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6/27 07:23:43
Name legend
Subject 소피스트들의 철학은 왜 인정받지 못하나요?
흔히 소크라테스에 대립되는 존재로써 소피스트들을 둡니다. 인간의 이성을 근거로 하여 보편타당한 범세계적 진리가 있다는
소크라테스의 생각과 달리 소피스트들은 진리란 사회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며 설령 보편적인 진리가 존재하더라도 인간의 이성
으론 그것을 알 수 없다는 입장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탐구하는 태도, 자신은 아무것도 모르며 끊임없이 이성을 통해 진리를 찾으려 노력하는 자세는 철학자의
기본적 태도이며 철학 탐구의 시작임은 틀림없습니다. 그리고 소피스트들이 얼마 안되는 한줌의 지식을 가지고 모든 걸 안다는
듯이 행세하고 지식 장사를 하는 짓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태도의 문제를 떠나 진리에 대한 관점에 있어선 소피스트
들의 생각도 인정받을만 하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 프로타고라스의 말이 다른 어떤 철학적 명언보다 인상적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물론 프로타고라스가 위의 말을 한 의도는 약간 다르겠지만 모든 가치와 진리는 인간의 관점, 기준에서 결정되며 세계를 바라보는
인간의 사고는 인간 그 이상의 무엇을 생각하는건 불가능하다는 부분에서 저의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이렇듯 소피스트 철학 또한 생각해볼만 한 여지가 있지 않을까요?

ps.한가지 더 질문하자면 니체 관련서적 중 입문용이나 추천할만 도서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27 07:38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탐구하는 태도. 즉 보편타당한 진리가 있다는건 이미 철학의 역사속에서나 있는 이야기로 알고있습니다.
근대철학에 넘어오는 것 자체가, '보편타당한 진리가 있다'->그딴거 없어 XX들아 하는 철학자들의 등장이니까요. 관념론파에선 헤겔이 '니들 그게 다 진리야'라고 하는거고 유물론에선 마르크스가 '보편타당한 진리같은거 없다고 생각놀음으로 찌.질파이트 하지말고 제발 사회변혁이나 할수있는 생각좀 하고살아라' 라는 식으로 등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도 철학과가 아니라서 정확하진 않으니 다른 고수의 답변 기대하겠습니다.
10/06/27 09:30
수정 아이콘
레전드님이 말씀하신 대로,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은 한 개인을 뜻하지요.
진리가 한 개인마다 다르다면 철학이라는 학문의 토대가 세워지긴 힘들었다고 봅니다. 소크라테스 역시 당대인들에게는 여타 소피스트와 마찬가지로 인식되어졌고(희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 그리스 시대상황이 소피스트 같은 변론술에만 능한 인재가 필요했지요. 단순하게 말하면 소송만능주의와 전문법조인이 없는 상황(일부로 솔론이 그렇게 만든 점도 있었고, 이것이 낮은 계급에게 정치적 지분을 높여준 이점도 있어 직접민주제의 도움도 됐지만)에서 진리의 진위판단보다 말싸움(변론)의 승자를 가르는 대중재판관(참심제적)의 환심을 사는 것이 더 중요한 때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크라테스가 등장한 것이고, 아르테(덕)는 에피스테메(지식)이다 라는 말을 합니다. 즉 윤리를 지식처럼 배우고 익힐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하는 것은 그가 배우지 않아 몰라서이다라고 한 점에서 가치상대주의가 아닌 객관적인 가치를 인정한 셈입니다. 잘못된 것을 알지만 욕망에 의해 틀린 행동을 하는 것을 인정하지 못한, 지금의 입장에선 철지난 견해이겠지만(이 당시 아리스토텔레스도 그점에 대해서 비판했지만) 당시 아테네 상황에선 획기적인 견해였을 겁니다.

소피스트들이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은, 소크라테스의 억울한 죽음을 목도한 플라톤이 가치상대주의에 대한 반발로 소피스트에 대한 폄하를 시도한 점에 있다고 봅니다. 플라톤의 대화편의 제목의 상당수가 소피스트의 이름이며 주인공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소피스트의 저작들이 그들의 손에 의해 온전히 보존된 것이 거의 없습니다. 상당부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중에서 추출된 내용도 꽤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적수에 손에서 보존된 내용이 좀 되니 제대로 된 평가의 기초가 되긴 힘들거라 보입니다.

