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12 17:32
주임원사급만 되면 짬밥면에선 대대장에게 밀리지 않는 분인데;; 그런분한테 이제 임관한 소위가 대들수가 없죠;;
고전유머중 이제 임관한 소위가 주임원사보고 '아 자네가 주임원사인가?' 이게 왜 유머인지를 생각해보시면..
10/06/12 17:35
일단 계급상 소위가 상급자기 때문에 하극상이라고 볼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부대 내에서 해결한다면 소위가 조낸 쳐맞고 조용히 넘어갈 겁니다.
10/06/12 17:36
제가 헌병대 수사과전역자입니다. 저희 부대 행보관님이 상사인데, 전 부대에서 장교랑 싸우고, 저희부대로 넘어오심,, 둘다 징계받고 처벌받겠지만,, 아무래도 계급낮은 쪽이 불리할겁니다.. 하극상이니 ..만약 대위랑 상사랑 맞짱뜨면 둘다 처벌받겠지만 상사가 더 처벌받을듯
10/06/12 17:38
대위와 상사가 서로 싸웠다면, 아마 서로 쉬쉬하면서 대위는 대대장이나 작전과장에게, 상사는 주임원사나 행보관에게 깨질테죠...
정식으로 징계위원회에 회부된다면 상사는 하극상을 벗어나기 힘들겁니다. 지휘계통만이라도 다르면 모르겠는데, 대위가 작전과장이나 군수과장이라던가, 대위가 중대장인데 상사가 해당 중대 소대장이나 포반장이라거나... 이럴경우엔 에누리 없이 하극상이죠...
10/06/12 17:42
대위-상사는 중대장-행보관 이런 식으로 지휘관과 부하 개념일 경우 상사쪽이 압도적으로 불리하고요,
소위-원사는 애초에 지휘계통상 엮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봐야죠. 이건 싸우면 소위 쪽이 불리할 듯..
10/06/12 18:23
대위도 임관한지 4-5년이면 달수있는거 아닌가요?
연대내에서 힘있는 상사는 타대대 소령이랑도 기싸움 하던데요 -_-;; 뭐..소위- 원사는;; 부대 내에서 해결한다면 소위가 조낸 쳐맞고 조용히 넘어갈 겁니다. (2)
10/06/12 18:36
직업 군인끼리 싸움은 말고 영내하사와 말년병장 주먹다짐은 실제로 본 적이 있습니다. -0-;;
헌병대까지 가진 않고 영내하사 -> 같은 연대내 타 대대로 전출 말년방장 -> 무장구보 7일 중대 전원 -> 행보관이 술먹고 밤에 들어와서(--;;) 선착순 한 4시간 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10/06/12 19:38
소위랑 원사면 거의 아버지 아들뻘인데 정말 원사가 크게 잘못한게 아닌이상 소위가 거의 뒤집어 쓸겁니다.
물론 계급이야 소위가 높지만 장교단과 부사관단의 오묘한 관계가 또 있기때문에...
10/06/12 21:49
"자네가 우리 부대 주임원사인가?" 했던 소위를 본 적이 있네요.
그날 대대 전 부사관들 집합했고 그 소위는 한동안 부사관들 도움 전혀 받지 못했었죠.
|