04/07/13 6980
864 방송 좌석권에 대하여... [30] letina5679 04/07/12 5679
861 팀플전 꼭 해야하나?(OPL에서) [122] 더딘그리움11840 04/07/04 11840
860 [제안] 온게임넷 챌린지리그 순위결정전 대진표 개선안 [1] 가룡5410 04/07/03 5410
859 레퀴엠의 밸런스와 개선방향... [20] P_anic6303 04/07/03 63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