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009/01/26 22:15:04 |
Name |
소문의벽 |
File #1 |
51644.rep (66.4 KB), Download : 461 |
Subject |
[P vs Z] 프로토스 3테크 본격활용에 대한 소고 |
1.프로토스는 과연 3테크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을까?
저그의 뮤탈이냐 다수 히드라냐 혹은 러커냐의 저그의 선택에 수동적으로 체제를
강요받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친다. 더군다나 최근 스파이어, 히드라덴을 동시에
지어 소수 스커지-히드라 물량으로 이어지는 흐름들을 볼때, 프로토스의 커세어 정찰이
이제동 이전시절처럼 저그체제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주지않는다.
2.프로토스는 비수이후 얼마나 유연해졌나?
이렇게 저그가 프로토스를 속이고 2개 이상의 카드를 동시에 사용하는데 점점 익숙해진 반면
프로토스는 다수 공발업질럿, 템플러유닛, 로보틱스 유닛 전환에 저그처럼 유연하지 못한 것 처럼 보인다. 예전에는 강력하게만 보였던 커세어-템플러테크 혹은로 이어지는 비수체제 질템은 다수의 히드라부대에 뮤탈 몇기만 섞어주면 바보가 돼어버린다.
3.주먹을 쥘 때인가?
다수 발업질러럿, 4아칸을 확보하는 움직임을 가장먼저 보여준건 도재욱. 같은팀인 김택용과 관련이 없을리 만무하고, 김택용 스스로도 2경기 정도를 스타리그에서 사용한 적이있다. 그러나 김택용이 힘 위주의 경기운영을 포기한건 지금같은 상황을 내다본게 아닐까.
'네오사우론에서 쏟아지는 히드라를 꺾고 3가스를 확보한다는 것은 무리다. 흔들자.'
4.아수라가 돼어야한다.
김택용 정도 돼는 프로토스도 쏟아지는 히드라들 속에서 견제를 항상 성공 시키는 것은 불가능. 최근 김택용은 자신덕분에 강해진 저그들의수비 때문에 벽에 부딫힌듯하다. 이젠 주먹에서 힘을 뺄때다. 힘을 빼고 보다 빠르게 보다 많은 곳을 견제해야 한다. 엄청난 힘의 적에게서 멀티를 성공시키려면 보다 빠르고 보다 날카롭게 견제를 해야할때다. 아수라가 돼어야 한다.
----------------------------------------------------------------------------------------------------------------------------
-사코 타이밍-
사이버네틱스 스코어는 무조건 빨라야한다. 게이트웨이-사코의 속도가 프로토스의 판의 속도를 가른다.
-지상군의 사용-
쏟아지는 히드라에게 공발업 질럿을 쏟아붓는 비효율적인 일을 언제까지 고집할 것인가.지상군을 견제수단으로 쓰자. 공발업 질럿도 훌륭한 견제 수단이 됄 수 있다. 센터를 활보하는 질럿이야말고 적을 교란하는 훌륭한 견제 수단이다. 멀티 수비가 소홀할때 가장 빠르고 강하게 견제할 수 있다.
-3테크의 빠른확보&조립-
힘을 쥘 필요가없다면, 다수 게이트도 낭비. 견제용 질럿확보 게이트 수를 제외한 미네랄과 가스를 테크유닛 확보에 주력하자. 공중을 휘저어 길을 여는 커세어. 견제의 중심 수단인 템플러 유닛. 견제에 힘을 실어주는 로보틱스 유닛. 이 3테크 유닛을 견제에 쏟아부어 난장판을 만들자. 3테크가 판의 움직임에 따라 교묘하게 조립하는 것이야 말로 대저그전의 판도가 됄 것이다. 저그가 사우론을 재해석 했듯, 프로토스도 3테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ps1.해당 리플레이는 무궁무진한 조립 중 한가지 예입니다.
발업질럿-다크드랍-템플러드랍 이후 질럿, 템플러, 리버 조합한타.
물론 이는 멀티확보 타이밍을 잡는데 실패한 빌드입니다. 그러나 지상군과 3테크의 조립의 베이스 모델이 됄수 있을겁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