잘은 모르지만 책에서 주어들은 것들을 기억에 의존해 쓴 것이라 지엽적인 부분에서 오류가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랑합니다
10/06/27 23:00
수정 아이콘
소피스트들의 철학적 의의라고 하면 그전 신 중심의 철학에서 인간중심으로 철학을 옮겨 놓은게 있겠죠. 사실 어떻게 보면 소피스트들의 주장들이 근대 이후 경험론쪽 ( 로크 - 버클리 - 흄) 그리고 그들의 사상적인 면들은 실용주의 철학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특히 소피스트 중에 트라지마쿠스 (기억이 잘,..) 의 도덕에 관한 주장은 니체의 주장과 완전 같습니다.

위에 시연님이 말씀하셨듯이 소피스트들은 대부분 진리(이성)보다는 경험에 근거를 두고, 다른 사람들을 이기기 위한 변론술을 많이 펼쳤습니다. 당연히 자신의 주장역시 틀릴수 있다는 거죠. 많은 소피스트들이 회의주의에 귀착하게 됨으로..( 자신모순에 걸리겠죠..) 저 평가 받지 않았나 합니다. 역시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역사상 최강의 사제지간이 나옴으로 더더욱 소크라테스가 빛을 보고, 거기에 반대적인 성향이었던 소피스트들은 부정적 인식이 보이게 되죠.

뭐 동양철학에서도 제자백가 사상중 유학만이 후대로 오면서 크게 번창하지만, 그당시 위세를 떨쳤던 묵자나 양주의 사상은 저평가 받고 있죠.
내적으로보면 그들의 주장은 회의주의에 빠지게 되고, 외적으로는 소크라테스에 의해 빛을 못보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4989 어제 이동국 선수 잘했나요? [9] 언데드네버다1860 10/06/27 1860
84988 지식채널e 인가에서 나온 것 같은데, 동일 남자 양복 입은 모습 vs 캐쥬얼 차림.. [2] 선미남편1887 10/06/27 1887
84987 이동국 선수 팬분들은 왜 지나칠 정도로 이동국 선수를 보호하려하나요? [26] ZerGaa2386 10/06/27 2386
84986 파일 삭제가 안됩니다.. 라캉~1314 10/06/27 1314
84985 아이튠즈 질문입니다. 초록추억1517 10/06/27 1517
84984 PRC 200 시계를 면세점에서 구매하려고 합니다. [6] 가아든2210 10/06/27 2210
84983 [컴퓨터업그레이드질문] 그래픽 카드 교체.. [3] allgos1716 10/06/27 1716
84981 C언어로 행렬의 Determinant를 구하는 알고리듬 하나 질문드립니다. [3] Ibiza7155 10/06/27 7155
84980 요즘 아이유가 그렇게나 좋습니다. [3] Xell0ss2469 10/06/27 2469
84979 뒷머리 눌리는 현상 어떻게 해야하나요?? [8] Psy_Onic-0-6492 10/06/27 6492
84978 pgr 홈페이지 에러 [1] StarInTheNight1766 10/06/27 1766
84977 RSS 리더에서 PGR 글이 깨져서 나옵니다. Acher1315 10/06/27 1315
84976 다음팟 사용하는데 자꾸 찌직거리는 소리가 납니다. [6] 허느님맙소사1568 10/06/27 1568
84975 파워가 낮으면 부팅이 안될수도 있나요? [1] 종종종그그미1699 10/06/27 1699
84974 컴퓨터 견적짜봤는데요. [4] Pomm1391 10/06/27 1391
84972 수학문제 두문제 질문합니다~!! [6] 방구벌레2153 10/06/27 2153
84971 cpu 쿨러 청소후 cpu가 안돌아 가요 급해요 빨리좀 알려주세요. [4] 종종종그그미2944 10/06/27 2944
84970 와우를 해보려고 합니다.. [7] 불륜1669 10/06/27 1669
84969 남성 화장품 질문하고 피부 관리 방법요! [1] 가니야1756 10/06/27 1756
84968 어제 기성용 선수의 핸들링 반칙... [17] 고등어3마리2817 10/06/27 2817
84967 [오류] 쪽지 오류 및 로그인 오류 때문에 정상적인 PGR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5] The xian1947 10/06/27 1947
84966 소피스트들의 철학은 왜 인정받지 못하나요? [3] legend2381 10/06/27 2381
84965 [축구] 중남미리그 수준 & 멕시코 축구인기 [4] 3107 10/06/27 31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