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21 16:15
저는 봄날체가 따라 쓰기 좋은 것 같더라구요.
봄날체로 짧은 글 한 편 인쇄하셔서 따라서 써보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자음을 크게 쓰는 연습하시면 좀 나아질 거에요.
10/06/21 16:32
악필에서 명필로 교정된 케이스가 바로 옆에 계신데, 그러니 방법을 아는데도 그렇게는 못하겠고 다른 무언가를 원한다라.
시험 잘보고 싶은데 공부를 많이 할 시간은 없어요(공부는 많이 하기 싫어요.), 같은 푸념처럼 보이는군요. 글씨체야 말로 그 사람이 활자와 얼마나 친숙하고 그에 대한 시간을 투자했는지가 그대로 드러나니 무임승차(적절한 표현은 아니지만.)가 불가능한 것이겠지요. 최선의 방법은 아시는 대로 잘써야 하는 상황속에서 잘쓰려고 노력하다보면 모방하려 했던 특정 글씨체나 자신만의 글씨체가 생기겠지만, 그렇지 않고 명필은 아니고 악필은 아닌것처럼 보이려면 초성을 중성보다 크게 쓰고 글씨기울기가 \정도를 띄면 뒷글씨와 연결이 되는 듯 해보이니 나쁘게는 보이지 않을겁니다.
10/06/21 16:43
시간적 여유가 있으시면 서예를 배우시는걸 추천합니다.
필체, 서법, 힘주기등 기본적인것 부터 배우기 때문에 확실한 대책입니다. 백강고시체같은 펜글씨쓰기를 하셔도 정자체는 잘쓰기 힘들지만 필기체는 이쁘게 잘 써집니다.
10/06/21 16:50
글씨를 잘쓰는 기본수칙이 글자의 크기와 대칭 그리고 좌우상하의 간격이 얼마나
동일하냐에 달려있다고 합니다. 쉬울듯 하면서도 어렵지만 이게 자신이 요령을 몰라서 그렇지 누구나 한두달 연습하면 상당히 좋아진다고 하더군요 비용시간적으로 여유가 된다면 전문학원에 두달간 다니시면 상당한 기량향상을 얻을실수 있을겁니다.
10/06/21 20:41
많이 쓰는 것만큼 좋은 방법이 없습니다.
주변에 마음에 드는 글씨체로 이루어진 장문을 보면서 여러 번 따라 써보세요. 위의 다른 분들도 말씀하셨지만, 신경쓰면서 글쓰는 연습을 하다 보면 글자의 크기나 대칭 및 간격 등은 어느 정도 자신만의 감각이 생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